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일반적 정보
2. 환자상태 사정
3. 투약기록
4. 문제목록
5. 간호과정 (자료수집-객관적*주관적, 진단,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Ⅲ. 결론
-결론
-느낀점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일반적 정보
2. 환자상태 사정
3. 투약기록
4. 문제목록
5. 간호과정 (자료수집-객관적*주관적, 진단,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Ⅲ. 결론
-결론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 고 콜레스테롤 혈증, 고 LDL콜레스테론 혈증
감소:무 지단백혈증, 저 지단백 혈증, 저 LDL콜레스테롤 혈증
Triglycerid
증가:알콜성 지방간, 폐쇄성 황달, 당뇨병, 뇌염, 죽상 동맥 경춰ㅇ
감소:중증간실질장애, 간경변,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바세도우씨 병
ABGA검사
검사항목
참고치
2012-12-27
2012-12-26
2012-12-25
ABGA-PH
7.35 ~ 7.45
7.479
7.479
7.490
ABGA-PCo2
35.0 ~ 45.0
31.3
25.3
22.6
ABGA-PO2
75 ~ 100
172.6
97.4
210.2
ABGA-HCO3
23 ~ 28
22.9
18.4
16.8
ABGA-Base Excess
-2 ~ 2
-0.8
-5.2
-6.4
ABGA-O2 Content
15 ~ 23
11.6
11.8
13.6
ABGA-O2 SAT
92 ~ 98.5
98.5
97.3
98.5
Barometric Pressure
<
752
754
746
Temperature
<
36.3
36.8
37.5
Hemoglobin
12 ~ 16
8.1
8.6
9.5
3. 투약기록
처방명
용량
용법
수
경로
vitamin K1 inj. 10mg
30mg
수액
#1
IVSM
Esbix inj. 50mg
150mg
IV
#3
IVSI
Meckool inj. 10mg
30mg
IV
#3
IVSI
Gaster inj. 20mg
40mg
IV
#2
IVSI
Botropase inj. 21U
6IU
IV
#3
IVSI
Mucosten 10% inj.
900mg
IV
#3
IVSI
0.9% NaCl inj. 1000mg
1000mg
IV
#1
IVD
Herben inj.
20V
수액
#1
IVSI
0.9%NaCl inj. 100mg
2bag
IV
#2
IVD
Keppra inj. 500mg
2V
수액
#2
IVSM
12/15
12/27
처방명
용량
용법
수
경로
Ursa tab. 200mg
600mg
아
#3
PO
Legalon cap 140
280mg
아
#2
PO
Stogar tab. 10mg
20mg
아
#2
PO
Muteran cap. 200mg
600mg
아
#3
PO
Alporin inj 1.5g
4.5mg
intra
#3
IVB
Esbix inj. 50mg
150mg
IV
#3
IVSI
Naloxone HCI inj. 2mg
6mg
IV
#3
IVSI
vitamin K1 inj. 10mg
30mg
수액
#1
IVSM
Esbix inj. 50mg
150mg
IV
#3
IVSI
Meckool inj. 10mg
30mg
IV
#3
IVSI
Gaster inj. 20mg
40mg
IV
#2
IVSI
Botropase inj. 21U
6IU
IV
#3
IVSI
Mucosten 10% inj.
900mg
IV
#3
IVSI
0.9% NaCl inj. 1000mg
1000mg
IV
#1
IVD
Herben inj.
20V
수액
#1
IVSI
0.9%NaCl inj. 100mg
2bag
IV
#2
IVD
Keppra inj. 500mg
2V
수액
#2
IVSM
4. 문제목록
①Rt. side weakness
②두통, 오심
③Blurred vision, diplopia
5. 간호과정
자료수집
주관적
-“병동에 가고 싶어요”, “엄마보고 싶어요”
객관적
-AST, ALT 증가에 따른 급성간염, 심근경색, 근질환, 악성종양, 폐쇄성 황달, 알콜성 간염의 위험성과 급성간손상의 위험성.
-ESR의 증가에 따른 혈액질환 또는 종양, 위장관 질환, 교원병, 신장질환의 위험성.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의사소통의 장애,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가 NSICU에 입원하는 동안의 낙상, 피부손상방지.
장기목표
대상자의 무력감과 두통 오심의 증상이 개선된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와 의사소통이 힘드므로 간단한 중국어를 공부한다.
