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크리스트교
1. 크리스트교의 성립
2. 크리스트교의 발전
3. 크리스트교의 영향
Ⅲ. 교황권의 발전
1. 서임권 투쟁의 배경
2. 교권과 세속권의 대립
3. 카노사의 굴욕
Ⅳ. 교황의 지위
1. 황제와 교황 권력에 대한 논쟁
2. <콘스탄티누스의 증여> 문서
3. 황제에게서 세속의 통치권을 얻은 교황
Ⅴ. 나오며
Ⅱ. 크리스트교
1. 크리스트교의 성립
2. 크리스트교의 발전
3. 크리스트교의 영향
Ⅲ. 교황권의 발전
1. 서임권 투쟁의 배경
2. 교권과 세속권의 대립
3. 카노사의 굴욕
Ⅳ. 교황의 지위
1. 황제와 교황 권력에 대한 논쟁
2. <콘스탄티누스의 증여> 문서
3. 황제에게서 세속의 통치권을 얻은 교황
Ⅴ. 나오며
본문내용
대항할 근거를 마련한다. 그는 유럽의 중심지를 일일이 순회하면서 개혁운동의 실천을 독려했다.
1. 성직자의 혼인과 성직매매를 금지한다.
2. 저명한 개혁적인 고위성직자를 로마교회에 추기경으로 임명한다.
이러한 레오 9세의 활약으로 유럽 사회에서 교황의 위치가 세속 군주의 위치와 최소한 동등함이 확인되었고, 그의 노력으로 이후 청신함을 바탕으로 유럽 교회 개혁에 앞장설 인물들을 교회에서 발굴할 수 있게 되었다.
2) 교권과 세속권의 대립
중세 로마 교회는 수장인 교황으로부터 하위 성직자에 이르기까지 상하의 계급 구조를 이루어 웅대한 제도적 조직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직적 구성을 일반적으로 교권 정치라고 한다. 각 지방의 주교와 수도원은 왕과 귀족들로부터 토지를 기증받아 광대한 영지를 지배하는 봉건 영주가 되었다. 특히 교황청은 세속 국왕과 제후를 능가하는 유럽 제1의 재력가가 되었다. 또한 로마 제국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고도의 관료 기구도 가지고 있었으므로 권력이 분열되어 있는 국왕이나 제후들에 대하여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교황의 세속적 권력이 강해지자 지상의 최고 권력자인 황제와 우월권을 놓고 싸움이 벌어져 11세기 이후 약2세기에 걸쳐 격렬한 투쟁이 전개되었다. 그 직접적인 계기는 성직자에 대한 임명권, 교회 영지에 대한 세금 징수와 재판권에 관한 문제였다. 당시 세속군주들은 성직자들에 대한 임명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인격이 형편없는 자돌도 자신의 측근이면 성직자로 임명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그래서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는 칙령을 내려 세속 군주의 성직자 임명권을 박탈하고, 성직의 매매 금지, 성직자의 독신제 , 평신도에 의한 성직 임명의 금지 등을 발표하여 교황권의 확립에 노력하였다. 이를 계기로 교속의 대립과 투쟁이 전개되었다.
3) 카노사의 굴욕
1075년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가 지금까지 국왕 및 제후가 갖고 있던 성직 임명권을 교황만이 가질 수 있다고 공포하였다. 성직자를 세속의 왕이나 제후들이 임명하기 때문에 교회가 부패하였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하인리히4세는 이에 반발했다. 성직 임명권을 넘겨 준다는 것은 카톨릭 사회에 대한 지배권을 잃는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었다. 하인리히4세는 왕권도 역시 신이 내린 지위이므로 교황이 성직 임명권을 독점할 수 없다고 하였다. 1076년 1월 하인리히4세는 보름스에서 제국의회를 소집,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를 폐위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자 이번엔 분노한 교황이 하인리히4세를 파문에 처하였다. 사태가 이렇게 악화되자 하인리히4세를 지지하던 독일의 제후와 성직자들은 황제에게서 등을 돌렸다. 하인리히4세는 지금까지 자신을 지지해 주던 제후들과 성직자들의 배신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더 이상 교황권과 싸울 기반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하인리히4세는 교황에게 무조건 복종할 것을 맹세하고, 그것만으로 불안하였기 때문에 교황을 직접 만나 용서를 빌기로 하였다. 교황은 당시 카노사 성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유난히 추운 겨울, 얼어 붙은 라인강을 건너고 눈 덮인 알프스를 넘어 카노사에 도착하였지만 면회조차 거절되었다. 하인리히4세는 하는 수없이 3일 밤낮을 눈속에서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며 용서를 빌었다. 그제서야 교황은 교회에 복종할 것을 서약받은 다음 파문을 취소해 주었다. 이것은 당시 중세 사회에서 교황의 권위가 얼마나 막강하였는가를 단적으로 증명하는 사건이었다.
