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소유양식
1. 취득사회-소유 양식의 기초
2. 소유의 본질
3. 소유 양식을 지탱하는 기타 요소들
4. 소유 양식과 항문애적(肛門愛的) 특성
5. 금욕주의와 평등
6. 생존적 소유(Existenial Having)
Ⅱ.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존재양식
1. 능동적이라는 것
2. 능동성과 수동성
1) 위대한 사상가들이 주장하는 능동성과 수동성
2) Ethics(윤리학)
3. 현실로서의 존재
4. 주고, 공유하고, 희생하려는 의지
Ⅲ.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차이
1. 테니슨의 시
2. 바쇼의 하이쿠
Ⅳ.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견해
참고문헌
1. 취득사회-소유 양식의 기초
2. 소유의 본질
3. 소유 양식을 지탱하는 기타 요소들
4. 소유 양식과 항문애적(肛門愛的) 특성
5. 금욕주의와 평등
6. 생존적 소유(Existenial Having)
Ⅱ.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존재양식
1. 능동적이라는 것
2. 능동성과 수동성
1) 위대한 사상가들이 주장하는 능동성과 수동성
2) Ethics(윤리학)
3. 현실로서의 존재
4. 주고, 공유하고, 희생하려는 의지
Ⅲ.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차이
1. 테니슨의 시
2. 바쇼의 하이쿠
Ⅳ.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정으로 보는 이러한 관념은 동양의 불교 철학과 유사하다. 불교사상에서는 영원한 실체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과정만이 실재할 뿐 아무것도 실재하지 않는다. 소유냐 존재냐와 견해프롬은 소유냐 존재냐 책에서 소유와 존재라는 두 가지 삶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삶의 방식은 서로 공존할 수도 없으면서도 인간의 본성에 모두 내재하고 있다고 말한다. 소유적 삶의 방식은 인간의 본성에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가. 생물학적으로 인간은 살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존재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나누어 가지고 베풀고 하나가 됨으로써 자신의 고립을 극복하려는 타고난 욕구에서 나온 성향>이라고 프롬은 말하고 있다. 프롬의 인간은 존재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는 주장은 맞지만 실제로 그것이 자신의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부족하다. 프롬 자신은 이 책에서 <정신적 탐욕이 애초에 극복해야 할 실재적인 공허, 권태, 고독, 억압 등은 그 탐욕을 충족시키는 것으로는 결코 제거 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공허, 권태, 고독, 억압 이것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어쩔 수 없는 정신적 특성이다. 또한 이 고립감을 극복하기 위해 인간이 타자와 일체감을 체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체험을 위해 인간이 나누어 가지고 베풀고 하나가 되는 존재적 특성을 본성에 갖추고 있다는 주장은 앞뒤가 바뀐 설명이다. 즉 이것으로 존재적 본성이 해명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신의 고립감을 없애기 위해 존재적 방식으로 살아나갈 수도 있고, 소유적 방식으로 살아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롬은 \'소유란 삶의 방식\'에 집착하는 한 결코 행복해 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롬은 진정 행복해 지려면 오히려 소유가 아닌 자신의 \'존재\'에 집착해야 한다고 말한다. 존재의 삶의 방식이란 \'어떤 것을 소유하지도 않고 또 소유하려고 갈망하지도 않으면서 즐거워하고 자기의 재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며 세계와 하나가 되게 살아가는 방식\'이다.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일한다. 그러나 자기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그 일이 자신의 삶을 더욱더 충실하게 해주기 때문에 일에 열중한다. 또,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기 것을 빼앗아 갈까봐 다른 이들에게 적대적이지만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빼앗길 게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지식에 있어서도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 파괴될까봐 자기 정당화에 급급한 반면에,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더 나은 완성을 이루기 위해 언제나 열린 마음으로 자기 지식을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인류가 산업화가 가져온 불행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 사회의 \'소유란 삶의 방식\'을 \'존재란 삶의 방식\'으로 바꿔야 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Ⅳ.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견해
프롬은 소유냐 존재냐 책에서 소유와 존재라는 두 가지 삶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삶의 방식은 서로 공존할 수도 없으면서도 인간의 본성에 모두 내재하고 있다고 말한다.
