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란 무엇인가?
2. 역사형성에 작용하는 힘은 무엇인가?
3. 역사는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가?
4. 역사진행에 임해야 할 자세
5. 역사학의 연구대상의 성격과 그 취급
6. 역사학의 연구영역
7. 역사학의 과제
8. 역사연구를 통해 무엇을 얻고 있는가?
9. 역사관이란 무엇인가?
2. 역사형성에 작용하는 힘은 무엇인가?
3. 역사는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가?
4. 역사진행에 임해야 할 자세
5. 역사학의 연구대상의 성격과 그 취급
6. 역사학의 연구영역
7. 역사학의 과제
8. 역사연구를 통해 무엇을 얻고 있는가?
9. 역사관이란 무엇인가?
본문내용
역사연구는 바로 인간성에 관한 연구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계속 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역사진행이 생성과 변화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 바로 그러한 과정 속에서 인간성이 어떻게 자신을 표현하고 있었던가가 연구 되어야만 한다. 우리는 바로 그러한 연구를 통해 인간성을 보다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결국에는 자기인식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9. 역사관이란 무엇인가?
역사관이란 인류역사 전체를 통일적으로 관찰하는 하나의 사고체계를 갖춘 사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그것은 모든 역사들은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관찰하고 해석하는 하나의 사고형식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역사관은 일반적인 의미의 관점이나 관찰양식과는 다르다.
우리는 역사사건을 관찰하는 역사가에게서 하나의 관점과 같이 작용하는 사고의 틀을 역사관이라고 일단은 인정할 수 있겠다. 그런데 역사가는 자신의 연구대상을 역사진행의 복합성과 연속성 속에서 관찰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그가 개별사건들과 민족들, 시대들과 문화권들을 인류역사 전체의 흐름 속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경지로까지 나아가는 일이다. 역사가에게 이상과 같은 관찰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로 역사관이다.
우선, 객관적 관찰대상으로서의 역사가 역사가에게 “발전적인”진행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역사관은 역사진행이 직선적인 것이든, 나선적인 것이든, EH는 변증법적인 것이든 간에, 여하튼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모습으로서, 그리고 영원한 “신의 나라”를 향해서이건, 계급 없는 공산사회를 향해서이건, 또는 보다 더 도덕적이고 완전한 자유를 향해서이건 간에 자기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서, 즉 “발전적”인 것으로 파악될 때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역사관은 인류역사 전체를 통일적으로 관찰할 때 비로소 형성된다. 여기에서의 “통일적”관찰이란 역사가가 여러 시대와 여러 지역에서 일어났었던 수많은 개별사건들, 민족들과 문화권의 역사들을 하나의 원리 위에서 관찰하며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도는 수많은 사건들을 일정한 원리에 입각하여 하나의 세계사속으로 수용시켜서 보편사적으로 관찰하는 경지이기도 하다.
진정한 의미의 역사관은 인류역사 전체가 이와 같이 “발전적”인 진행으로서 이해됨과 동시에 “통일적”으로 관찰될 때 비로소 성립될 수 있다. 그러한 한에 있어서는 역사관은 역사진행에 대한 강한 자각이, 그리고 그 이해를 위한 강한 의식이 있을 때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리하여 여기에서는 자연히 역사진행의 동력, 발전양식, 보편적 법칙, 그리고 그 목표에 관한 일정한 관념들이 갖추어진다. 이러한 내적 구조를 갖춘 하나의 역사관은 다시금 역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사고체계로서 작용하게 된다.
참고문헌
이상신 저, 역사학개론, 신서원 2005
에드워드 카 저,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07
정기문, 김중락 외 3명 저,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책과함께 2013
임희완 저, 역사학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0
한국사학사학회 저, 21세기 역사학 길잡이 경인문화사 2008
9. 역사관이란 무엇인가?
역사관이란 인류역사 전체를 통일적으로 관찰하는 하나의 사고체계를 갖춘 사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그것은 모든 역사들은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관찰하고 해석하는 하나의 사고형식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역사관은 일반적인 의미의 관점이나 관찰양식과는 다르다.
우리는 역사사건을 관찰하는 역사가에게서 하나의 관점과 같이 작용하는 사고의 틀을 역사관이라고 일단은 인정할 수 있겠다. 그런데 역사가는 자신의 연구대상을 역사진행의 복합성과 연속성 속에서 관찰해야 한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그가 개별사건들과 민족들, 시대들과 문화권들을 인류역사 전체의 흐름 속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경지로까지 나아가는 일이다. 역사가에게 이상과 같은 관찰을 가능케 하는 것이 바로 역사관이다.
우선, 객관적 관찰대상으로서의 역사가 역사가에게 “발전적인”진행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역사관은 역사진행이 직선적인 것이든, 나선적인 것이든, EH는 변증법적인 것이든 간에, 여하튼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모습으로서, 그리고 영원한 “신의 나라”를 향해서이건, 계급 없는 공산사회를 향해서이건, 또는 보다 더 도덕적이고 완전한 자유를 향해서이건 간에 자기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서, 즉 “발전적”인 것으로 파악될 때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역사관은 인류역사 전체를 통일적으로 관찰할 때 비로소 형성된다. 여기에서의 “통일적”관찰이란 역사가가 여러 시대와 여러 지역에서 일어났었던 수많은 개별사건들, 민족들과 문화권의 역사들을 하나의 원리 위에서 관찰하며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태도는 수많은 사건들을 일정한 원리에 입각하여 하나의 세계사속으로 수용시켜서 보편사적으로 관찰하는 경지이기도 하다.
진정한 의미의 역사관은 인류역사 전체가 이와 같이 “발전적”인 진행으로서 이해됨과 동시에 “통일적”으로 관찰될 때 비로소 성립될 수 있다. 그러한 한에 있어서는 역사관은 역사진행에 대한 강한 자각이, 그리고 그 이해를 위한 강한 의식이 있을 때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리하여 여기에서는 자연히 역사진행의 동력, 발전양식, 보편적 법칙, 그리고 그 목표에 관한 일정한 관념들이 갖추어진다. 이러한 내적 구조를 갖춘 하나의 역사관은 다시금 역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사고체계로서 작용하게 된다.
참고문헌
이상신 저, 역사학개론, 신서원 2005
에드워드 카 저,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2007
정기문, 김중락 외 3명 저, 역사학의 성과와 역사교육의 방향, 책과함께 2013
임희완 저, 역사학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0
한국사학사학회 저, 21세기 역사학 길잡이 경인문화사 2008
추천자료
- [교육철학사 텀페이퍼]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문제점과 발전과제에 대한 연구
- [역사학] 한국 역사 - 애국계몽운동
- 역사란 무엇인가?
- [중국역사학]중국의 역사보고서(내용 정리 포함)
- '비즈니스 전문인 선교학'을 읽고 난 후의 독후감 및 각 장의 연구과제 제출
- 2010년 1학기 행정학영어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woodow wilson 행정의 연구)
- (역사학) 동양사적 관점에서 본 동양의 비스마르크, 직례총독 이홍장
- 2011년 2학기 교육문제연구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교교육의교육본위관점에서비판)
- [연구와 평가 A+] A형과제물 - 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하시오
- 장기이식 영역에서의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과제
- [역사학개론] 서울을 알고 역사를 알고 (독서보고서)
- [역사학개론] 여성을 통해 표현한 보카치오의 근대적 경향
- 상담심리학 과제로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에 대한 비교와 분석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 (알리바바 기업전략 PPT) 알리바바 성공비결과 서비스분석/SWOT분석및 알리바바 경영전략,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