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로 추구하고 그것에 의해 현실적인 모든 것을 극복하려는 주술적 숭고와 불교적 숭고로 보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온당한 논의라 할 수 있지만 앞의 향가 내용에서 살핀 것과 같이 <혜성가>에는 주술성보다 풍자와 야유가 있어 숭고의 희극적 표현으로 보이며, <도솔가>에는 불교적 측면과 동시에 정치적 측면이 있다. 그리고 <서동요>는 표현만 보면 이상적인 것을 기원하는 숭고의 우아적 표출이라 볼 수 있지만, 이 노래가 계략에 관련된 것이라는 것을 볼때 역시 숭고의 희극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처용가>는 전체 설화를 봤을 때 숭고의 희극적 표현으로 보이지만 작품만을 보면 비장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헌화가>는 수작과 희인, 그리고 교훈의 측면에서 볼 때에, 희극미와 숭고미가 함께 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시학과 미학을 통해 향가는 문학적으로 그 가치가 뛰어나며 앞서 말했듯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라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7. 참고 문헌
김관순, 김대행,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이동근, <인문과학연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205쪽
이승남, <한국사상과 문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73쪽
이런 시학과 미학을 통해 향가는 문학적으로 그 가치가 뛰어나며 앞서 말했듯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라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7. 참고 문헌
김관순, 김대행,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이동근, <인문과학연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205쪽
이승남, <한국사상과 문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73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