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의『미궁에 대한 추측』심층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승우의『미궁에 대한 추측』심층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소개
1) 작가 이승우
2) 경력
3) 문학적 평가와 영향
4) 작품

2. 텍스트 분석
1) 표면 구조
2) 심층 구조

3. 결론 - ‘상상’의 힘

본문내용

스트 자체(객체)를 내포독자(수신자)에게 전달한다. F층위에서의 내포작가와 내포독자와의 행위자 모형을 그려본다면, 그 주체는 내포작가, 수신자는 내포독자가 되고, 주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객체는 바로 이 텍스트의 주제인 ‘상상의 창조적 능력’이 된다.
2) 심층 구조


상상
호기심
공상
낡은 관념
‘왜 하필 이야기/상상력이어야 할까? 이야기/상상력은 무엇 때문에 필요했던 것일까?
→ 작품의 궁극적인 질문은 여기에 있다. 그것은 어쩌면 ’나‘의 입을 빌리고 있는 작가의 말마따나 이 세상이 바로 하나의 거대한 미궁이기 때문이다. ‘나’는 작가를 대신하여, 이 미궁과 같은 현실을 빠져 나가기 위해서는 상상의 날개를 달아야 하며, 이 현실과는 다른 풍요롭고 자유로운 또 다른 세계를 맞이하라고 한다.
따라서 슐리만이 호머를 단순한 이야기꾼으로서만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들을 기록한 위대한 역사가로 믿었고 그리하여 마침내 에게문명을 발견해냈던 만큼, 그리고 ‘나’가 장 델뤽의 소설을 단순히 공상에 불과한 것으로 내버리지 않았던 만큼, 소설가를 포함한 모든 이야기꾼들은 나름의 진실들을 각자 소유한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가 된다.
이야기는 이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양식이다. 이야기가 있음으로, 또한 그 이야기에 대한 해석과 이해가 있음으로 이 세계와 현실은 비로소 존재한다. ‘나’의 말대로 “해석되지 않은 텍스트는 벙어리”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전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김중철, 상동
3. 결론 - ‘상상’의 힘
상상력이란, 이를테면 다이달로스가 그의 아들 이카로스와 함께 만들어 달고 미궁을 빠져나왔다는 그 밀랍의 날개와 같은 것이다. 이 책이 부디 독자들의 어깨에 날개를 달아주기를, 그리하여 미궁과 같은 이 세상을 빠져나가 시실리의 풍요롭고 자유로운 하늘로 날아갈 수 있게 되기를…….(117면)
‘나’는 정작 독자에게 들려주고자 하는 바를 가장 마지막가지 보류해 두고 있었던 셈이다. ‘나’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미궁의 비밀스런 정체도, 미궁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낸 장 델뤽의 뛰어난 역량도 아닌 이 “미궁과 같은” 세상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상상의 힘에 있었다. (미궁이라는) 하나의 사실로부터 스펙트럼처럼 퍼져나갈 수 있는 이야기들을 가능하게 하고 그것들 나름의 진실들을 보유할 수 있게 하는 힘, 상상의 위대한 힘을 말하기 위해 ‘나’는 지금껏 ‘이야기’를 이야기해왔던 것이다.
따라서 ‘나’의 입을 빌어 작가가 말하고 있는 것 역시 당연히 어떤 사실에 있지 않다. 미궁의 정체도, 소설 밖의 어떠한 현실도 아니다. 사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상의 즐거움과 이야기가 갖는 사실 이상의 진실, 그것이다. 장 델뤽의 「미궁에 대한 추측」이 크노소스의 미궁에 접근하는 다양한 해석들을 제공하고 있다면, 그리하여 그야말로 ‘미궁’에 대한 추측이라면, 이승우의 「미궁에 대한 추측」는 이야기를 발견해가는 다양한 양상들을 겨냥한, 말하자면 미궁에 대한 ‘추측’인 셈이다. 추측은 상상의 다른 이름이며 상상은 이야기의 원천이다. 이승우의 「미궁에 대한 추측」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다름 아닌 바로 ‘이야기’이며 그것을 만들어내는 ‘상상’의 힘이다. 김중철, 상동
참고문헌
<단행본>
이승우, 『미궁에 대한 추측』 문학과 지성사, 1997.
S.리본 케넌, 최상규 역, 『소설의 현대 시학』 예림기획, 1999.
<학술 논문>
김희석, 「미궁에 대한 추측, 혹은 닫힌 공간에서의 길 찾기」, 1995.
김중철, 「‘미궁’으로서의 소설과 이야기의 진실」,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04.
유경수, 「이승우의 『미궁에 대한 추측』의 서사 시점」, 2006.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6.27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3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