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기형도 시에 대한 연구 - 죽음과 어둠의 시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국문학] 기형도 시에 대한 연구 - 죽음과 어둠의 시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모티브와 주제
 1) 모티브란 무엇인가?
 2) 모티브와 주제는 어떻게 다른가?

3.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모티브의 양상
 1) [안개모티브]와 죽음
 2) [길 모티브]
 3) [물 모티브]
 4) [바람모티브]
 5) [죽음모티브]

4.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주제와 모티브와의 관계

5. 마치면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개 그리고 물 등 모든 것이 죽음과 연관되어 지는 것이다. 이광호 「상징적 죽음의 형식」솔 1994 ;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4.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주제와 모티브와의 관계 이영섭 「어둠과 고통의 시학」한국문예비평연구 1998 제 2집 한국문예비평학회
앞에서도 말했듯이 주제는 개별의 모티브들로부터 생성된다. 기형도의 시를 이루는 모티브들은 모두다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죽음이나 안개, 물, 바람 이 모두가 무섭고 부정적인 이미지이며 화자의 삶 자체가 시련과 고난 속에 있을 수 밖에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티브들이 부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주제마저 부정적이지는 않다. 그는 부정적인 면으로 끝내지 않고 부정적인 삶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가진다.
그의 시 [안개]에서는 안개모티브가 죽음의 모티브로 나아갔지만 그 이면에는 산업화로 인해 힘든 삶을 살아가야 하는 노동자들의 모습과 주위에 사람이 죽어도 아무렇지 않게 되는 개인주의와 산업자본주의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과 주제의식이 나오는 것이다. 이영섭 「어둠과 고통의 시학」한국문예비평연구 1998 제 2집 한국문예비평학회 23쪽
5. 마치면서
기형도에 대한 연구는 그의 ㅖ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의 시는 죽음과 어둠의 시학이라고 불린다. 그만큼 그의 시에서 나타나는 모티브는 기존의 원형적인 의미와 달리 부정적이며 이 모두가 죽음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형도의 시가 가치가 있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에서 나아가 비판적인 주제의식을 가지고 삶과 죽음, 그리고 사회를 바라보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재선「문학 주제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6
볼프강 카이저「언어예술작품론 볼프강 카이저」 예림기획 1999
박경옥 「안개의 상징성에 대하여」 檀山學志 제 8집 전단학회 2002년
이영섭 「어둠과 고통의 시학」한국문예비평연구 1998 제2집 한국문예비평학회
신진숙 「거부된 세계의 책/극장」比較文化硏究 2004 경희대학교부설 비교문화연구소
이광호 「상징적 죽음의 형식」솔 1994 ;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반경환 「시와 시인」문학과 지성사 1992 - 「절망과 행복」
조병춘 「기형도의 詩 연구」새 국어교육 2003년 65호 한국국어교육학회
안소현 「기형도 시의 이미지 연구 」수원대 교육대학원 2006
정재은 「기형도 시의 물의 이미지 연구」 수원대 교육대학원 2006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6.05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