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 - 뇌졸중의 신경 생리학적 물리치료 접근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리치료 - 뇌졸중의 신경 생리학적 물리치료 접근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절(Proprioceptive control)
-운동치료에서 손에 의한 움직임의 조절을 고유수용성 조절이라 한다.
-직접 치료사의 손으로 환부를 움직여 치료하는 이유는 이와 같이 고유 수용기를 통한 움
직임의 변화를 직접 신경계에, 특히 소뇌에 많은 영향을 미쳐 움직임에 관련된 신경구조의 변화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4)자극(Stimulation)과 스트레스(Stress)
-자극은 신경계에 즉각적인 반응을 유발하며, 스트레스는 지속적인 가소적 적응(plastic adaptation)을 가져온다.
-생리적 스트레스(physiological stress)는 인간의 정상적인 감각이나 동작을 촉진하는 모든 것으로 심리적 스트레스(psychological stress)와는 구분해야 한다.
5)운동재학습 프로그램
(Motor relearning programme: Carr & Shepherd)
*운동기술 학습을 위한 3가지 핵심요소
a)불필요한 근활동 제거
b)실행된 정보의 되먹임
c)연습
*운동재학습 프로그램의 7가지 일상생활 기능
a)상지기능
b)안면구강기능
c)누운자세에서 일어나 앉기
d)일어서기
e)앉기
f)서있기
g)걷기
6)감각통합(Sensory integration: Ayres)
-감각통합은 신경행동학적 이론을 기초로 하였으며, 표준화된 검사는 질환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치료방법의 목적은 ‘공간과 형태지각, 통합운동장애, 접촉방어, 청각적 언어 장애, 전정성 처리장애’의 문제를 규명하는데 있다.
7)Johnstone
-동작의 비정상패턴(과도한 긴장도 패턴)을 억제하는 것이 치료의 중심이며, 신경학적 손상 에 따른 긴장도의 분포가 비정상적으로 되지 못하게 항상 positioning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 치료 방법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치료시 팔 다리의 안정성을 위해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은 보조기 이다.
3. 치료 시 고려사항
1)치료실 환경
-적정한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고 소음을 제거해야 한다.
2)치료대
-한 명의 치료사가 하나의 치료대를 사용하도록 해야한다.
3)복장
-환자의 옷은 환부의 노출이 쉬운 옷을 착용하게 한다.
-환자가 착용하는 신발은 조깅화와 같이 발의 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실내화와 같이 발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신발은 피해야 한다.
-치료사의 복장도 최선의 운동치료를 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활동적이어야 한다 또한 금속 으로 된 혁대, 보석부분이 돌출된 반지, 플라스틱으로 된 이름표와 같이 환부에 유해한 자 극을 줄 수 있는 모든 부착물은 제거해야 한다.
4)환자의 자세
-환자가 취하는 자세는 언제나 안정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동시에 치료목적과 목표가 그 시 작 자세(starting position)를 결정하게 된다.
-불필요한 부위의 근긴장도를 낮추는 자세를 취하게 한다.
5)치료사의 자세
-치료사의 허리는 언제나 바로 세운 상태에서 무릎을 굽혀 몸을 움직이도록 한다.
-치료시 환자의 몸을 움직이고자 할 때, 팔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면서 몸통과 두 다리의 움직임에 팔이 따라서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
-환부를 잡을 때, 손 전체로 꽉 쥐듯이 잡는 형태는 피해야 한다.
6)치료기구의 사용
-치료용 공(therapeutic ball): 골반이나 척추의 가동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지만 균형감각 에 문제가 있는 환자는 사용하지 안는게 낫다.
-경사침대(tilting table)는 기립성 저혈압의 회복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다리에 체중부하 목적으로 지나치게 사용하면 결국 서기균형과 다리근육의 교차 지배에는 나쁜영향을 미치 게 된다.
-두상활차(overhead-pulley)도 마비를 동반하지 않고 어깨 관절에 운동 범위의 제한만이 있 는 오십견 환자에게는 도움이 되지만, 어때와 팔의 비정상적인 자세긴장도가 있는 마비환 자가 사용하면 어깨관절 구조의 정상적인 배열에 손상을 가져온다.
5. 결론
신경학적 손상환자의 물리치료는 특정이론을 추종하기보다는 신경과학과 같은 다방면의 폭 넓은 과학적인 지식과, 인체동작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신경학적 손상환자의 특성상 평가와 치료방법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복합적이고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신경과학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치료의 질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환자의 문제를 매일 해결해나가는 전문인을 지향하는 것이 바라직한 물리치료사의 목표일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