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종결어미][서술어미][명사어미][의문어미]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종결법, 국어 종결어미와 청자대우, 국어 종결어미와 인터넷언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종결어미][서술어미][명사어미][의문어미]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종결법, 국어 종결어미와 청자대우, 국어 종결어미와 인터넷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Ⅲ.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미

Ⅳ. 국어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Ⅴ. 국어 종결어미와 종결법

Ⅵ. 국어 종결어미와 청자대우

Ⅶ. 국어 종결어미와 인터넷언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종결법, 국어 종결어미와 청자대우, 국어 종결어미와 인터넷언어 분석
Ⅰ. 개요
Ⅱ. 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Ⅲ.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미
Ⅳ. 국어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Ⅴ. 국어 종결어미와 종결법
Ⅵ. 국어 종결어미와 청자대우
Ⅶ. 국어 종결어미와 인터넷언어
참고문헌
Ⅰ. 개요
국어의 어미는 크게 어말어미와 비어말어미로 나뉜다. 이 가운데 종결어미는 어말어미의 하나이다. 특히 종결어미는 항상 문말에 통합한다는 점에서 어말어미인 동시에 문말어미(sentence final ending)라고 할 수 있다.
종결어미는 어말어미의 하나로서 그 어미로 한 문장을 종결형이 되게 하는 어미이다. 이 종결어미가 통합되면 그 문장은 연결어미가 통합된 연결형 등과는 구별되는 독립적인 문장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결어미는 그 종결어미가 통합하는 문장의 통사적 성격을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종결어미들 가운데 어떤 것이 사용되느냐에 따라서 국어 문장의 종류가 결정된다. 영어 등의 다른 언어와는 달리 문장의 종류에 따른 어순 변화와 같은 특별한 절차가 존재하지 않고 종결어미만으로 문장의 종류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종결어미는 종래에 문체법 어미로 불리기도 했다. 그런데 화자가 어떠한 종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을 종결하는냐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화자의 청자에 대한 진술 태도나 목적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종결어미에서는 화자의 진술 태도, 곧 서법적인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국어의 종결어미는 통사적으로는 문장 종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화자의 진술 태도, 곧 서법적 의미도 표시하는 어미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종결어미가 통합한 문장 그 자체는 문장 안에서 하나의 명사구로서의 통사적 지위를 가진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는데 특히 중세국어에서는 이러한 사실이 확실히 드러난다.
(1)ㄱ. 廣熾 너비 光明이 비취닷 디오(월석 2:9ㄴ)
ㄴ. 頭陀 러 리닷 마리니 煩惱 러 릴 씨라(법화 1:32ㄱ)
ㄷ. 衆生 濟度노랏 미 이시면 能所ㅣ 이시리라(금삼 2:13ㄱ)
ㄹ. 네 뎌 나라 업시워 사오나온갓 내디 말라(법화 7:11ㄴ)
ㅁ. 樞密副使 岳飛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