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정관리의 개념
1.1 공정관리의 정의
1.2 공정관리의 필요성
1.3 공정관리의 절차
2. 공정관리 기법
2.1 횡선식 공정표
1) Gantt/Bar Chart
2.2 네트워크 공정표
1) CPM
2) PERT
2.3 LOB
1) LOB 기법의 정의
2) LOB 기법의 용도
3) LOB 기법의 특징
4) LOB 기법의 구성요소
2.4 TACT
1) TACT 기법의 정의
2) TACT 기법의 특징
3) TACT 기법의 장.단점
4) TACT 기법의 문제점
5) TACT 기법의 개선방향
2.5 BDM
1) BDM 기법의 정의 및 원리
2.6 DSM
1) DSM 기법의 개념
2) DSM 기법의 상관관계
3. 진도관리
3.1 진도관리의 개념
3.2 진도관리 기법의 비교
1) 추정진도 측정 방법
2) 실 작업량 측정 방법
3) EV 진도관리 방법
3.3 진도관리 곡선의 유형
1) 벌림형
2) 후반 벌림형
3) 평행형
4) 후반 닫힘형
4. 공기단축
4.1 공기 단축의 개념
4.2 공사비용과 공기
1) 직접비와 공기
2) 간접비와 공기
3) 총공사비와 공기
4.3 공기단축 방법
1) MSX
2) SAM
3) LP
4.4 공기단축 방법 비교
5. 자원평준화
5.1 자원평준화의 개요
5.2 자원평준화의 필요성
5.3 자원 배당 산출
5.4 자원평준화의 휴리스틱 방법
1) Ahuja의 자원평준화 방법
2) Burgess의 자원평준화 방법
3) Harris의 자원평준화 방법
6. 통합공정관리
6.1 EVMS
1) EVMS의 관리절차
2) EVMS의 개념도
1.1 공정관리의 정의
1.2 공정관리의 필요성
1.3 공정관리의 절차
2. 공정관리 기법
2.1 횡선식 공정표
1) Gantt/Bar Chart
2.2 네트워크 공정표
1) CPM
2) PERT
2.3 LOB
1) LOB 기법의 정의
2) LOB 기법의 용도
3) LOB 기법의 특징
4) LOB 기법의 구성요소
2.4 TACT
1) TACT 기법의 정의
2) TACT 기법의 특징
3) TACT 기법의 장.단점
4) TACT 기법의 문제점
5) TACT 기법의 개선방향
2.5 BDM
1) BDM 기법의 정의 및 원리
2.6 DSM
1) DSM 기법의 개념
2) DSM 기법의 상관관계
3. 진도관리
3.1 진도관리의 개념
3.2 진도관리 기법의 비교
1) 추정진도 측정 방법
2) 실 작업량 측정 방법
3) EV 진도관리 방법
3.3 진도관리 곡선의 유형
1) 벌림형
2) 후반 벌림형
3) 평행형
4) 후반 닫힘형
4. 공기단축
4.1 공기 단축의 개념
4.2 공사비용과 공기
1) 직접비와 공기
2) 간접비와 공기
3) 총공사비와 공기
4.3 공기단축 방법
1) MSX
2) SAM
3) LP
4.4 공기단축 방법 비교
5. 자원평준화
5.1 자원평준화의 개요
5.2 자원평준화의 필요성
5.3 자원 배당 산출
5.4 자원평준화의 휴리스틱 방법
1) Ahuja의 자원평준화 방법
2) Burgess의 자원평준화 방법
3) Harris의 자원평준화 방법
6. 통합공정관리
6.1 EVMS
1) EVMS의 관리절차
2) EVMS의 개념도
본문내용
과 같다.
① 소요자원의 급격한 변동을 줄인다.
② 자원을 최소로 한다.
③ 유휴시간을 줄인다.
④ 공사기간 동안 소요되는 자원을 균등하게 한다.
