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고시조의 특징
Ⅲ. 고시조의 어미
Ⅳ. 고시조의 상투어
Ⅴ. 고시조의 역사
Ⅵ. 고시조와 추야우중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시어 풀이
1) 고음
2) 세로
3) 지음
4) 삼경
3. 감상
Ⅶ. 고시조와 이몸이죽어죽어 작품분석
Ⅷ. 고시조와 제가야산독서당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시어 풀이
1) 첩석
2) 중만
3) 인어
4) 시비성
5) 진농산
참고문헌
Ⅱ. 고시조의 특징
Ⅲ. 고시조의 어미
Ⅳ. 고시조의 상투어
Ⅴ. 고시조의 역사
Ⅵ. 고시조와 추야우중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시어 풀이
1) 고음
2) 세로
3) 지음
4) 삼경
3. 감상
Ⅶ. 고시조와 이몸이죽어죽어 작품분석
Ⅷ. 고시조와 제가야산독서당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시어 풀이
1) 첩석
2) 중만
3) 인어
4) 시비성
5) 진농산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정형적 형식을 갖춘(시조의 형식 규정에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를 남겨놓고 있지만 여기서는 지시적인 의미에서 통설을 따라 3장 6구 4음보라 하기로 한다) 시조형식이 어느 때부터 그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을까.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이에 대해 전개한 여러 논자들의 주장과 그 주장의 논거들을 쟁점을 부각시키는 각도에서 정리해 보고, 그것의 해결 방향에 대해 조심스럽게 생각해 보기로 한다. 시조 발생에 대한 논의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 중에 시조가 향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또는 무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등과 같은 시조의 기원 문제는 대체로 그 논거가 확실치 않고, 시조 형식이 언제 정착화 하였는가 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논의 점검의 선명성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아니면 검토 대상에서 제외시키기로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문학사에는 시조형식이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말엽에 완성되었다고 기술되고 있고,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그렇게 기술되는 등 시조형식은 고려 말엽에 완성되었다는 통설이 정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설은 확고부동한 근거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고 대체적인 유추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는 데서 시조발생 시기에 대한 이론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 통설이 지닌 논리적 근거의 취약점을 들어 몇몇 논자들은 시조의 고려말엽 정착설을 부인하고, 시조작가 자신의 기록이 확실하게 존재하는 16세기 정착설을 제시하는가 하면, 어떤 논자는 조선 초기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 같은 시조형식의 발생시기에 대한 논의는 일차적으로 사실 그 자체를 정확하게 밝힌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찾아지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시조 문학의 여러 성격을 밝히는 핵심적 디딤돌이 된다는 데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확실한 발생시기 고증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은 현재 어느 정도 소극적인 국면을 나타내고 있는 시조 연구의 상황을 타개하는데 한 전기가 될 수 있겠기 때문이다.
그러면 기존의 시조발생 논의 및 그 논거의 타당성 문제를 개괄해 봄으로써 어떠한 문제가 내재되어 있으며 그것의 타개 방향은 어떻게 해야 발견될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 보기로 한다.
오늘날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시조들은 거의가 18세기 이후에 편찬된 가집들을 통해 전해오는 것들로서, 그들 중 극히 일부만이 시조 작가 개인의 문집 등에서 그 원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 중 확실하게 작가 및 그 원형을 규지할 수 있는 것으로 聾岩의 [歸田錄}, [漁父短歌}, 퇴계의 {陶山十二曲},의 金絿의 단가 5수 등이 연대상으로 가장 오래된 것인데, 그것들은 아무리 올려 잡아도 16세기 이전으로는 그 창작연대가 올라가지 않는 것들이다. 이러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랜 기간을 구전해오다가 18세기 이후에 정착된 것이어서 그것을 수록하고 있는 가집들의 기록에 대한 신빙성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에 시조 형식의 정착연대에 대한 논의가 논쟁점으로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 통설로 받아들여지는 고려 말 정착설도 그 기본적인 논거는 가집의 기록이다. 먼저, 흔히 조선시대 발생론을 주장하였다고 오인되기도 하는 金台俊은 고려중엽 발생한 별곡이 고려 말에 시조를 분화, 배태시킨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가사로 변모했다고 주장하면서, 가집에 薛聰, 乙巴素, 成忠 등 삼국시대나, 崔忠, 姜邯贊 등 고려 중엽 이전 작가의 작으로 기록되어 있는 시조들은 후대인의 의작이라고 하여 고려 말의 시조만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김태준의 주장은 별곡과 시조의 형태상에서 유사성 및 고려 말에 지어진 시조가 고려 중엽 이전에 지어졌다고 기록된 시조보다 양적으로 보아 월등히 많다는 상대적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주장은 확증을 수반한 것이 아님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기록의 신빙성 문제를 의심하는 차제에 양의 다과 문제만 가지고 개별적인 작품의 확실한 고증 없이 어느 것만 인정하고 어느 것은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리 설득력 있는 주장이 아니기 때문이다.