Ⅳ. 교황의 지위
1) 황제와 교황 권력에 대한 논쟁
“진짜 황제는 교황이다” 라는 말은 12세기에 나온 말이다. 이것은 이른바 <파리 대법전>에 나오는 말이다. 또 <
1. 성직자의 혼인과 성직매매를 금지한다.
2. 저명한 개혁적인 고위성직자를 로마교회에 추기경으로 임명한다.
이러한 레오 9세의 활약으로 유럽 사회에서 교황의 위치가 세속 군주의 위치와 최소한 동등함이 확인되었고, 그의 노력으로 이후 청신함을 바탕으로 유럽 교회 개혁에 앞장설 인물들을 교회에서 발굴할 수 있게 되었다.
2) 교권과 세속권의 대립
중세 로마 교회는 수장인 교황으로부터 하위 성직자에 이르기까지 상하의 계급 구조를 이루어 웅대한 제도적 조직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직적 구성을 일반적으로 교권 정치라고 한다. 각 지방의 주교와 수도원은 왕과 귀족들로부터 토지를 기증받아 광대한 영지를 지배하는 봉건 영주가 되었다. 특히 교황청은 세속 국왕과 제후를 능가하는 유럽 제1의 재력가가 되었다. 또한 로마 제국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고도의 관료 기구도 가지고 있었으므로 권력이 분열되어 있는 국왕이나 제후들에 대하여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교황의 세속적 권력이 강해지자 지상의 최고 권력자인 황제와 우월권을 놓고 싸움이 벌어져 11세기 이후 약2세기에 걸쳐 격렬한 투쟁이 전개되었다. 그 직접적인 계기는 성직자에 대한 임명권, 교회 영지에 대한 세금 징수와 재판권에 관한 문제였다. 당시 세속군주들은 성직자들에 대한 임명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인격이 형편없는 자돌도 자신의 측근이면 성직자로 임명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그래서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는 칙령을 내려 세속 군주의 성직자 임명권을 박탈하고, 성직의 매매 금지, 성직자의 독신제 , 평신도에 의한 성직 임명의 금지 등을 발표하여 교황권의 확립에 노력하였다. 이를 계기로 교속의 대립과 투쟁이 전개되었다.
3) 카노사의 굴욕
1075년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가 지금까지 국왕 및 제후가 갖고 있던 성직 임명권을 교황만이 가질 수 있다고 공포하였다. 성직자를 세속의 왕이나 제후들이 임명하기 때문에 교회가 부패하였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하인리히4세는 이에 반발했다. 성직 임명권을 넘겨 준다는 것은 카톨릭 사회에 대한 지배권을 잃는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이었다. 하인리히4세는 왕권도 역시 신이 내린 지위이므로 교황이 성직 임명권을 독점할 수 없다고 하였다. 1076년 1월 하인리히4세는 보름스에서 제국의회를 소집, 교황 그레고리우스7세를 폐위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러자 이번엔 분노한 교황이 하인리히4세를 파문에 처하였다. 사태가 이렇게 악화되자 하인리히4세를 지지하던 독일의 제후와 성직자들은 황제에게서 등을 돌렸다. 하인리히4세는 지금까지 자신을 지지해 주던 제후들과 성직자들의 배신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더 이상 교황권과 싸울 기반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하인리히4세는 교황에게 무조건 복종할 것을 맹세하고, 그것만으로 불안하였기 때문에 교황을 직접 만나 용서를 빌기로 하였다. 교황은 당시 카노사 성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유난히 추운 겨울, 얼어 붙은 라인강을 건너고 눈 덮인 알프스를 넘어 카노사에 도착하였지만 면회조차 거절되었다. 하인리히4세는 하는 수없이 3일 밤낮을 눈속에서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며 용서를 빌었다. 그제서야 교황은 교회에 복종할 것을 서약받은 다음 파문을 취소해 주었다. 이것은 당시 중세 사회에서 교황의 권위가 얼마나 막강하였는가를 단적으로 증명하는 사건이었다.
Ⅳ. 교황의 지위
1) 황제와 교황 권력에 대한 논쟁
“진짜 황제는 교황이다” 라는 말은 12세기에 나온 말이다. 이것은 이른바 <파리 대법전>에 나오는 말이다. 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