5.2 자원평준화의 필요성
자원관리의 목적은 공사에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할당하여 공사일정을 원만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원 가운데 인력은 공사를 수행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정계획에서 일정계획은 각 활동들 간의 선후관계만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에 대한 적절한 할당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해진 일정계획( 각 활동의 소요인원 및 예상기간이 표시되어 있는 실정)에 따라 만일 자원이 무한하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자원을 무한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자원을 이용가능하다 할지라도 소요량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자원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자원할당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요작업 인원의 급격한 변동을 피하고, 작업인원을 최소화시키며 유휴기간을 줄이고, 공사기간동안 소요되는 작업인원을 균등하게 하여 공사가 완료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가규모와 프로젝트 완료시기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때 자원의 활용이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원문제를 평준화하는 방법은 시간 고정 형(Time-Fixed scheduling)과 자원 고정 형(Resource-Fixed scheduling)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시간 고정 형은 지정된 공기 내에서 공정계획을 하는 것이고, 자원 고정 형은 이용 가능량의 범위 내에서 공정계획을 하는 것이다. 대규모 공사( 발전소공사, 항만공사, 상.하수도 공사, 플랜트사업 등등)에서는 자원고정형이 적합하며, 소규모 공사(아파트 부지조성, 공공건물 축조, 등등) 에서는 자원의 양이 한정되어 있으나, 자원의 양에 대한 제한이 크지 않으므로 시간 고정 형이 적합하다.
5.3 자원 배당의 산출
1)EST에 의한 자원 배당 : EST에 의한 인력부하도로 표시
◀그림 15. EST의 인력부하도
2)LST에 의한 자원 배당 : LST에 의한 인력부하도로 표시
◀그림 16. LST의 인력부하도
3)평준화(최적계획)에 의한 자원배당 : 균배도로 표시
◀그림 17. 균배도
5.4 자원 평준화를 위한 휴리스틱(Heuristic) 방법
1)Ahuja의 자원 평준화 기법
Ahuja의 평준화 기법은 자원변동치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비주공정상의 작업연쇄(Activity chains)를 평준화하는 방법으로 , ES(Earliest Start)부터 LS(Lastest Start)까지 매일에 대해 주공정상 작업연쇄의 자원을 결합한 자원 분포 변동치의 제곱합이 최소인 날짜를 선택하여 평준화해 나간다. 여유 공정상의 작업수가 많으면 조합수가 많아지므로 작업연쇄를 하나의 작업으로 여겨 조합수를 줄여나가는 방법이다.
2)Burgess의 자원평준화 기법
Burgess의 평준화 기법은 단위시간마다 자원소요량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FF의 범위 내에서 요소작업을 우로 이동시켜 자원을 평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3) Harris의 자원평준화 기법
Harris의 평준화 기법은 자원의 히스토그램 모멘트가 최소가 되도록 줄이기 위하여 요소작업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데 자원증진인자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원증진인자는 히스토그램 모멘트를 줄이기 위하여 이동되는 요소작업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최소 모멘트의 절차에 있어서 히스토그램의 개선은 매일 자원총계에서 이동자원을 뺀 값의 제곱으로 계산되었고, 이 값은 요소작업을 이동시킬 때 모멘트 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평준화한 후의 모멘트 값의 차이를 반영해야 하는데, 그 측정 수단으로 자원증진계수(RIC)가 사용된다.
