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관절의 디자인(Joint Design)
2.관절의 종류(Joint Categories)
A.비가동성 관절(Synarthroses)
B.가동성관절(Diarthroses)
3.관절기능(Joint Fuction)
A.키네마틱사슬(Kinematic Chains)
B.관절운동(Joint Motion)
C.골키네매틱(Osteokinematic)
2.관절의 종류(Joint Categories)
A.비가동성 관절(Synarthroses)
B.가동성관절(Diarthroses)
3.관절기능(Joint Fuction)
A.키네마틱사슬(Kinematic Chains)
B.관절운동(Joint Motion)
C.골키네매틱(Osteokinematic)
본문내용
일차적인 기능이 안정성이고, 복잡한 관절은 일차적인 기능이 운동성이다. 그러나, 인체관절의 대부분은 운동성/안정성을 갖는 이중성이며 또한 역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을 제공할 수 있어야 된다. 인체관절의 안정성은 뼈 끝이 서로 잘 맞거나 혹은 평평하게 놓여 있어 테이블 조인트를 위한 설계와 비슷하다. 인체관절을 위한 꺽쇠는 관절낭, 인대, 건의 작용이 대신한다. 인체의 운동성을 위한 일차적으로 설계된 관절을 활막관절(synovial joint)이라 한다. 이 관절은 연결되는 뼈의 끝이 활막초(synovial sheath: joint capsule)에 의해 봉해진 구조이다. 운동성을 위한 관절(synovial)주위에 있는 관절낭, 인대들은 관절을 위해 안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동도 허용한다. 반월판(menisci), 디스크(disks), 플레이트(plate), 그리고 관절순(labrun)이라 부르는 쐐기 모양의 연골은 활막관절(synovial joint)의 안정성 증가, 충격흡수, 운동촉진을 위해 있다. 첨가적으로 활액(synovial fluid)이라고 부르는 윤활액체(lubricating fluid)가 관절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기 위해 모든 활막관절에서 분비된다.
2. 관절의 종류(joint categories)
관절분류의 전통적인 방법은 인체의 관절(arthroses of articulation)의 뼈 결합의 방법과 구성성분의 형태에 기초를 두어 넓게 두 가지고 구분한다. 관절의 종류를 세분하면 적용된 구성성분, 형태, 관절면의 형태, 어떤 운동이 허용되는지에 기초를 둔다. 관절(arthroses)의 넓은 두가지 범주는 비가동성 관절 또는 비활액성 관절(synathroses: nonsynovial joint)과 가동성 관절 또는 활액성 관절(diarthroses: synovial joint)dlek.
A.비가동성관절(synarthroses)
비가동성 관절에서 연결되는 뼈의 구성성분은 골간성 결합조직(interosseus connective tissue)이다. 비가동성 관절은 뼈와 뼈가 결합하는데 적용된 결합조직의 형태에 따라 섬유성 관절(fibrous joint)와 연골성관절(catilagenous joint)로 나눈다. 결합조직은 뼈와 다른뼈를 직접적으로 결합시킨다.
1.섬유성관절(fibrous joint)
섬유성관절에서 섬유조직이 직접 뼈와 뼈를 결합시킨다. 인체에는 3가지 다른 섬유관절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봉합관절(suture), 못박이 관절(gomphosis), 그리고 인대결합(syndesmosis) 관절이다. 두 개의 뼈로 구성된 관절은 밀집된 섬유조직의 엷은 막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것은 봉합관절(suture joint)이다. 구성되는 뼈들의 끝이 맞얽히거나(interlock) 혹은 서로 중첩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관절의 형태는 두개골에서 볼 수 있으며 유아기에는 약간의 운동이 허용된다. 봉합관절에서 뼈의 융합은 살아있는 동안에 일어나며 골결합(synostosis)이라고 부르는 뼈결합을 일으킨다.
예: 관상봉합(coronal suture)- 전두골과 측두골은 관절유합(synarthrodial)봉합 관절을 형성하기 위해 섬유조직에 직접적으로 연합된다.