Ⅱ. 고시조의 특징
고시조(古時調)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간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인(知人)간의 별리(別離)를 슬퍼하는 이별애상(離別哀傷)의 노래라든지, 임과 이별한 후 혼자 자는 방에서 떠나간 임의 무정함을 원망하면서도 그 임을 못 잊어 사모하는 내용의 공규원모(空閨怨慕)를 읊은 노래, 시골에서의 한가로운 생활을 노래한 강호한정(江湖閑情)의 노래, 시골집에서 조용하게 지내는 것을 다룬 전가한거(田家閑居)의 노래, 또는 연로하거나 세사 번우(煩憂)하거나 왕이 버리거나 하여 관직에서 물러나 귀전(歸田)하겠다는 뜻을 밝힌 치사귀전(致仕歸田)의 노래, 곤궁하게 살면서도 평안한 마음으로 천도(天道)를 지키겠다는 안빈낙도(安貧樂道)의 노래가 있으며, 군왕을 사모하여 충성을 다하겠다는 내용인 연주충군(戀主忠君)의 노래, 군왕의 은덕을 깊이 느껴 매우 고맙게 여기는 감격군은(感激君恩)의 노래 등이 있다. 또한 정성스런 마음으로 충성을 다하여 절개를 지키고 움직이지 아니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단심충절(丹心忠節)의 노래를 비롯하여, 국사를 걱정하여 세상이 되어가는 형편을 탄식하고 근심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가 있다. 그 밖에도 글을 배우고 덕을 닦는 것을 내용으로 한 학문수덕(學問修德)의 노래, 죽은 사람 또는 먼 곳에 있는 사람을 사모하여 그 덕을 찬미하고 칭송하는 노래, 사람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三綱五常五倫)를 주제로 한 노래, 부모를 생각하며 잘 섬기는 효행을 주제로 한 노래, 잘 가르쳐서 지난날의 잘못을 깨치게 하고 타일러 주의시키는 것을 주제로 한 교회경계(敎誨警戒)의 노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놀고 구경하는 것을 주제로 한 소요유람의 노래, 인생행락 또는 인생무상의 노래, 심중에 품은 생각을 노래한 것 등 눈에 어리는 정경이나 여러 가지 감추기 어려운 정회 또는 기개나 의지 등의 것이 있다.
Ⅲ. 고시조의 어미
고시조에는 ‘…하노라’로 끝나는 작품이 많다.
*장부의 위국충절을 세워 볼까 하노라
*다정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라
*지난 닢 부난 바람에 행여
오늘날 대부분의 문학사에는 시조형식이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말엽에 완성되었다고 기술되고 있고,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그렇게 기술되는 등 시조형식은 고려 말엽에 완성되었다는 통설이 정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설은 확고부동한 근거에 기반을 둔 것은 아니고 대체적인 유추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는 데서 시조발생 시기에 대한 이론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 통설이 지닌 논리적 근거의 취약점을 들어 몇몇 논자들은 시조의 고려말엽 정착설을 부인하고, 시조작가 자신의 기록이 확실하게 존재하는 16세기 정착설을 제시하는가 하면, 어떤 논자는 조선 초기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 같은 시조형식의 발생시기에 대한 논의는 일차적으로 사실 그 자체를 정확하게 밝힌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찾아지지만,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시조 문학의 여러 성격을 밝히는 핵심적 디딤돌이 된다는 데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확실한 발생시기 고증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은 현재 어느 정도 소극적인 국면을 나타내고 있는 시조 연구의 상황을 타개하는데 한 전기가 될 수 있겠기 때문이다.
그러면 기존의 시조발생 논의 및 그 논거의 타당성 문제를 개괄해 봄으로써 어떠한 문제가 내재되어 있으며 그것의 타개 방향은 어떻게 해야 발견될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 보기로 한다.