6. 통합공정관리
6.1 EVM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말 그대로 광의의 기성관리를 의미
EV(Earned Value)는 단위작업에 대한 실적치를 의미
동시에 실적(Physical Progress)과 유사한 개념
공사 진척 상황을 의미하므로 진도율과도 유사한 개념
1) 관리절차
2) EVMS 개념도
① 기본요소
BCWS ( Budgeted Cost Work Scheduled, PV ( Planned Value ), 계획기성 ) = 계획단가 * 계획수량
BCWP ( Budgeted Cost Work Performed, EV ( Earned Value ), 실시기성 ) = 계획단가 * 실시수량
ACWP ( Actual Cost Work Performed, AC ( Actual Cost ), 실시원가 ) = 실시단가 * 실시수량
BAC ( Budget At Completion, 총실행예산 )
② 성과측정요소
CV ( Cost Variance, 원가편차 ) = EV - AC ( CV > 0 : 공사비절감, CV < 0 : 공사비과투입 )
SV ( Schedule Variance, 일정편차 ) = EV - PV ( SV > 0 : 공기단축, SV < 0 : 공기지연 )
CPI ( Cost Performance Index 공사비지출지수 ) = EV / AC ( CPI > 1 : 공사비절감, CPI < 1 : 공사비과투입 )
SPI ( Schedule Performance Index 공정수행지수 ) = EV / PV ( SPI > 1 : 공기단축, SPI < 1 : 공기지연 )
③ 준공추정요소
ETC ( Estimate To Completion, 잔여추정원가 )
EAC ( Estimate At Completion, 준공추정원가 ) = AC + ETC
VAC ( Variable At Completion, 준공추정실행손익 ) = EAC - BAC
- 참고 문헌 -
- 이택순, [자원배당과 평준화], 한국설비기술협회(특집원고)
- 백승목, [시공단계에서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위한 DSM의 적용 타당한 분석],
동국대:석사학위 논문, 2011
- 윤수진, 박근준, [TACT 및 Crew Balancing을 이용한 공정관리 기법], 호서대
- 김태영, 김창교, [TACT 공정관리
① 소요자원의 급격한 변동을 줄인다.
② 자원을 최소로 한다.
③ 유휴시간을 줄인다.
④ 공사기간 동안 소요되는 자원을 균등하게 한다.
5.2 자원평준화의 필요성
자원관리의 목적은 공사에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할당하여 공사일정을 원만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원 가운데 인력은 공사를 수행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정계획에서 일정계획은 각 활동들 간의 선후관계만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에 대한 적절한 할당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해진 일정계획( 각 활동의 소요인원 및 예상기간이 표시되어 있는 실정)에 따라 만일 자원이 무한하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자원을 무한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자원을 이용가능하다 할지라도 소요량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자원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자원할당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요작업 인원의 급격한 변동을 피하고, 작업인원을 최소화시키며 유휴기간을 줄이고, 공사기간동안 소요되는 작업인원을 균등하게 하여 공사가 완료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가규모와 프로젝트 완료시기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때 자원의 활용이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원문제를 평준화하는 방법은 시간 고정 형(Time-Fixed scheduling)과 자원 고정 형(Resource-Fixed scheduling)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시간 고정 형은 지정된 공기 내에서 공정계획을 하는 것이고, 자원 고정 형은 이용 가능량의 범위 내에서 공정계획을 하는 것이다. 대규모 공사( 발전소공사, 항만공사, 상.하수도 공사, 플랜트사업 등등)에서는 자원고정형이 적합하며, 소규모 공사(아파트 부지조성, 공공건물 축조, 등등) 에서는 자원의 양이 한정되어 있으나, 자원의 양에 대한 제한이 크지 않으므로 시간 고정 형이 적합하다.
5.3 자원 배당의 산출
1)EST에 의한 자원 배당 : EST에 의한 인력부하도로 표시
◀그림 15. EST의 인력부하도
2)LST에 의한 자원 배당 : LST에 의한 인력부하도로 표시
◀그림 16. LST의 인력부하도
3)평준화(최적계획)에 의한 자원배당 : 균배도로 표시
◀그림 17. 균배도
5.4 자원 평준화를 위한 휴리스틱(Heuristic) 방법
1)Ahuja의 자원 평준화 기법
Ahuja의 평준화 기법은 자원변동치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비주공정상의 작업연쇄(Activity chains)를 평준화하는 방법으로 , ES(Earliest Start)부터 LS(Lastest Start)까지 매일에 대해 주공정상 작업연쇄의 자원을 결합한 자원 분포 변동치의 제곱합이 최소인 날짜를 선택하여 평준화해 나간다. 여유 공정상의 작업수가 많으면 조합수가 많아지므로 작업연쇄를 하나의 작업으로 여겨 조합수를 줄여나가는 방법이다.
