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동요>배경설화와 서동은 누구인가.
2. <서동요>의 성격
3. <서동요>의 현대적 변용 사례
① 현대시
② 뮤지컬
Ⅲ. 결론
1. <서동요>의 선택이유
2. 자기서사와 나에게 갖는 의미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서동요>배경설화와 서동은 누구인가.
2. <서동요>의 성격
3. <서동요>의 현대적 변용 사례
① 현대시
② 뮤지컬
Ⅲ. 결론
1. <서동요>의 선택이유
2. 자기서사와 나에게 갖는 의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 서동이 크게 웃으며 “이것이 무엇이냐.”하였다. 공주가 “이것은 황금이니 가히 백 년의 부를 이룰 것이다.”하니, 서동은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파던 곳에 흙과 같이 쌓아 놓았다.”하였다. 공주가 크게 놀라 “그것은 천하의 지보(至寶)니 지금 그 소재를 알거든 그 보물을 가져다 부모님 궁전(宮殿)에 보내는 것이 어더하냐.”고 하였다. 서동이 좋다 하여 금을 모아 구릉(丘陵)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 사자사(龍華山獅子寺)의 지명법사에게 가서 금을 옮길 방책을 물었다. 법사(法師)는 “내가 신력(神力)으로써 보낼 터이니 금을 가져오라.”하였다. 공주가 편지를 써서 금과 함께 사자사(獅子寺) 앞에 갖다 놓으니 법사가 신력으로 하룻밤 사이에 신라 궁중에 갖다 두었다.
진평왕이 그 신비한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존중하며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왕위에 올랐다.
서동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 먼저 귀양온 선화공주의 마음을 얻었고, 또한 선화공주의 제안에 따라 금을 신라의 궁에 보내자 진평왕의 마음까지도 모두 사로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백제 사람들의 마음까지도 사로잡으며 왕위까지 오르게 되었다.
2. <서동요>의 성격
전반부를 중심으로 할 경우에는, 이 노래는 야심많은 한 소년이 미모의 공주를 아내 로 삼기 위해 기계를 사용한 동요라 할 수 있다. 가사에 선화공주, 서동이 들어 있으며, 선화공주가 남 몰래 서동과 정을 통한다는 <서동요>의 내용은 동요이면서 민요적 성격을 갖고 있다. <서동요>의 노랫말은 오늘날도 불려지는 “누구누구는 남 몰래 누구누구를 좋아한대요”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46면
하는 민요나 동요의 노랫말과 비슷한 내용이다. 이러한 동요적 민요적 성격 때문에 신라 아이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었던 것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쉽게 퍼져 신라 궁중에까지 전파될 수 있었다. 또한 배경 설화에서도 역시 등장하는 인물이 어린이들이고, 서동이 서라벌의 어린이들을 모아 마를 먹이며 노래를 부르게 하여 공주를 끌어내게 한 줄거리의 꿈같은 행위 등 어린이의 동심 세계를 반영하고 있는 데에 동화적 성격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후반부는 사찰의 연기 설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듯한 분위기이다. 그래서 이 노래는 백제가 망할 무렵, 왕실의 원찰이었던 미륵사를 신라의 군졸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백제와 신라가 과거에서부터 깊은 관계가 있었다고 꾸미기 위하여 퍼뜨린 것으로 백제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또 그들에 의해 불려졌을 정치적 색채가 짙은 노래로 볼 수 있는 참요적 성격의 동요로 볼 수 있다.
또한 서동의 탄생설화는 우리 민담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주인공의 탄생과 관련된 이류교혼담과 같은 내용이다. 서동의 어머니가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인간이 인간이 아닌 신적 존재와의 교혼을 통해 영웅을 탄생하게 되는 이야기며, 서동이 마를 캐던 곳에 있던 많은 황금을 찾아 인심을 얻고 왕위에 올랐다는 이야기는, 아버지와 다투고 집에서
진평왕이 그 신비한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존중하며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왕위에 올랐다.
서동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 먼저 귀양온 선화공주의 마음을 얻었고, 또한 선화공주의 제안에 따라 금을 신라의 궁에 보내자 진평왕의 마음까지도 모두 사로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백제 사람들의 마음까지도 사로잡으며 왕위까지 오르게 되었다.
2. <서동요>의 성격
전반부를 중심으로 할 경우에는, 이 노래는 야심많은 한 소년이 미모의 공주를 아내 로 삼기 위해 기계를 사용한 동요라 할 수 있다. 가사에 선화공주, 서동이 들어 있으며, 선화공주가 남 몰래 서동과 정을 통한다는 <서동요>의 내용은 동요이면서 민요적 성격을 갖고 있다. <서동요>의 노랫말은 오늘날도 불려지는 “누구누구는 남 몰래 누구누구를 좋아한대요”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46면
하는 민요나 동요의 노랫말과 비슷한 내용이다. 이러한 동요적 민요적 성격 때문에 신라 아이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었던 것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쉽게 퍼져 신라 궁중에까지 전파될 수 있었다. 또한 배경 설화에서도 역시 등장하는 인물이 어린이들이고, 서동이 서라벌의 어린이들을 모아 마를 먹이며 노래를 부르게 하여 공주를 끌어내게 한 줄거리의 꿈같은 행위 등 어린이의 동심 세계를 반영하고 있는 데에 동화적 성격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후반부는 사찰의 연기 설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듯한 분위기이다. 그래서 이 노래는 백제가 망할 무렵, 왕실의 원찰이었던 미륵사를 신라의 군졸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백제와 신라가 과거에서부터 깊은 관계가 있었다고 꾸미기 위하여 퍼뜨린 것으로 백제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또 그들에 의해 불려졌을 정치적 색채가 짙은 노래로 볼 수 있는 참요적 성격의 동요로 볼 수 있다.
또한 서동의 탄생설화는 우리 민담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주인공의 탄생과 관련된 이류교혼담과 같은 내용이다. 서동의 어머니가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인간이 인간이 아닌 신적 존재와의 교혼을 통해 영웅을 탄생하게 되는 이야기며, 서동이 마를 캐던 곳에 있던 많은 황금을 찾아 인심을 얻고 왕위에 올랐다는 이야기는, 아버지와 다투고 집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