톱니모양의 두정골 끝과 전두골 끝이 엷은 섬유성막에 의해 연결되어 관상봉합(coronal suture)을 형성한다. 섬유성 막은 출생시 산도를 쉽게 통과하도록 운동이 일어난다. 유아기 동안에도 약간 운동이 허용되어 뇌의 성장과 두개골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성년기에는 뼈가 완전히 성숙하며 골격결합이 되고 전혀 운동이 없다.
관절의 뼈구성이 구멍에 쐐기 못(peg)을 박은 형태의 관절이 못박이 관절(gomphosis joint)이다. 이 관절형태의 구성성분은 섬유조직(fibrous tissue)에 의해 연결된다. 못박이 관절형태는 인체의 상악골과 하악골에 있는 치아이다.
예: 치아의 원추형 돌기가 상악골과 하악골에 있는 소켓트에 박혀 있다. 성인기에서 치아를 잃게 되는게 그것은 시멘트 역할을 하는 결합조직에 질병이 생겨 손상되거나 혹은 뼈가 치아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질병손상으로 일어난다. 정상 성인에서는 벼와 치아사이에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다른 섬유관절의 형태는 두 뼈 사이를 인대, 코드(cord), 근막(aponeurotic membrane)에 의해 연결되는 것인데 이것은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joint)이다.
예: 경골의 골간(shaft)은 비골(fibular)의 골간과 직접 막에 의해 관절을 이룬다(그림-경골과 비골체는 인대결합(synarthrodial syndesmosis)을 형성하기 위해 막에 의해 직접접으로 연합된다.) 이 관절은 슬관절과 족관절의 운동과 함께 약간의 운동성이 있다.
2.연골성 관절(catilagenous joints)
연골성 관절을 이루는 연결부위 구성요소는 섬유성 연골물질(fibrocatilage)이거나 혹은 초자연성 성장연골(hyaline growth cartilage)이다. 이들 굿어성분은 양뼈사이를 직접 연결시킨다(bone-cartilage-bone), 연골성 관절의 두가지 형태는 섬유성 연골결합(synphyses)과 연골성 연골결합(synchondroses)이다.
섬유성 연골결합 관절에서 두 벼는 디스크(disk) 또는 플레이트(plate)형으로 된 섬유연골(fibrocatilage)에 의해 직접 연결도니다.
예: 치골결합(symphsis pubis)
골반의 두 치골은 섬유연골에 의해 연결된다. 이 관절은 체중부하 관절(weight-bearing joint)로 작용하고, 힘을 전달하고 힘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운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임신기간중 결합조직이 부드럽게 되었을 때 아기가 산도를 통과하기 쉽게 약간 관절면이 분리된다. 그러나, 치골결합은 두 뼈 사이에 두꺼운 섬유성 연골이 형성되어 일차적으로 관절의 안정성을 도모한다고 생각한다.
연골성 관절(synchondrosis) 관절은 관절을 이루는 두 뼈사이에 초자연성 성장연골(hyaline growth cartilage)로 연결되는
2. 관절의 종류(joint categories)
관절분류의 전통적인 방법은 인체의 관절(arthroses of articulation)의 뼈 결합의 방법과 구성성분의 형태에 기초를 두어 넓게 두 가지고 구분한다. 관절의 종류를 세분하면 적용된 구성성분, 형태, 관절면의 형태, 어떤 운동이 허용되는지에 기초를 둔다. 관절(arthroses)의 넓은 두가지 범주는 비가동성 관절 또는 비활액성 관절(synathroses: nonsynovial joint)과 가동성 관절 또는 활액성 관절(diarthroses: synovial joint)dlek.
A.비가동성관절(synarthroses)
비가동성 관절에서 연결되는 뼈의 구성성분은 골간성 결합조직(interosseus connective tissue)이다. 비가동성 관절은 뼈와 뼈가 결합하는데 적용된 결합조직의 형태에 따라 섬유성 관절(fibrous joint)와 연골성관절(catilagenous joint)로 나눈다. 결합조직은 뼈와 다른뼈를 직접적으로 결합시킨다.