2)Burgess의 자원평준화 기법
Burgess의 평준화 기법은 단위시간마다 자원소요량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FF의 범위 내에서 요소작업을 우로 이동시켜 자원을 평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3) Harris의 자원평준화 기법
Harris의 평준화 기법은 자원의 히스토그램 모멘트가 최소가 되도록 줄이기 위하여 요소작업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는데 자원증진인자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원증진인자는 히스토그램 모멘트를 줄이기 위하여 이동되는 요소작업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최소 모멘트의 절차에 있어서 히스토그램의 개선은 매일 자원총계에서 이동자원을 뺀 값의 제곱으로 계산되었고, 이 값은 요소작업을 이동시킬 때 모멘트 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평준화한 후의 모멘트 값의 차이를 반영해야 하는데, 그 측정 수단으로 자원증진계수(RIC)가 사용된다.
6. 통합공정관리
6.1 EVM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말 그대로 광의의 기성관리를 의미
EV(Earned Value)는 단위작업에 대한 실적치를 의미
동시에 실적(Physical Progress)과 유사한 개념
공사 진척 상황을 의미하므로 진도율과도 유사한 개념
1) 관리절차
2) EVMS 개념도
① 기본요소
BCWS ( Budgeted Cost Work Scheduled, PV ( Planned Value ), 계획기성 ) = 계획단가 * 계획수량
BCWP ( Budgeted Cost Work Performed, EV ( Earned Value ), 실시기성 ) = 계획단가 * 실시수량
ACWP ( Actual Cost Work Performed, AC ( Actual Cost ), 실시원가 ) = 실시단가 * 실시수량
BAC ( Budget At Completion, 총실행예산 )
② 성과측정요소
CV ( Cost Variance, 원가편차 ) = EV - AC ( CV > 0 : 공사비절감, CV < 0 : 공사비과투입 )
SV ( Schedule Variance, 일정편차 ) = EV - PV ( SV > 0 : 공기단축, SV < 0 : 공기지연 )
CPI ( Cost Performance Index 공사비지출지수 ) = EV / AC ( CPI > 1 : 공사비절감, CPI < 1 : 공사비과투입 )
SPI ( Schedule Performance Index 공정수행지수 ) = EV / PV ( SPI > 1 : 공기단축, SPI < 1 : 공기지연 )
③ 준공추정요소
ETC ( Estimate To Completion, 잔여추정원가 )
EAC ( Estimate At Completion, 준공추정원가 ) = AC + ETC
VAC ( Variable At Completion, 준공추정실행손익 ) = EAC - BAC
- 참고 문헌 -
- 이택순, [자원배당과 평준화], 한국설비기술협회(특집원고)
- 백승목, [시공단계에서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위한 DSM의 적용 타당한 분석],
동국대:석사학위 논문, 2011
- 윤수진, 박근준, [TACT 및 Crew Balancing을 이용한 공정관리 기법], 호서대
- 김태영, 김창교, [TACT 공정관리
추천자료
흡착공정에 대하여.(유해폐기물관리)
[건축공학]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한국전통][전통][전통 건축][전통 제례][전통 가구][전통 조경][전통 건강관리법]우리나라의...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의 시공사례
[작업관리] 작업관리(유통선도, 작업공정도, 개선방안...) 최종 보고서(term)
시공관리(요점정리), 원가관리 및 EVMS
[아스팔트][아스팔트의 성질][아스팔트의 품질관리][아스팔트의 연기][아스팔트의 용해][아스...
[인사관리]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 허즈버그의 2요인이론
시공관리포스터
경영학 개론,생산운영관리,생산운영관리의 기본 개념, 수요예측 및 제품설계, 공정설계 및 생...
[RCD공사] RCD공법 단계별 관리 (RCD공법 특징과 시공, 단계별 유의사항, 품질 중점관리 사항...
카페트(Carpet)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관리방법 (세탁중심) {Carpet의 정의와 종류 및 특성, ...
[외식주방의 시공] 주방 환기시설(레스토랑주방관리 - 외식주방 환기설비의 종류)
[외식주방시공] 위생설비(주방위생설비, 레스토랑주방 위생관리, 급수설비, 상수도설비, 배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