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분석] 죽은 시인의 사회 (Dead Poets Society)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품분석] 죽은 시인의 사회 (Dead Poets Society)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줄거리(PLOT)
1) Exposition - 억압적인 학교 분위기.
2) Incident - 키딩선생님의 부임.
3) Rising action - 죽은 시인의 사회클럽 조직과 연극활동.
4) Climax - 닐의 자살.
5) Falling action - 학교에서 죽은 시인의 사회 클럽 조사.
6) conclusion - 키딩선생님의 추방.

2. 주제
1) 카르페디엠
☆ 죽은시인의 사회 중 ☆
2) 주제

3. 등장인물(CHARACTERS)
1) 존 키딩
2) 닐 페리
3) 토드 앤더슨
4) 리차드 카메론
5) 찰리 달튼(르완다)
6) 녹스 오버스트라트
7) 교장선생님
8) 닐의 아버지

4. 등장인물사이의 관계구도
1) 키딩선생님과 교장선생님 - 갈등관계
2) 닐과 닐의 아버지 - 갈등관계
3) 키딩선생님과 죽은시인의 사회 클럽 학생들

본문내용

힘에 의하여 어쩔수 없었다며 나를 믿어달라고 외친다. 키딩선생님은 나는 너를 믿는다고 한다. 그러자 교실에 있던 학생들중 키딩선생님을 존경하고 따랐던 학생들이 하나둘씩 책상위에 일어나기 시작했다. 모두가 일어나진 않았지만 선생께 지지를 보내는 모습이 가장 인상적이다. 이 영화는 이 장면을 끝으로 끝이난다.
2. 주제
1) 카르페디엠
지금 살고 있는 현재 이 순간에 충실하라는 뜻의 라틴어.
우리말로는 \'현재를 잡아라(Seize the days)\'로 번역되는 라틴어(語)이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이 학생들에게 자주 이 말을 외치면서 더욱 유명해진 용어로, 영화에서는 전통과 규율에 도전하는 청소년들의 자유정신을 상징하는 말로 쓰였다.
☆ 죽은시인의 사회 중 ☆
Kitting : Seize the day.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
-현재를 즐겨라 \"시간이 있을때, 장미 봉우리를 거두어라\"
Why does the writer use these lines? Because we are food for worms, lads.
-왜 시인이 이런 글귀를 남겼지? 우리는 언젠간 죽게 마련이기 때문이기 때문이야.
Because, believe it or not, each and everyone of us in this room, is one day going to stop breathing, turn cold, and die...
-믿거나 말거나 이 교실에 여러분들 각각은 언젠가는 숨을 멎고, 몸이 차가워지고 죽게 되겠지
Carpe Diem. Seize the day, boys. Make your lives extraordinary.
-현재를 즐겨라 제군들, 바로 지금을 느껴라
너희들의 삶을 이 세상 어느 것보다도 특별하게 만들어라.
\"시간이 있을 때 장미 봉우리를 거두어라.\"
그래야 하는 이유는 우리들은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2) 주제
키팅 선생님은 영화에서 카르페디엠 이라는 말을 통해 미래(대학입시, 좋은 직장)이라는 미명하에 현재의 삶(학창시절)의 낭만과 즐거움을 포기해야만하는 학생들에게 지금 살고 있는 이 순간이 무엇보다도 확실하며 중요한 순간임을 일깨워준다.
이 영화의 핵심 주제는 앞에서 설명한 카르페디엠일 것이다. 지금 이순간 최선을 다하여 현실에 충실하라는 뜻 즉 현실을 즐기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하고자 하는 일만 하기위하여 자신의 의무조차 아무것도 하지 않는것은 의미없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가 말하는 바 즉 주제는 정확히 말하면 자신이 하고자 하는 바가 가치있고 합당한 일일때 최선을 다해서 그 일을 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3. 등장인물(CHARACTERS)
1) 존 키딩
키딩선생님은 웰튼학교를 졸업하였다. 하지만 학교의 방침과는 반대되는 입장을 가진다. 억압적인 학교분위기에 도전하는 선생님이다. 학생들에게 새롭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려고 노력한다. 현재 중요한 것이 입시 미래의 좋은 직장이 아니라고 말한다. 현재 중요한것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것을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우리모두 죽을것이기에 시간은 한번가면 돌아오지 않는것이기에 현재에 충실하라고 외친다.
2) 닐 페리
부모님의 뜻에 따라 사는 모범생이다. 하지만 키딩선생님을 만나면서 조금씩 자신이 진정 원하는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깨달아가는 학생이다.
가장먼저 죽은시인의 사회를 재 결성하기로 제안한다. 부모님의 억압속에서 자란 닐은 자신을 표출하고자 하였지만 한번도 표출하지 못하고 자랐다. 따라서 이러한 기회를 통하여 자기 자신을 표출하고자 한다. 죽은 시인의 사회 이야기를 듣고 달튼이 아닌 닐이 먼저 동굴에서 모이자고 제안한 점은 죽은 시인의 사회가 그만큼 은밀한 공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3) 토드 앤더슨
내성적이며 부모님의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는 학생이다. 닐과 마찬가지로 부모님의 뜻에 따라 이학교로 전학을 오게 되었고 닐과 함께 생활하는 룸메이다. 키딩선생님께도 많은 영향을 받지만 닐에게 많은 영향을 받는다.
부모님께 매년 똑같은 생일을 받았을때 닐이 옆에서 위로해준다. 또한 내성적이라 시를 낭독하는게 부끄러워 가입하기 싫다고 하였을때 닐의 적극적 권유로 참여하게 된다.
닐의 영향을 많이 받은 만큼 닐의 죽음을 제일 받아들이지 못하며 키딩선생님이 떠나느것에 대하여서도 많은 슬픔을 느끼게 된다.
4) 리차드 카메론
평범한 학생이다. 전학 온 토드를 멍청해 보인다고 놀리는 모습을 봐서는 다소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