1.섬유성관절(fibrous joint)
섬유성관절에서 섬유조직이 직접 뼈와 뼈를 결합시킨다. 인체에는 3가지 다른 섬유관절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봉합관절(suture), 못박이 관절(gomphosis), 그리고 인대결합(syndesmosis) 관절이다. 두 개의 뼈로 구성된 관절은 밀집된 섬유조직의 엷은 막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것은 봉합관절(suture joint)이다. 구성되는 뼈들의 끝이 맞얽히거나(interlock) 혹은 서로 중첩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관절의 형태는 두개골에서 볼 수 있으며 유아기에는 약간의 운동이 허용된다. 봉합관절에서 뼈의 융합은 살아있는 동안에 일어나며 골결합(synostosis)이라고 부르는 뼈결합을 일으킨다.
예: 관상봉합(coronal suture)- 전두골과 측두골은 관절유합(synarthrodial)봉합 관절을 형성하기 위해 섬유조직에 직접적으로 연합된다.
톱니모양의 두정골 끝과 전두골 끝이 엷은 섬유성막에 의해 연결되어 관상봉합(coronal suture)을 형성한다. 섬유성 막은 출생시 산도를 쉽게 통과하도록 운동이 일어난다. 유아기 동안에도 약간 운동이 허용되어 뇌의 성장과 두개골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성년기에는 뼈가 완전히 성숙하며 골격결합이 되고 전혀 운동이 없다.
관절의 뼈구성이 구멍에 쐐기 못(peg)을 박은 형태의 관절이 못박이 관절(gomphosis joint)이다. 이 관절형태의 구성성분은 섬유조직(fibrous tissue)에 의해 연결된다. 못박이 관절형태는 인체의 상악골과 하악골에 있는 치아이다.
예: 치아의 원추형 돌기가 상악골과 하악골에 있는 소켓트에 박혀 있다. 성인기에서 치아를 잃게 되는게 그것은 시멘트 역할을 하는 결합조직에 질병이 생겨 손상되거나 혹은 뼈가 치아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질병손상으로 일어난다. 정상 성인에서는 벼와 치아사이에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다른 섬유관절의 형태는 두 뼈 사이를 인대, 코드(cord), 근막(aponeurotic membrane)에 의해 연결되는 것인데 이것은 인대결합 관절(syndesmosis joint)이다.
예: 경골의 골간(shaft)은 비골(fibular)의 골간과 직접 막에 의해 관절을 이룬다(그림-경골과 비골체는 인대결합(synarthrodial syndesmosis)을 형성하기 위해 막에 의해 직접접으로 연합된다.) 이 관절은 슬관절과 족관절의 운동과 함께 약간의 운동성이 있다.
2.연골성 관절(catilagenous joints)
연골성 관절을 이루는 연결부위 구성요소는 섬유성 연골물질(fibrocatilage)이거나 혹은 초자연성 성장연골(hyaline growth cartilage)이다. 이들 굿어성분은 양뼈사이를 직접 연결시킨다(bone-cartilage-bone), 연골성 관절의 두가지 형태는 섬유성 연골결합(synphyses)과 연골성 연골결합(synchondroses)이다.
섬유성 연골결합 관절에서 두 벼는 디스크(disk) 또는 플레이트(plate)형으로 된 섬유연골(fibrocatilage)에 의해 직접 연결도니다.
예: 치골결합(symphsis pubis)
골반의 두 치골은 섬유연골에 의해 연결된다. 이 관절은 체중부하 관절(weight-bearing joint)로 작용하고, 힘을 전달하고 힘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운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임신기간중 결합조직이 부드럽게 되었을 때 아기가 산도를 통과하기 쉽게 약간 관절면이 분리된다. 그러나, 치골결합은 두 뼈 사이에 두꺼운 섬유성 연골이 형성되어 일차적으로 관절의 안정성을 도모한다고 생각한다.
연골성 관절(synchondrosis) 관절은 관절을 이루는 두 뼈사이에 초자연성 성장연골(hyaline growth cartilage)로 연결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