소유적 삶의 방식은 인간의 본성에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가. 생물학적으로 인간은 살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존재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나누어 가지고 베풀고 하나가 됨으로써 자신의 고립을 극복하려는 타고난 욕구에서 나온 성향>이라고 프롬은 말하고 있다. 프롬의 인간은 존재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는 주장은 맞지만 실제로 그것이 자신의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부족하다. 프롬 자신은 이 책에서 <정신적 탐욕이 애초에 극복해야 할 실재적인 공허, 권태, 고독, 억압 등은 그 탐욕을 충족시키는 것으로는 결코 제거 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공허, 권태, 고독, 억압 이것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어쩔 수 없는 정신적 특성이다. 또한 이 고립감을 극복하기 위해 인간이 타자와 일체감을 체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체험을 위해 인간이 나누어 가지고 베풀고 하나가 되는 존재적 특성을 본성에 갖추고 있다는 주장은 앞뒤가 바뀐 설명이다. 즉 이것으로 존재적 본성이 해명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신의 고립감을 없애기 위해 존재적 방식으로 살아나갈 수도 있고, 소유적 방식으로 살아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롬은 \'소유란 삶의 방식\'에 집착하는 한 결코 행복해 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롬은 진정 행복해 지려면 오히려 소유가 아닌 자신의 \'존재\'에 집착해야 한다고 말한다. 존재의 삶의 방식이란 \'어떤 것을 소유하지도 않고 또 소유하려고 갈망하지도 않으면서 즐거워하고 자기의 재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며 세계와 하나가 되게 살아가는 방식\'이다.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일한다. 그러나 자기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그 일이 자신의 삶을 더욱더 충실하게 해주기 때문에 일에 열중한다. 또,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기 것을 빼앗아 갈까봐 다른 이들에게 적대적이지만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빼앗길 게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지식에 있어서도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 파괴될까봐 자기 정당화에 급급한 반면에,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더 나은 완성을 이루기 위해 언제나 열린 마음으로 자기 지식을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인류가 산업화가 가져온 불행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 사회의 \'소유란 삶의 방식\'을 \'존재란 삶의 방식\'으로 바꿔야 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노창용(2001), 에리히 프롬의 종교 사상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이해, 인덕대학
▷ 라이너 풍크 외 3명(2003), 에리히 프롬과 현대성 : 그의 사유가 갖고 있는 현대성에 관하여, 영림카디널
▷ 박찬국(2001),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철학과현실사
▷ 박홍규(2004), 우리는 사랑하는가 : 에리히프롬의 생애와 사상, 필맥
▷ 오채환(2009), 에리히 프롬이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 자음과모음
▷ 이재일(2007), 에리히 프롬 사상의 인격교육론적 해석, 한국인격교육학회
또한 프롬은 \'소유란 삶의 방식\'에 집착하는 한 결코 행복해 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롬은 진정 행복해 지려면 오히려 소유가 아닌 자신의 \'존재\'에 집착해야 한다고 말한다. 존재의 삶의 방식이란 \'어떤 것을 소유하지도 않고 또 소유하려고 갈망하지도 않으면서 즐거워하고 자기의 재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며 세계와 하나가 되게 살아가는 방식\'이다.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일한다. 그러나 자기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그 일이 자신의 삶을 더욱더 충실하게 해주기 때문에 일에 열중한다. 또,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기 것을 빼앗아 갈까봐 다른 이들에게 적대적이지만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빼앗길 게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지식에 있어서도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 파괴될까봐 자기 정당화에 급급한 반면에,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더 나은 완성을 이루기 위해 언제나 열린 마음으로 자기 지식을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인류가 산업화가 가져온 불행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 사회의 \'소유란 삶의 방식\'을 \'존재란 삶의 방식\'으로 바꿔야 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Ⅳ. 에릭 프롬(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의 견해
프롬은 소유냐 존재냐 책에서 소유와 존재라는 두 가지 삶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삶의 방식은 서로 공존할 수도 없으면서도 인간의 본성에 모두 내재하고 있다고 말한다.
