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body open
9/3
00:00
36.3
06:00
36.7
9/4
06:00
38.0
body open
10:00
36.5
9/5
04:40
38.5
IDICLO 0.15A IM & T.W.M
05:40
38.1
body open & T.W.M
06:00
38.0
body open & T.W.M
06:40
36.8
18:35
37.8
IBUSY 5cc
19:35
36.9
9/6
10:05
37.8
IBUSY 5cc
11:05
37.5
body open& T.W.M
E. 진단 검사 및 치료과정
항목
정상치
단위
9/2
9/5
임상적 의의
Min
Max
일
반
혈
액
검
사
WBC
4
10
x10^3/uL
7.26
5.54
↑ : 백혈병, 급성감염증, 용혈
↓ :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RBC
4.3
5.3
x10^6/uL
4.79
4.63
↑ : 진성다혈증, 탈수, 쇼크
↓ : 각종 빈혈, 수혈증, 골수기능부전
Hgb
12
17
g/dl
12.9
12.4
↑ : 적혈구 증가증, 혈색소 농축
↓ : 빈혈, 임신중독증
Hct
35
51
x10^3/uL
36.1
34.9
(▼0.1)
↑ : 구토, 다혈구증, 탈수
↓ : 철결핍성 빈혈, 진혈, 부종, 다량의 급성출혈
MCV
81
102
fL
75.2
(▼5.8)
75.4
(▼5.6)
①소구성저색소성빈혈(MCV↓, MCH↓)
철결핍성 빈혈, 만성출혈성빈혈, 임부빈혈,
철아구성 빈혈
*Mean Corpuscular Hemoglobin은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gb수치
②정구성 빈혈(MCV, MCH 정상)
급성출혈성빈혈, 용혈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각종 2차성 빈혈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은
적혈구 100cc에 들어있는 평균 Hb 농도.
③대구성빈혈(MCV↑, MCH↑)
서대적아구성 빈혈, 노인성 빈혈의 일부
MCH
27
33
pg
26.8
(▼0.2)
26.9
(▼0.1)
MPV
7.2
9.1
fL
6.7
(▼0.5)
7.0
(▼0.2)
Neutrophil
36
70
%
80.4
(▲10.4)
33.5
(▼2.5)
↑ : 세균성 감염, 염증성 질환, 종양, 화상, 동상, 긴장, 호르몬 증가, 쿠싱증후군, 급성통풍, 당뇨병, 납중독.
↓ : 소모성 질환, 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
혈, 굶주림, 간경변증, 항암제 사용 후
Lymphocyte
19
48
%
7.8
(▼11.3)
53.0
(▲5.0)
↑ : 백혈병, 백일해, 감염성 단핵구증, 이하선염, 홍역, 수두, 천연두, 결핵,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신피질 기능부전
↓ : Hodgkin\'s 질병, 심한 운동, 감정변화, 화상, 동상, 감염성질환, 약물중독
CRP
0
3
mg/dL
14.8
(▲14.8)
3.2
(▲0.2)
↑ :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일
반
화
학
검
사
Calcium
8.4
10.2
mg/dL
8.3
(▼0.1)
↑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비타민D 과잉, 다발성 골수증, Acidosis
↓ :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비타민 D 결핍, 요독증, 골연화증, Alkalosis
Phosphorus
2.6
4.6
mg/dL
4.7
(▲0.1)
↑ : 신장염, 결핵, 골절, 악성종양, 비타민D 다량 섭취
↓ : 구루병, 인슐린 투여
BUN
10
26
mg/dL
9.7
(▼0.3)
↑ : 신부전, 간경변증, 요독증
↓ : 과도한 신경흥분, 경련증상
Protein, total
6.5
8.0
g/dL
6.2
(▼0.3)
↑ : 탈수, 용혈, 운동, 스트레스, 만성간염, 간질환, 자가면역성질환, 알러지성 과잉 반응상태 스테로이드 투여 시
↓ : 영양불량, 간질환, 신질환, 신증후군, 수분과량섭취, 수액제제로 인한 희석, 흡수장애, 폐결핵, 위장관 소실 등
LD
106
211
IU/L
289
(▲78)
↑ : 급만성간염, 심근경색, 악성빈혈, 악성농양, 백혈병
ALP
40
129
IU/L
254
(▲125)
↑ : 담석증, 폐쇄성활달, 급만성간염, 골격계질환, 악성종양, 임신
