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음식물 쓰레기 처리문제와 해결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음식물 쓰레기 처리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우리 나라 음식물쓰레기의 현황
(1) 음식물쓰레기의 문제점
(2) 음식물쓰레기의 발생현황
(3) 음식물쓰레기의 특징
Ⅲ.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법
(1)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법
(2)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현황
(3) 환경부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기본 계획』
(4) 외국의 사례
Ⅳ.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문제점과 수정방안
(1) 폐기물 처리장과 지역 이기주의
(2) 정부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대책
(3) 생활에서의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
Ⅴ.맺음말

본문내용

감소추세에 있으나 아직은 전체 생활쓰레기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가장 높은 실정이다.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을 배출원별로 비교하면 1995년 기준으로 주요 발생원은 가정과 식품접객업소로써 가정의 경우 전체 발생량의 41%인 하루 6,181톤, 음식점의 경우 42%인 6,331톤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정과 대형유통업소에서의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 발생현황>> (단위 : 톤/일)
구 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2000
(전망)
2001
(전망)
생활쓰레기 발생량
83,962
92,246
75,096
62,940
58,118
47,774
49,925
47,895
49,900
51,700
음식물쓰레기발생량
(점유율%)
23,003
(27.4%)
26,311
(28.5%)
21,807
(29.0%)
19,794
(31.4%)
18,055
(31.1%)
15,075
(31.6%)
14,532
(29.1%)
13,063
(27.3%)
13,070
(26.2%)
13,578
(26.3%)
재활용량
166
316
476
1,275
처리비율(%)
매립
97.3
95.4
92.8
84.0
소각
1.8
2.5
3.9
6.2
재활용
0.9
2.1
3.3
9.8
<<음식물쓰레기 배출원별 발생량>>
구 분
식품접객
업소
가정
대형유통업소
(시장등)
단체급식

1995년
발생량(톤/일)
6,331
6,181
1,961
603
15,075
비율(%)
42
41
13
4
100
2000년
발생량(톤/일)
2,820
7,391
2,501
358
13,070
비율(%)
21.6
56.5
19.6
2.8
100
2002년
(전망)
발생량(톤/일)
2,927
7,521
2,740
390
13,578
비율(%)
21,6
55.4
20.1
2.9
100
자료 : 환경부,『음식물쓰레기 감량자원화 기본계획』, 1998
(3) 음식물쓰레기의 특징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성상별로 분석하면, 채소류가 전체 발생량의 53.1%에 해당하는 8,005톤/일이 배출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음으로 어육류가 2,804톤/일, 곡류가 2,216톤/일, 과일류 2,50톤/일 순이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현저한 증가를 보인다는 보고도 있는데 이는 계절별로 선호하는 과일 및 음식이 다르며 외부온도 상승으로 인한 유통과정 중의 식품 폐기량 증가 때문으로 사료된다.
<<음식물쓰레기의 주요구성>>
구 분
채소류
어육류
곡류
과일류

발생량(톤/일)
8,005
2,804
2,216
2,050
15,075
비율 (%)
53.1
18.6
14.7
13.7
100
자료 : 환경부,『음식물쓰레기 관리정책 및 기술동향과 감량화자원화 실천사례』,1997
국내 음식물쓰레기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이 수분, 이물질, 부패, 염분, 계절적 편차 등의 문제들이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든다면 수분이 많다는 점이다. 대략 80~85% 정도가 평균치이며, 기계적으로 물을 분리하는데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보관이 어렵고 물이 많기 때문에 이용할 수 있는 성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일반곡물사료와 비교하면 약4배 정도 사료가치가 떨어진다. 또한 퇴비화, 사료화 할 경우 감소되는 수분으로 인해 생산수율을 낮추는 주요한 요인이다.
두번째로는 이물질을 들수 있다. 다세대에서 수거하는 경우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이물질로서 비닐, 병마개, 수세미, 고무장갑, 일반쓰레기 등이 함께 섞여 있는데, 비록 그 비율은 작다하더라도 재활용 처리되는 데는 장애요인이 된다. 이들을 분리해 내기위해 최소한의 수작업, 기계적 분리등을 거쳐야 하는데 비용이 발생되고, 재활용 퇴비나 사료의 품질저하의 요인이 된다.
세번째로 음식물쓰레기가 갖고 있는 주요한 특징중의 하나는 부패되어 있을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상한 음식물이 섞여 들어올 개연성이 있으므로 신속 처리하여야 하고 때로는 열처리 등을 거쳐 살균작업을 거쳐야 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여름철에는 부패속도가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 부패란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과정인데, 흙살림 연구소에서 미생물 분석 결과 음식물쓰레기에는 그램당 107 ~ 109마리까지 상당히 높은 결과를 보이는데 주로 혐기성 미생물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온도의 영향으로 부패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네번째로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염분문제인데, 높은 염분 함량으로 퇴비 품질 저하 및 토양 오염의 악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과 종류가 계절적인 편차를 보여서 퇴비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화학적 특징을 살펴보면, 비료성분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퇴비화시 비료적인 품질을 나타내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화학적 성분중에 질소 2.47%의 수준은 보통 퇴비보다는 약간 높으나, 퇴비 재료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 염분(소금기) 함량은 없으나 평균적으로 2%내외의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Ⅲ.음식물쓰레기의 처리방법
(1)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하루에도 1,880트럭씩 쏟아지는 음식물쓰레기는 다른 쓰레기와 함께 혼합되어 대부분 매립(84.0%)되었다. 대체로 우리 나라 음식물쓰레기의 수분함량은 80%정도이고, 약 1~2.3% 정도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pH는 약 4.5 ~ 5.2 정도의 산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으나, 음식물쓰레기 혼합물의 조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보아진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분리과정의 어려움이 존재하며, 수거와 운반과정에서 오수유출, 악취와 부패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매립소각재활용 등이 있으나, 매립의 경우, 악취, 침출수의 발생 등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이로 말미암아 2005년부터는 매립지에 음식물쓰레기를 직매립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된다. 소각의 경우는 <그림Ⅱ-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수분 함유로 인한 불완전연소
  • 가격12,6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