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대 대서양의 생태학적 교류에 있어서의 흑인 노예들의 역할 >
- '구대륙 vs 신대륙'라는 이분법적 구도의 허점
Ⅰ. 서론
Ⅱ. 본론
1. Columbian Exchange
2. '구대륙'과 '신대륙'의 이분법적 구도의 문제점
3. 카니의 연구 : 아프리카 쌀과 그 문화의 전파
4. Columbian Exchange의 새로운 기여자, 아프리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구대륙 vs 신대륙'라는 이분법적 구도의 허점
Ⅰ. 서론
Ⅱ. 본론
1. Columbian Exchange
2. '구대륙'과 '신대륙'의 이분법적 구도의 문제점
3. 카니의 연구 : 아프리카 쌀과 그 문화의 전파
4. Columbian Exchange의 새로운 기여자, 아프리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달리, 붉은 껍질과 작은 크기, 그리고 기계제분을 했을 때 잘게 부서지는 특성이 있어 확연히 구분된다. glaverrima가 sativa와는 별개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있었던 것은 10세기 경 서아프리카 해안을 방문한 무슬림들이 \'붉은 쌀이 널리 재배되고 있고, 잉여생산물을 거래하는 시장이 발달되어 있다\'고 기록한 것으로 알 수 있다. sativa rice는 10세기부터 12세기까지에 이르러서야, 인도와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이주민과 교역에 의해 아프리카 동해안에 도착했기 때문이다. Carney, ibid
그런데 쌀을 재배하였다는 것은 그 문명이 쌀의 씨앗과 재배기술뿐만 아니라 쌀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관개기술과 농사기술, 정제와 처리기술, 보관기술 Carney, The Role of African Rice and Slaves in the History of Rice Cultivation in the Americas. Human Ecology, Vol. 26, No. 4, 1998
등을 모두 다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서양인들의 해양팽창 직전인 14-15세기에 이르면, 강우량이 많은 아프리카 서해안과 중앙 열대우림지역에는 이 쌀의 재배가 널리 확산되어있었다. 그들은 각 지역의 환경에 맞게 독특한 재배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저지대가 많은 사헬 지역에서는 감조하천을 이용하여 논을 만드는 재배방법이 있었고 강우량이 많은 기니의 고지대에서는 강우를 이용하는(rain-fed) 쌀 재배기술이 발달되어 있었으며, 서해안과 감비아 강 주변에는 강과 연결되는 관개수로 농법이 발달되어 있었다. 이것은 단지 작물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환경 전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여러 기술들의 총체적인 결합으로서 가능했던 고등의 농업기술이었다. 카니는 이 농업기술과 쌀 중심의 문화와 관습을 한데 묶어 \'쌀 문화(rice culture)\'로 칭한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이 \'쌀 문화\'가 어떻게 신대륙으로 전파되었는가를 살펴보자. 처음으로 아메리카에 쌀이 건너 간 것은 선상의 식량으로서였다. 이것은, 우연하게도 서양인들이 흑인 노예를 사기 위해 오는 곳이 쌀 곡창지대와 일치하기 때문이었다. 바로 베르데 해안의 감비아 강부터 아이보리 해안 전체와, 강으로 연결된 내륙, 그리고 나이제르 강을 지나 이어지는 거대한 지역이 바로 그곳이다. 노예선의 선장들은 흑인노예들을 구입하면서, 그 지방의 곡식의 잉여생산량을 구입하여 노예들의 식량으로 사용하였다. 주로 그 대상이 된 것은 쌀과 얌이었는데, 예를 들어 1719년의 노예선 선원들의 기록에 \"흑인노예들의 일상 식단은 얌과 물(이다)\"고 남아있는 식이다. Carney, Judith A. African Rice in the Colombian Exchange,에서 재인용
이러한 현상은 흑인노예들이 자신들에게 친숙한 음식을 먹으면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오랜 항해를 더 잘 살아남을 것이라는 믿음에서 기인하기도 했다.
1690년 즈음에는 이 아프리카 쌀이 대서양을 건너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도착하고,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그런데 쌀을 재배하였다는 것은 그 문명이 쌀의 씨앗과 재배기술뿐만 아니라 쌀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관개기술과 농사기술, 정제와 처리기술, 보관기술 Carney, The Role of African Rice and Slaves in the History of Rice Cultivation in the Americas. Human Ecology, Vol. 26, No. 4, 1998
등을 모두 다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서양인들의 해양팽창 직전인 14-15세기에 이르면, 강우량이 많은 아프리카 서해안과 중앙 열대우림지역에는 이 쌀의 재배가 널리 확산되어있었다. 그들은 각 지역의 환경에 맞게 독특한 재배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저지대가 많은 사헬 지역에서는 감조하천을 이용하여 논을 만드는 재배방법이 있었고 강우량이 많은 기니의 고지대에서는 강우를 이용하는(rain-fed) 쌀 재배기술이 발달되어 있었으며, 서해안과 감비아 강 주변에는 강과 연결되는 관개수로 농법이 발달되어 있었다. 이것은 단지 작물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환경 전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여러 기술들의 총체적인 결합으로서 가능했던 고등의 농업기술이었다. 카니는 이 농업기술과 쌀 중심의 문화와 관습을 한데 묶어 \'쌀 문화(rice culture)\'로 칭한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이 \'쌀 문화\'가 어떻게 신대륙으로 전파되었는가를 살펴보자. 처음으로 아메리카에 쌀이 건너 간 것은 선상의 식량으로서였다. 이것은, 우연하게도 서양인들이 흑인 노예를 사기 위해 오는 곳이 쌀 곡창지대와 일치하기 때문이었다. 바로 베르데 해안의 감비아 강부터 아이보리 해안 전체와, 강으로 연결된 내륙, 그리고 나이제르 강을 지나 이어지는 거대한 지역이 바로 그곳이다. 노예선의 선장들은 흑인노예들을 구입하면서, 그 지방의 곡식의 잉여생산량을 구입하여 노예들의 식량으로 사용하였다. 주로 그 대상이 된 것은 쌀과 얌이었는데, 예를 들어 1719년의 노예선 선원들의 기록에 \"흑인노예들의 일상 식단은 얌과 물(이다)\"고 남아있는 식이다. Carney, Judith A. African Rice in the Colombian Exchange,에서 재인용
이러한 현상은 흑인노예들이 자신들에게 친숙한 음식을 먹으면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오랜 항해를 더 잘 살아남을 것이라는 믿음에서 기인하기도 했다.
1690년 즈음에는 이 아프리카 쌀이 대서양을 건너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도착하고,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