오늘날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시조들은 거의가 18세기 이후에 편찬된 가집들을 통해 전해오는 것들로서, 그들 중 극히 일부만이 시조 작가 개인의 문집 등에서 그 원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 중 확실하게 작가 및 그 원형을 규지할 수 있는 것으로 聾岩의 [歸田錄}, [漁父短歌}, 퇴계의 {陶山十二曲},의 金絿의 단가 5수 등이 연대상으로 가장 오래된 것인데, 그것들은 아무리 올려 잡아도 16세기 이전으로는 그 창작연대가 올라가지 않는 것들이다. 이러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랜 기간을 구전해오다가 18세기 이후에 정착된 것이어서 그것을 수록하고 있는 가집들의 기록에 대한 신빙성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에 시조 형식의 정착연대에 대한 논의가 논쟁점으로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 통설로 받아들여지는 고려 말 정착설도 그 기본적인 논거는 가집의 기록이다. 먼저, 흔히 조선시대 발생론을 주장하였다고 오인되기도 하는 金台俊은 고려중엽 발생한 별곡이 고려 말에 시조를 분화, 배태시킨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가사로 변모했다고 주장하면서, 가집에 薛聰, 乙巴素, 成忠 등 삼국시대나, 崔忠, 姜邯贊 등 고려 중엽 이전 작가의 작으로 기록되어 있는 시조들은 후대인의 의작이라고 하여 고려 말의 시조만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김태준의 주장은 별곡과 시조의 형태상에서 유사성 및 고려 말에 지어진 시조가 고려 중엽 이전에 지어졌다고 기록된 시조보다 양적으로 보아 월등히 많다는 상대적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주장은 확증을 수반한 것이 아님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기록의 신빙성 문제를 의심하는 차제에 양의 다과 문제만 가지고 개별적인 작품의 확실한 고증 없이 어느 것만 인정하고 어느 것은 인정하지 않는 것은 그리 설득력 있는 주장이 아니기 때문이다.
Ⅱ. 고시조의 특징
고시조(古時調)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간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인(知人)간의 별리(別離)를 슬퍼하는 이별애상(離別哀傷)의 노래라든지, 임과 이별한 후 혼자 자는 방에서 떠나간 임의 무정함을 원망하면서도 그 임을 못 잊어 사모하는 내용의 공규원모(空閨怨慕)를 읊은 노래, 시골에서의 한가로운 생활을 노래한 강호한정(江湖閑情)의 노래, 시골집에서 조용하게 지내는 것을 다룬 전가한거(田家閑居)의 노래, 또는 연로하거나 세사 번우(煩憂)하거나 왕이 버리거나 하여 관직에서 물러나 귀전(歸田)하겠다는 뜻을 밝힌 치사귀전(致仕歸田)의 노래, 곤궁하게 살면서도 평안한 마음으로 천도(天道)를 지키겠다는 안빈낙도(安貧樂道)의 노래가 있으며, 군왕을 사모하여 충성을 다하겠다는 내용인 연주충군(戀主忠君)의 노래, 군왕의 은덕을 깊이 느껴 매우 고맙게 여기는 감격군은(感激君恩)의 노래 등이 있다. 또한 정성스런 마음으로 충성을 다하여 절개를 지키고 움직이지 아니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단심충절(丹心忠節)의 노래를 비롯하여, 국사를 걱정하여 세상이 되어가는 형편을 탄식하고 근심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가 있다. 그 밖에도 글을 배우고 덕을 닦는 것을 내용으로 한 학문수덕(學問修德)의 노래, 죽은 사람 또는 먼 곳에 있는 사람을 사모하여 그 덕을 찬미하고 칭송하는 노래, 사람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三綱五常五倫)를 주제로 한 노래, 부모를 생각하며 잘 섬기는 효행을 주제로 한 노래, 잘 가르쳐서 지난날의 잘못을 깨치게 하고 타일러 주의시키는 것을 주제로 한 교회경계(敎誨警戒)의 노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놀고 구경하는 것을 주제로 한 소요유람의 노래, 인생행락 또는 인생무상의 노래, 심중에 품은 생각을 노래한 것 등 눈에 어리는 정경이나 여러 가지 감추기 어려운 정회 또는 기개나 의지 등의 것이 있다.
Ⅲ. 고시조의 어미
고시조에는 ‘…하노라’로 끝나는 작품이 많다.
*장부의 위국충절을 세워 볼까 하노라
*다정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라
*지난 닢 부난 바람에 행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