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well bab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well bab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신체계측
(2) 활력징후 측정
(3) 신체검진
<반사 (Reflex)>

2. 간호과정
(1) 사정
<산모기록>
<신생아기록>
<Vital chart>
<Feeding>
<Stool&urine>
<투약약물>
(2) 진단, 계획, 수행 및 평가
#. 간호진단 1
#. 간호진단 2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7. 목욕물 온도는 38~40도 정도로 유지하고 너무 차가운 물로 목욕시키지 않는다. 목욕시간은 5분이 적당하며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다.
8. 목욕 후 아기에게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완전히 건조시킨다.
9. 분유 온도는 36~38도 사이를 유지한다.
10. 검사를 받거나 활력징후를 잴 때와 같이 신체노출이 필요할 때 노출을 최소한으로 한다.
1,2. 신생아의 체온을 자주 관찰해 저체온 증상을 빨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3. 분만실의 낮은 온도와 양수로 젖은 아기의 몸으로 인해 출산직후에 저체온증이 나타날 위험이 크므로 인큐베이터에서 Warming을 해 준다.
4. 추운 환경은 아기의 체온을 빼앗아 간다.
5,6. 아기의 피부에 접촉하는 물건을 따뜻하게 해 체온을 유지한다.
7. 너무 차가운 목욕물은 오한을 유발한다.
8. 목욕 후 물기가 증발하면서 아기의 체온을 빼앗아갈 수 있다.
9. 찬 분유를 섭취해 체온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10. 신체노출을 최소한으로 해서 체온손실을 최소한으로 막는다.
간호 수행
1. 4시간마다 신생아의 체온을 체크하였다.
2. 4시간 마다 저체온 증상을 관찰하였다. 오한, 무기력한 모습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호흡과 맥박을 체크하였다. 피부색을 관찰하고 피부를 만져보아 따뜻한지 차가운지 확인하였다.
2. 출생 후 4시간동안 인큐베이터에서 Warming 해 주었다.
3. 아기와 접촉할 때 손을 비벼 열을 낸 후 접촉하였다.
4. 실내 온도를 24~26도 사이로 유지하였다.
5. 바이탈을 잴 때 청진기를 저고리 위에 대고 쟀다.
7. 목욕물 온도는 38~40도 정도로 유지했고, 목욕시간은 4분~6분 정도였다.
8. 목욕 후 마른 담요로 아기의 몸통과 사지, 얼굴, 머리를 닦아주었다. 온몸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아기에게 옷을 입히고 담요에 싸주었다. 머리카락은 완전히 건조시키지 못하였다.
9. 분유 온도는 36~38도 사이를 유지하였다.
10. 맥박음을 들을 때 아기를 싸고 있는 담요 안으로 청진기를 넣어 저고리 위에서 청진을 하였다.
평가 및 재계획
신생아는 퇴원 시 까지 저체온 증상<오한, 차가운 선홍색 피부, 무기력한 모습, 느린 호흡과 맥박>을 보이지 않았으며 정상체온<36.5~37.5>을 유지했다.
#. 간호진단 2 미성숙한 체온조절능력과 관련된 저체온 위험성
※ 참고문헌
송지호, 조결자 외, 아동간호학 상,하권(2009), 현문사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6.07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