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관리] 작업관리(유통선도, 작업공정도, 개선방안...) 최종 보고서(term)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업관리] 작업관리(유통선도, 작업공정도, 개선방안...) 최종 보고서(ter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회사소개

2.제품소개

3.시설배치

4.작업공정도(개선전)

5.유통공정도(개선전)

6.유통선도(개선전)

7.라인밸런싱(개선전)

8.문제점 및 개선안

9.최종결론

10.소감문

본문내용

회 사 소 개

■ 회 사 명 : 거 성 공 업 (巨星工業)
■ 대 표 : 공 병 석
■ 소 재 지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 3가 208-5
(대구 제 3산업단지)
■ 설립일자 : 1995年 5月 19日
■ 공장규모 : 부지 [825㎡] , 건물 [1350㎡]
■ 종 업 원 : 40명 (현 20명)
■ 월 생산량 : 40만조 (쌍)
■ 공장전경 (경기악화로 현재 1층 공장과 2층 사무실만 사용중)
제 품 소 개

■ 안경산업 현황
※ 2001년 8월 1일 ~ 2002년 1월 31일까지 대구경북지방 중소기업청 조사 자료
1. 대구경북지역의 안경제조업체 466개 중 455개 업체가 대구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중 80.9%인 377개 업체가 북구에 밀집해 있다. 세부업종별 분포는 안경테 제조가 78.7% 로 현저히 많았으며 안경테 무역 11.0%, 부품제조 7.1%, 도금 3.1%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2. 안경테 제조공정은 약 200여 공정으로서 대부분의 업체가 전 공정을 모두 자체에서 제조하며, 부분적으로 외주가공에 의존하고 있다. 외주 의존도는 도금, 부품제조, 칼라 및 코팅작업 등이 있다.
3. 국내 안경제조업체의 안경 디자인 개발 수준은 낮은 편이며, 업체 중 약 36%는 자체 디자인을 하지 못하였다. 자체 디자인 개발능력을 갖춘 업체의 평균 디자이너 수는 1~2명이 었으며, 정규 디자인 교육을 받지 않은 현장실무자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4. 기술개발 장비 / 인력보유 현황은 매우 열악하였으며 가장 필요한 기술개발 수요는 안경 신소재 개발 분야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5. 가장 절실한 안경테 제조기술 수요 분야는 디자인 개발기술 (43.7%)이며, 그 다음으로는 제조기술 (22.7%), 용접기술 (13.1%), 코팅 및 칼라기술 (10.2%), 도금기술 (5.5%) 순으로 조사 되었다.
■ 안경테 (디자인 경쟁으로 공개 거부)
■ 안경다리 (구성 : 통다리, 속장석, 미미)
시 설 배 치 (개선전)

■ 1층 공장
■ 2층 창고, 사무실
작 업 공 정 도 (개선전)

공정 : 안경다리 제조
작업방법 : 현재방법( ∨ ), 개선방법( )
유통 공정도 (개선전)

요약
현재방법
개선안
차이
작업명칭
안경다리 제조 주요 공정
회수
시간
회수
시간
회수
시간

7
작 업 부

10
도표번호

1
D
5
작 성 자

1
일 시
거리
설 명
기호
비고
1. 통다리에 구멍을 뚫는다.
● □ D ▽
2. 통다리를 연마실로 운반한다.
○ □ D ▽
3. 통다리를 연마하기위해 연마실에서 대기
○ □ D ▽
4. 통다리를 연마한다.
● □ D ▽
5. 통다리 적재실로 운반한다.
○ □ D ▽
6. 통다리 외부업체에 전달 위해 대기한다..
○ □ D ▽
7. 통다리 외부업체에 전달한다.
○ □ D ▽
8. 외부업체에서 통다리와 속장석 결합한다.
● □ D ▽
9. 펀치 작업실로 운반한다.
○ □ D ▽
10. 펀치 작업실에 대기한다.
○ □ D ▽
11. 펀치작업 한다.
● □ D ▽
12. 결합품을 보관대로 운반한다.
○ □ D ▽
13. 결합품 외부업체 전달전 대기한다.
○ □ D ▽
14. 결합품 외부업체에 전달한다.
○ □ D ▽
15. 외부업체에서 미미와 결합한다.
● □ D ▽
16. 연마실로 운반한다.
○ □ D ▽
17. 연마하기위해 대기한다.
○ □ D ▽
18. 안경다리를 연마한다.
● □ D ▽
19. 안경다리를 검사실로 운반한다.
○ □ D ▽
20. 검사한다.
○ ■ D ▽
21. 완성품을 포장대로 운반한다.
○ □ D ▽
22. 완성품을 100개 단위로 포장한다.
● □ D ▽
23. 완성품을 완성품 창고로 운반한다.
○ □ D ▽
24. 출고를 위해 보관한다.
○ □ D ▼
25.
○ □ D ▽
26.
○ □ D ▽
유통 선도 (개선전)

< 유통선도 요약 >
요약
현재방법
회수
시간

7

10

1
D
5

1
※ 공장내의 유통은 적색 화살표로 표시하고, 외주 업체로의 유통은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 하였다.
라 인 밸 런 싱 (개선전)

■ 피치타임 (Pitch Time)
생 산 량 : 월 40만조 ⇒ 월 80만개 ⇒ 월 8000단위(단위 : 100개)
작업시간 : 하루 8시간 ⇒ 주 6일 ⇒ 월 24일
■ 요소작업별 작업시간
(단위 : 100개당 작업시간)
통다리 가공
연 마
속장석 결합
펀치작업
미미결합
표면세척

작업시간
6.3분
5.5분
4.8분
9.1분
2.4
5.5분
33.6분
작업자
3
2
외주(2)
4
외주(1)
2
14
평균작업시간
2.1분
2.75분
2.4분
2.275분
2.4분
2.75분
33.6분
속장석 결합 (하루 만개씩 외부업체 의존)
미미 결합 (하루 이만개씩 외부업체 의존)
■ 요소작업별 효율
87.3%의 효율(개선전)
문제점 및 개선안

■ 시설배치
1. 제품적재 및 이동
문제점
­제품의 크기가 작고, 단위별 운반 및 작업이 이루어 지므로 정채 및 보관이 많이 존재한다.
개선안
­각 공정별 완제품과 공정대기품을 구별하여 적재할수 있는 선반과 공정간 운반이 용이하도록 규격 상자를 만든다.
기대효과
­각 공정별 완제품과 공정대기품을 구별하여 적재선반을 배치함으로써 공정 대기 및 완료간의 가공품의 효과적인 보관이 가능하여 불량률을 줄일수 있으며, 규격 운반 상자를 사용함으로써 불량률을 줄일수 있다. 또한, 완제품 포장시 아래 공장에서 100개씩 봉투에 넣어 2층의 완제품 창고로 옮기는 과정이 있는데, 이 운반상자를 포장시 이용함으로써 각 칸막이당 100개 씩의 완제품을 넣어 2층의 완제품 창고로 운반함으로써 봉투에 두번 담는 비 효율적인 번거로움을 줄일수 있다.
2. 가공재 보관 (철사)
문제점
­상대적으로 보관 면적이 큰 미미 및 속장석 가공 재료인 철사의 보관에 면적이 비중이 커 작업공간이 부족하다.
개선안
­기존에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