소유적 삶의 방식은 인간의 본성에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가. 생물학적으로 인간은 살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존재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나누어 가지고 베풀고 하나가 됨으로써 자신의 고립을 극복하려는 타고난 욕구에서 나온 성향>이라고 프롬은 말하고 있다. 프롬의 인간은 존재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는 주장은 맞지만 실제로 그것이 자신의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부족하다. 프롬 자신은 이 책에서 <정신적 탐욕이 애초에 극복해야 할 실재적인 공허, 권태, 고독, 억압 등은 그 탐욕을 충족시키는 것으로는 결코 제거 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공허, 권태, 고독, 억압 이것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어쩔 수 없는 정신적 특성이다. 또한 이 고립감을 극복하기 위해 인간이 타자와 일체감을 체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체험을 위해 인간이 나누어 가지고 베풀고 하나가 되는 존재적 특성을 본성에 갖추고 있다는 주장은 앞뒤가 바뀐 설명이다. 즉 이것으로 존재적 본성이 해명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신의 고립감을 없애기 위해 존재적 방식으로 살아나갈 수도 있고, 소유적 방식으로 살아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롬은 \'소유란 삶의 방식\'에 집착하는 한 결코 행복해 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롬은 진정 행복해 지려면 오히려 소유가 아닌 자신의 \'존재\'에 집착해야 한다고 말한다. 존재의 삶의 방식이란 \'어떤 것을 소유하지도 않고 또 소유하려고 갈망하지도 않으면서 즐거워하고 자기의 재능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며 세계와 하나가 되게 살아가는 방식\'이다.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무언가를 얻기 위해 일한다. 그러나 자기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그 일이 자신의 삶을 더욱더 충실하게 해주기 때문에 일에 열중한다. 또,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기 것을 빼앗아 갈까봐 다른 이들에게 적대적이지만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빼앗길 게 없기에 다른 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간다. 지식에 있어서도 소유에 집착한 사람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 파괴될까봐 자기 정당화에 급급한 반면에, 존재에 충실한 사람은 더 나은 완성을 이루기 위해 언제나 열린 마음으로 자기 지식을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인류가 산업화가 가져온 불행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 사회의 \'소유란 삶의 방식\'을 \'존재란 삶의 방식\'으로 바꿔야 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노창용(2001), 에리히 프롬의 종교 사상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이해, 인덕대학
▷ 라이너 풍크 외 3명(2003), 에리히 프롬과 현대성 : 그의 사유가 갖고 있는 현대성에 관하여, 영림카디널
▷ 박찬국(2001),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철학과현실사
▷ 박홍규(2004), 우리는 사랑하는가 : 에리히프롬의 생애와 사상, 필맥
▷ 오채환(2009), 에리히 프롬이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 자음과모음
▷ 이재일(2007), 에리히 프롬 사상의 인격교육론적 해석, 한국인격교육학회
추천자료
사랑의기술
사랑의 기술을 읽고
독일에서의 민영화 논쟁에 관한 고찰
[교육사회] 교육의 기회균등과 평등 단원요약
기독교와 자원봉사
교육의 불평등 문제
[사랑의기술, 사랑의 기술] 사랑의 기술을 읽고
건전한사회
[사랑][사랑의 정의][사랑의 분류][사랑의 능력][사랑의 적][사랑의 실천][러브][love]사랑의...
자유로부터의 도피_ 독후감
[인권교육][인권지도][인권]인권교육의 가치, 인권교육의 목표, 인권교육의 동향, 인권교육의...
[생활속의경제 2B형] 시장경제와 정보에 관해 논하시오
인간의 가치 탐색
[자원봉사론 공통]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 활동이 어떤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