②대상자가 보호대(억제대)로 거동이 억제되어 있기에 피부손상이 올 수 있으므로 체위변경과 backcare를 실시한다.
③대상자의 식이를 북돋기 위해 oralcare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①체위변경과 backcare를 2시간 마다 실시 (12.12.25. 7am50)
②구강건조와 감염의 방지를 위해 oralcare 실시 (12.12.28 8am40)
③대상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주시 (12.12.28 13~병동이실전)
이론적 근거
-backcare는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주 확인하여야한다.
-체위변경은 최소 2시간이내의 간격으로 시행하여야 욕창을 방지하고 근긴장도를 유지 할 수 있다.
평가
-12.12.16 9am전까지 oralcare를 거부하던 대상자가 16일 9am부터는 자신의 구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허용함.
-12.12.18 10am 수술 후 거의 정신을 차린 대상자가 기저귀에 대변을 보는 것을 거부하며 낙상위험도를 높임, 부모님이 오실때까지 주시하여 낙상을 방지함.
-12.12.18 14am에 피부손상과 욕창, 낙상 없이 병동으로 이송됨.
* 결과적으로 이 간호 중재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12. 12. 28
Ⅲ.결론
-느낀점
NSICU에서 실습을 하며, 중환자실에서 실습하기 전까지 ICU에는 나이많고 큰 사고를 당한 사람들만 입원하는 곳이라는 나의 편견이 확실히 깨졌다. 특히 NSICU는 신경외과중환자실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러했는데, 만약 뇌신경이 망가지면 다른 모든기관이 정상이더라도 정상적인 활동은 불가능 하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또한 나이가 많고, 젊고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이런 위기가 찾아 올 수 있기 때문에 건강은 관리 할 수 있을 때 관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지금 나의 나이때부터 최소한의 관리를 해 두어야 내가 다른 사람을 제대로 간호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1),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0),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의정부성모병원 NSICU EMR
*Daum 건강의학정보
http://k.daum.net/qna/item/view.html?svcorgid=_SDB&sobid=h_dise&itemid=H003678
감소:무 지단백혈증, 저 지단백 혈증, 저 LDL콜레스테롤 혈증
Triglycerid
증가:알콜성 지방간, 폐쇄성 황달, 당뇨병, 뇌염, 죽상 동맥 경춰ㅇ
감소:중증간실질장애, 간경변,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바세도우씨 병
ABGA검사
검사항목
참고치
2012-12-27
2012-12-26
2012-12-25
ABGA-PH
7.35 ~ 7.45
7.479
7.479
7.490
ABGA-PCo2
35.0 ~ 45.0
31.3
25.3
22.6
ABGA-PO2
75 ~ 100
172.6
97.4
210.2
ABGA-HCO3
23 ~ 28
22.9
18.4
16.8
ABGA-Base Excess
-2 ~ 2
-0.8
-5.2
-6.4
ABGA-O2 Content
15 ~ 23
11.6
11.8
13.6
ABGA-O2 SAT
92 ~ 98.5
98.5
97.3
98.5
Barometric Pressure
<
752
754
746
Temperature
<
36.3
36.8
37.5
Hemoglobin
12 ~ 16
8.1
8.6
9.5
3. 투약기록
처방명
용량
용법
수
경로
vitamin K1 inj. 10mg
30mg
수액
#1
IVSM
Esbix inj. 50mg
150mg
IV
#3
IVSI
Meckool inj. 10mg
30mg
IV
#3
IVSI
Gaster inj. 20mg
40mg
IV
#2
IVSI
Botropase inj. 21U
6IU
IV
#3
IVSI
Mucosten 10% inj.
900mg
IV
#3
IVSI
0.9% NaCl inj. 1000mg
1000mg
IV
#1
IVD
Herben inj.
