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려사상의 개요
2. 불교사상
*고려사상에서의 불교(단점을 중심)
3. 유교사상
4. 도교사상
5. 풍수지리설
6. 고려시대의 윤리사상(종합적)
7. 지눌의 사상
8. 생각할 문제
2. 불교사상
*고려사상에서의 불교(단점을 중심)
3. 유교사상
4. 도교사상
5. 풍수지리설
6. 고려시대의 윤리사상(종합적)
7. 지눌의 사상
8. 생각할 문제
본문내용
, 다양한 신앙을 종합해서 민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일체감을 가지려 하였던 것이다.
고려시대의 사상은 불교를 위시한 여러 신앙과 사상이 종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데 그 특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회의 기본 구조에 깊은 영향력을 끼치고, 고유의 신앙과 사회구조를 포용한 것은 불교로 들겠다.
3.고려사 에서 불교의 어두운 그림자.
불교는 민간신앙과도 결합하여 승려들은 무복(巫卜)풍수도참(圖讖)을 통해 이것으로 민심을 좌우하었다. 또, 많은 경비를 들여 절을 짓고 불교행사를 마련한 것은 고려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
4.유교사상
고려 후기에는 신흥사대부들에 의해 새로운 유학인 성리학이 수용되었다. 성리학은 송의 주자가 완성한 것으로 우주의 근본원리와 인간의 심성문제를 철학적으로 해명하려는 유학이었다. 고려는 이미 무신란 이후 선종의 부흥과 파탄으로 성리학의 수용의 터전이 마련되어 있어서 성리학의 수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이 때 처음으로 수용된 성리학은 형이상학적 측면보다는 실천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일상생활에 관계되는 실천적 기능이 수용되어 주자의 실천덕목의 책인 《소학》이 존중되었고, 예속을 바로잡기 위해 주자가례가 채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성리학도 고려에서 차츰 철학적인 이기론에 대해서 심도를 더해갔고, 그 발전도 두드러졌다. 이러한 성리학의 수용은 종래의 유학을 철학적인 유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유불 교체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고려 후기에는 성리학이 받아들여져 기존의 불교사상이 쇠퇴하고 새로운 사상체계인 유교가 흥하게 되었다.
고려시기에 유교는 과거로 진출한 문신들의 실용적 교양이며 사상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으며, 정치이념을 제공하였다. 이에 반해 불교는 당시인의 신앙생활이나 내면 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최승로 의 시무 28조
5.도교사상
고려시기에 유교와 불교가 중심사상이었다.
그중 종교 신앙상으로는 불교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밖의 도교도 사회전반에 끼친 영향이 대단하였으며 도관이 설치되고 도사가 있었으며 각종 초재가 거행되었다.
6.풍수지리설
풍수지리설은 오래전부터 있어왔지만 신라 말에 도선이라는 사람에 의하여 집약되었다.
이것은 태조왕건이 국가를 경영하는데 크게 차고 하였으며 국가의 중요한 시책을 결정하는데 미친 영향력은 실로 대단했다. 사찰을 건립하는 데나 천도문제를 논의 하는 데 , 마을의 입지를 선댁하거나 주
고려시대의 사상은 불교를 위시한 여러 신앙과 사상이 종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데 그 특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회의 기본 구조에 깊은 영향력을 끼치고, 고유의 신앙과 사회구조를 포용한 것은 불교로 들겠다.
3.고려사 에서 불교의 어두운 그림자.
불교는 민간신앙과도 결합하여 승려들은 무복(巫卜)풍수도참(圖讖)을 통해 이것으로 민심을 좌우하었다. 또, 많은 경비를 들여 절을 짓고 불교행사를 마련한 것은 고려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
4.유교사상
고려 후기에는 신흥사대부들에 의해 새로운 유학인 성리학이 수용되었다. 성리학은 송의 주자가 완성한 것으로 우주의 근본원리와 인간의 심성문제를 철학적으로 해명하려는 유학이었다. 고려는 이미 무신란 이후 선종의 부흥과 파탄으로 성리학의 수용의 터전이 마련되어 있어서 성리학의 수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이 때 처음으로 수용된 성리학은 형이상학적 측면보다는 실천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일상생활에 관계되는 실천적 기능이 수용되어 주자의 실천덕목의 책인 《소학》이 존중되었고, 예속을 바로잡기 위해 주자가례가 채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성리학도 고려에서 차츰 철학적인 이기론에 대해서 심도를 더해갔고, 그 발전도 두드러졌다. 이러한 성리학의 수용은 종래의 유학을 철학적인 유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유불 교체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고려 후기에는 성리학이 받아들여져 기존의 불교사상이 쇠퇴하고 새로운 사상체계인 유교가 흥하게 되었다.
고려시기에 유교는 과거로 진출한 문신들의 실용적 교양이며 사상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으며, 정치이념을 제공하였다. 이에 반해 불교는 당시인의 신앙생활이나 내면 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최승로 의 시무 28조
5.도교사상
고려시기에 유교와 불교가 중심사상이었다.
그중 종교 신앙상으로는 불교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밖의 도교도 사회전반에 끼친 영향이 대단하였으며 도관이 설치되고 도사가 있었으며 각종 초재가 거행되었다.
6.풍수지리설
풍수지리설은 오래전부터 있어왔지만 신라 말에 도선이라는 사람에 의하여 집약되었다.
이것은 태조왕건이 국가를 경영하는데 크게 차고 하였으며 국가의 중요한 시책을 결정하는데 미친 영향력은 실로 대단했다. 사찰을 건립하는 데나 천도문제를 논의 하는 데 , 마을의 입지를 선댁하거나 주
키워드
추천자료
조선시대와 고려시대 사회구조
조선시대여성과 고려시대여성의 차이
[고려]고려시대의 군사제도에 관한연구
[역사학] 고려시대,조선시대의 관학과 사학 및 교육
조선시대와 고려시대 과거제도
<고려시대의 교육과 중세시대의 교육 비교연구>
고대와 삼국시대의 교육 & 고려시대의 교육
고려시대사 논문 정리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PPT자료
고려시대는 귀족제인가 관료제인가 - 『한국사 시민강좌』중 「고려사회의 기본 성격」을 중...
[관료제, 민주주의, 다원주의, 행정문화]관료제와 민주주의, 관료제와 다원주의, 관료제와 행...
[한국문화사] <차 (茶)> 우리나라 차의 역사 - 우리나라 차의 전래(인도차 전래설, 중국차종 ...
아동의 개념과 아동복지의 이념 및 아동복지법의 발전과정(아동의 개념, 아동복지의 이념, 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