<동동>에 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동>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원문
2. 어구풀이
3. 작품 내용풀이
4. 작품의 총체적 파악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

Ⅲ. 결론

본문내용

『動動』에 대한 연구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원문
2. 어구풀이
3. 작품 내용풀이
4. 작품의 총체적 파악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
Ⅲ. 결론
Ⅰ.서론
<動動>은 고려 때부터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조에 「樂學軌範」권5 성종조 鄕樂學呈才圖儀 중에 연희의 놀이 절차와 함께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으며, 「大樂後譜」권7에는 악보가 전하고 있다. 그리고 <동동>에 대한 해설이 「高麗史」樂志 俗樂條에 실려 전하고 있다. 우리 조에서는 <동동> 원문을 토대로 하여 어구를 풀이하고,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님’의 존재에 따른 주제와 형식, 중국과의 영향 관계 및 학자별 난해어구 풀이가 그 세부적 내용이다.
Ⅱ.본론
1.원문
德으란 곰예 받고
福으란 림예 받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이다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ㅅ 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샷다
아으 動動다리
三月ㅅ 나며 開
아으 滿春 욋고지여
브롤 즈
디녀 나샷다
아으 動動다리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事니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10.20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