20V
수액
#1
IVSI
0.9%NaCl inj. 100mg
2bag
IV
#2
IVD
Keppra inj. 500mg
2V
수액
#2
IVSM
12/15
12/27
처방명
용량
용법
수
경로
Ursa tab. 200mg
600mg
아
#3
PO
Legalon cap 140
280mg
아
#2
PO
Stogar tab. 10mg
20mg
아
#2
PO
Muteran cap. 200mg
600mg
아
#3
PO
Alporin inj 1.5g
4.5mg
intra
#3
IVB
Esbix inj. 50mg
150mg
IV
#3
IVSI
Naloxone HCI inj. 2mg
6mg
IV
#3
IVSI
vitamin K1 inj. 10mg
30mg
수액
#1
IVSM
Esbix inj. 50mg
150mg
IV
#3
IVSI
Meckool inj. 10mg
30mg
IV
#3
IVSI
Gaster inj. 20mg
40mg
IV
#2
IVSI
Botropase inj. 21U
6IU
IV
#3
IVSI
Mucosten 10% inj.
900mg
IV
#3
IVSI
0.9% NaCl inj. 1000mg
1000mg
IV
#1
IVD
Herben inj.
20V
수액
#1
IVSI
0.9%NaCl inj. 100mg
2bag
IV
#2
IVD
Keppra inj. 500mg
2V
수액
#2
IVSM
4. 문제목록
①Rt. side weakness
②두통, 오심
③Blurred vision, diplopia
5. 간호과정
자료수집
주관적
-“병동에 가고 싶어요”, “엄마보고 싶어요”
객관적
-AST, ALT 증가에 따른 급성간염, 심근경색, 근질환, 악성종양, 폐쇄성 황달, 알콜성 간염의 위험성과 급성간손상의 위험성.
-ESR의 증가에 따른 혈액질환 또는 종양, 위장관 질환, 교원병, 신장질환의 위험성.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의사소통의 장애,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가 NSICU에 입원하는 동안의 낙상, 피부손상방지.
장기목표
대상자의 무력감과 두통 오심의 증상이 개선된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와 의사소통이 힘드므로 간단한 중국어를 공부한다.
②대상자가 보호대(억제대)로 거동이 억제되어 있기에 피부손상이 올 수 있으므로 체위변경과 backcare를 실시한다.
③대상자의 식이를 북돋기 위해 oralcare를 실시한다.
간호수행
①체위변경과 backcare를 2시간 마다 실시 (12.12.25. 7am50)
②구강건조와 감염의 방지를 위해 oralcare 실시 (12.12.28 8am40)
③대상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주시 (12.12.28 13~병동이실전)
이론적 근거
-backcare는 피부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주 확인하여야한다.
-체위변경은 최소 2시간이내의 간격으로 시행하여야 욕창을 방지하고 근긴장도를 유지 할 수 있다.
평가
-12.12.16 9am전까지 oralcare를 거부하던 대상자가 16일 9am부터는 자신의 구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허용함.
-12.12.18 10am 수술 후 거의 정신을 차린 대상자가 기저귀에 대변을 보는 것을 거부하며 낙상위험도를 높임, 부모님이 오실때까지 주시하여 낙상을 방지함.
-12.12.18 14am에 피부손상과 욕창, 낙상 없이 병동으로 이송됨.
* 결과적으로 이 간호 중재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12. 12. 28
Ⅲ.결론
-느낀점
NSICU에서 실습을 하며, 중환자실에서 실습하기 전까지 ICU에는 나이많고 큰 사고를 당한 사람들만 입원하는 곳이라는 나의 편견이 확실히 깨졌다. 특히 NSICU는 신경외과중환자실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러했는데, 만약 뇌신경이 망가지면 다른 모든기관이 정상이더라도 정상적인 활동은 불가능 하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또한 나이가 많고, 젊고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이런 위기가 찾아 올 수 있기 때문에 건강은 관리 할 수 있을 때 관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지금 나의 나이때부터 최소한의 관리를 해 두어야 내가 다른 사람을 제대로 간호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1),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황옥남, 김진경, 외 공저(2010),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의정부성모병원 NSICU EMR
*Daum 건강의학정보
http://k.daum.net/qna/item/view.html?svcorgid=_SDB&sobid=h_dise&itemid=H003678
키워드
추천자료
ICH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ICH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ICH환자에 관한 사례연구
소뇌출혈 case study
Case Study - 뇌경색
CASE STUDY ICH(intracranial hemorrhage )
[간호학]두개골절개술 Craniectomy
Intra Cerebral Hemorrhage환자에 대한 사례연구
뇌경색(뇌졸증)
ICH 문헌고찰 ppt
sicu 골절 케이스
뇌졸중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실습 뇌교경색 minor pntine infarction case study
[동서협진과 CASE] ICH와 수두증이 발생한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