응
급
화
학
검
사
Ammonia
11
32
umol/L
41
(▲9)
↑ : 간성혼수, 간뇌증후군, 중증간장애, 심부전, 요독증, 쇼크 등↓ : 저단백 식사, 빈혈
BUN
10
26
mg/dL
8.9
(▼1.1)
↑ : 신부전, 간경변증, 요독증
↓ : 과도한 신경흥분, 경련증상
PCO₂
35
45
mmHg
30
(▼5)
↑ : 과소환기
↓ : 과대환기
PO₂
85
100
mmHg
60.9
(▼24.1)
↑ : 고산소혈증
↓ : 저산소혈증
Base excess
-3
3
mmol/L
-7
(▼4)
+ : 알칼리과잉
- : 알칼리부족
Bicarbonate
23
29
mmol/L
18.2
(▼4.8)
↑ :소화관에서의 H+상실로 구토, 위액흡인, 상실성 설사가 일어남, 세포내로의 H+이동으로 저칼륨혈증
↓ :비정상 산 생성
O₂ saturation
94
100
%
91.1
(▼2.9)
↑ : 감수혈증
↓ : 심장대상부전, 만성폐쇄성폐질환
요
검
사
Ketone body
-
-
++
케톤뇨 :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발열, 굶주림, 식욕부진 장기간 동안의 구토 및 급성질환
pH
5
8
5
↑ : 알칼리뇨 : 뇨감염
↓ : 산성뇨 : 발열
(1)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 영상의학 >
검사명
날짜
결과
임상적 의의
Chest PA
9/2
both parahilar peribronchial infiltrations.
양 쪽 폐문부 기관지 주변에 침윤은 없음.
Abd Supine/Erect
9/4
No remarkable finding in the abdomen.
복부에서 보이는 사항 없음.
약물명
약물의 분류
용법 및 용량
투여목적
부작용
사례 환아의 부작용
CLONAC
소염진통해열제
1일 1A, 중증 시 1회 1A, 1일 2회.
체온 감소
호흡곤란, 부종, 가려움증, 발진, 위장출혈, 구역, 구토, 변비, 혈소판 감소 등
BRUFEN
소염진통해열제
1일 5~8ml 3~4회 경구투여.
체온 감소
호흡곤란, 오한, 황달, 혈소판 감소, 혈변, 빈혈, 백혈구 감소 등
DESOWEN
진통진양수렴소염제
1일 2~3히
9/3
00:00
36.3
06:00
36.7
9/4
06:00
38.0
body open
10:00
36.5
9/5
04:40
38.5
IDICLO 0.15A IM & T.W.M
05:40
38.1
body open & T.W.M
06:00
38.0
body open & T.W.M
06:40
36.8
18:35
37.8
IBUSY 5cc
19:35
36.9
9/6
10:05
37.8
IBUSY 5cc
11:05
37.5
body open& T.W.M
E. 진단 검사 및 치료과정
항목
정상치
단위
9/2
9/5
임상적 의의
Min
Max
일
반
혈
액
검
사
WBC
4
10
x10^3/uL
7.26
5.54
↑ : 백혈병, 급성감염증, 용혈
↓ :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RBC
4.3
5.3
x10^6/uL
4.79
4.63
↑ : 진성다혈증, 탈수, 쇼크
↓ : 각종 빈혈, 수혈증, 골수기능부전
Hgb
12
17
g/dl
12.9
12.4
↑ : 적혈구 증가증, 혈색소 농축
↓ : 빈혈, 임신중독증
Hct
35
51
x10^3/uL
36.1
34.9
(▼0.1)
↑ : 구토, 다혈구증, 탈수
↓ : 철결핍성 빈혈, 진혈, 부종, 다량의 급성출혈
MCV
81
102
fL
75.2
(▼5.8)
75.4
(▼5.6)
①소구성저색소성빈혈(MCV↓, MCH↓)
철결핍성 빈혈, 만성출혈성빈혈, 임부빈혈,
철아구성 빈혈
*Mean Corpuscular Hemoglobin은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gb수치
②정구성 빈혈(MCV, MCH 정상)
급성출혈성빈혈, 용혈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각종 2차성 빈혈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은
적혈구 100cc에 들어있는 평균 Hb 농도.
③대구성빈혈(MCV↑, MCH↑)
서대적아구성 빈혈, 노인성 빈혈의 일부
MCH
27
33
pg
26.8
(▼0.2)
26.9
(▼0.1)
MPV
7.2
9.1
fL
6.7
(▼0.5)
7.0
(▼0.2)
Neutrophil
36
70
%
80.4
(▲10.4)
33.5
(▼2.5)
↑ : 세균성 감염, 염증성 질환, 종양, 화상, 동상, 긴장, 호르몬 증가, 쿠싱증후군, 급성통풍, 당뇨병, 납중독.
