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정리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정리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잘 되지 않자 각 지역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개혁을 실시합니다.
1894.9월 제2차봉기가 일어났는데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으로 농민군을 또 다시 재봉기를 일으킵니다. 이에 남쪽과 북쪽의 농민군들을 연합부대를 형성하여 전투에 참여 하였으나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하여 농민군의 전쟁을 막을 내리게 됩니다.
-의의
동학농민군들은 사회적 모순과 부패의 척결 즉 근대적 사회개혁을 요구하고 실행해 갔으므로 동학 농민전쟁은 한국의 근 현대사를 결정지운 역사의 일대 사건이자 봉건적 사회질서를 타파하고 외세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해 반봉건 반외세의 가치를 높이 세운 우리 역사상 가장 최대이자 최초의 민주 항쟁이었다. 더구나 지방에 자치 기구까지 설립하였다는 것은 우리나라 역사 반만년에 처음 되는 일이었다. 더구나 지방에 자치 기구까지 설립하였다는 것은 우리 나가 역사 반만년에 처음 되는 일이고 결과적으로 동학 농민 운동은 농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사회 변혁 운동이었다.
하지만 한계점으로는 신분제도의 타파의식을 분명히 보여 주었으나, 그것이 근대적 사회의식으로 직결 되는 것은 아니었다.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고, 각 지역 농민군이 보다 긴밀한 연대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농민층이외의 보다 넓은 지지 기반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라 생각한다.
한말 의병 전쟁
1. 1차의병(을미의병)
원인 : 명성황후 시해사건과 단발령으로 인해 동학잔여세력의 농민들이 의병을 일으킴.
중심세력 : 위정척사 사상을 계승한 유생층이 + 농민층 동학 농민군의 잔여세력
활동 :
충주를 비롯한 지방 주요 도시를 공격하여 친일관리 일본인을 처단함
아관 파천 이후 단발령 철회와 국왕의 해산 권고로 대부분 해산됨.
일부 하층 세력이 활빈당 등 무장 조직으로 전환하여 반침량 반봉건 투쟁을 전개
2. 2차의병(을사의병)
원인 :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일어남
중심세력 : 유생층(최익현, 민종식등) +평민의병장(신돌석)
=> 을미의병에 대해 참여계층확대
활동 :
전국적으로 대규모 확대
평민 주도 부대 출현
소규모 유격전으로 활약
주요 전투로 민종식의 홍주성 전투
3. 3차의병(정미의병)
원인 :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에 반발하여 일어남
중심 세력 :
각계각층이 참여 ( 전직관리, 유생, 군인, 농민, 포수등)
평민의병장의 활약 - 유격전술을 사용하여 최소의 희생으로 일본군에 큰 타격 호남일대에서 가장 활발하게 전개
해산 군인 합류로 준군사조직화 => 의병전쟁
활동
서울진공작전 : 13도 창의군 결성 => 허위의 선발대가 근접하였으나 일본군의 우세한 화력과 총대장 이인영이 부친상을 핑계로 총대장직을 사직하여 서울 탈환을 실패하고 자연해산함
각국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 법사 교전 단체로 인정해줄 것을 요구
세계에 유래없는 장기적으로 광범위한 무장 투쟁이었으며, 이들의 자기 희생적 애국정신은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공포의 대상이엇으며 한국 병합을 그만큼 지연 시켰다. 하지만 위정척사론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해 대중적 지도 노선을 확보하지 못한 한계성을 가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0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7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