↓ : 소모성 질환, 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
혈, 굶주림, 간경변증, 항암제 사용 후
Lymphocyte
19
48
%
7.8
(▼11.3)
53.0
(▲5.0)
↑ : 백혈병, 백일해, 감염성 단핵구증, 이하선염, 홍역, 수두, 천연두, 결핵,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신피질 기능부전
↓ : Hodgkin\'s 질병, 심한 운동, 감정변화, 화상, 동상, 감염성질환, 약물중독
CRP
0
3
mg/dL
14.8
(▲14.8)
3.2
(▲0.2)
↑ : 염증성 질환, 체내 조직의 괴사
일
반
화
학
검
사
Calcium
8.4
10.2
mg/dL
8.3
(▼0.1)
↑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비타민D 과잉, 다발성 골수증, Acidosis
↓ :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비타민 D 결핍, 요독증, 골연화증, Alkalosis
Phosphorus
2.6
4.6
mg/dL
4.7
(▲0.1)
↑ : 신장염, 결핵, 골절, 악성종양, 비타민D 다량 섭취
↓ : 구루병, 인슐린 투여
BUN
10
26
mg/dL
9.7
(▼0.3)
↑ : 신부전, 간경변증, 요독증
↓ : 과도한 신경흥분, 경련증상
Protein, total
6.5
8.0
g/dL
6.2
(▼0.3)
↑ : 탈수, 용혈, 운동, 스트레스, 만성간염, 간질환, 자가면역성질환, 알러지성 과잉 반응상태 스테로이드 투여 시
↓ : 영양불량, 간질환, 신질환, 신증후군, 수분과량섭취, 수액제제로 인한 희석, 흡수장애, 폐결핵, 위장관 소실 등
LD
106
211
IU/L
289
(▲78)
↑ : 급만성간염, 심근경색, 악성빈혈, 악성농양, 백혈병
ALP
40
129
IU/L
254
(▲125)
↑ : 담석증, 폐쇄성활달, 급만성간염, 골격계질환, 악성종양, 임신
응
급
화
학
검
사
Ammonia
11
32
umol/L
41
(▲9)
↑ : 간성혼수, 간뇌증후군, 중증간장애, 심부전, 요독증, 쇼크 등↓ : 저단백 식사, 빈혈
BUN
10
26
mg/dL
8.9
(▼1.1)
↑ : 신부전, 간경변증, 요독증
↓ : 과도한 신경흥분, 경련증상
PCO₂
35
45
mmHg
30
(▼5)
↑ : 과소환기
↓ : 과대환기
PO₂
85
100
mmHg
60.9
(▼24.1)
↑ : 고산소혈증
↓ : 저산소혈증
Base excess
-3
3
mmol/L
-7
(▼4)
+ : 알칼리과잉
- : 알칼리부족
Bicarbonate
23
29
mmol/L
18.2
(▼4.8)
↑ :소화관에서의 H+상실로 구토, 위액흡인, 상실성 설사가 일어남, 세포내로의 H+이동으로 저칼륨혈증
↓ :비정상 산 생성
O₂ saturation
94
100
%
91.1
(▼2.9)
↑ : 감수혈증
↓ : 심장대상부전, 만성폐쇄성폐질환
요
검
사
Ketone body
-
-
++
케톤뇨 :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발열, 굶주림, 식욕부진 장기간 동안의 구토 및 급성질환
pH
5
8
5
↑ : 알칼리뇨 : 뇨감염
↓ : 산성뇨 : 발열
(1)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결과
< 영상의학 >
검사명
날짜
결과
임상적 의의
Chest PA
9/2
both parahilar peribronchial infiltrations.
양 쪽 폐문부 기관지 주변에 침윤은 없음.
Abd Supine/Erect
9/4
No remarkable finding in the abdomen.
복부에서 보이는 사항 없음.
약물명
약물의 분류
용법 및 용량
투여목적
부작용
사례 환아의 부작용
CLONAC
소염진통해열제
1일 1A, 중증 시 1회 1A, 1일 2회.
체온 감소
호흡곤란, 부종, 가려움증, 발진, 위장출혈, 구역, 구토, 변비, 혈소판 감소 등
BRUFEN
소염진통해열제
1일 5~8ml 3~4회 경구투여.
체온 감소
호흡곤란, 오한, 황달, 혈소판 감소, 혈변, 빈혈, 백혈구 감소 등
DESOWEN
진통진양수렴소염제
1일 2~3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