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시조 개념][시조 의미][시조 명칭][시조 역사][시조 형성][시조 변이]시조의 개념, 시조의 의미, 시조의 명칭, 시조의 역사, 시조의 형성, 시조의 변이 분석(시조 개념, 시조 의미, 시조 명칭, 시조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조][시조 개념][시조 의미][시조 명칭][시조 역사][시조 형성][시조 변이]시조의 개념, 시조의 의미, 시조의 명칭, 시조의 역사, 시조의 형성, 시조의 변이 분석(시조 개념, 시조 의미, 시조 명칭, 시조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시조의 개념

Ⅲ. 시조의 의미

Ⅳ. 시조의 명칭

Ⅴ. 시조의 역사
1. 고대시조
2. 현대시조

Ⅵ. 시조의 형성

Ⅶ. 시조의 변이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2)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강(1555-1617)
2. 사대부 시조의 변이
1) 김광욱(1580-1656)
2) 이휘일(1619-1672)<전가팔곡> 8수
3)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봉래악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조의 개념, 시조의 의미, 시조의 명칭, 시조의 역사, 시조의 형성, 시조의 변이 분석
Ⅰ. 개요
Ⅱ. 시조의 개념
Ⅲ. 시조의 의미
Ⅳ. 시조의 명칭
Ⅴ. 시조의 역사
1. 고대시조
2. 현대시조
Ⅵ. 시조의 형성
Ⅶ. 시조의 변이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2)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강(1555-1617)
2. 사대부 시조의 변이
1) 김광욱(1580-1656)
2) 이휘일(1619-1672)<전가팔곡> 8수
3) 위백규(1727-1798)<농가구장>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봉래악부>
참고문헌
Ⅰ. 개요
시조형의 系統이나 母體에 대해서는 구구한 설이 많으나 時調의 발생기를 高麗 중기 이후로 볼 때 그 根源은 시조형이 발생한 이전의 시가인 4구체 民謠와 그에서 발전한 8.10구체 鄕歌, 또는 한문시가등에서 구하거나 그 밖에 외래 樂曲에 의한 새로운 形式을 생각 할 수 있다.
그런데 時調가 初期부터 지식*의 시가였다는 것과 10구체 鄕歌도 後代로 내려오며 지식*의 창작시가였다는 점, 또 10구체 鄕歌가 高麗 중기쯤 衰退했는데 時調의 발생기가 그때쯤이므로 지시*의 시가에 中斷이 없이 줄 곧 이어왔다는 점, 당시의 한문시가에서 시조형을 찾을 수 없다는 점 등으로 시조의 根源은 먼저 10구체 鄕歌에서 찾아야하고 또 고대시가는 唱調에 따라 시가형이 조성된 것이므로 음악상 면도 아울러 생각해야 할 것이다.
10구체 鄕歌는 그 構成形式이 크게 5句로 나뉘는 동시에 ,또 ‘三句六名’ 즉 三章 六句로 나누어진다고 했다.
그런데 時調도 또한 三章 六句로 構成되었으니 얼 핏 생각하면 시조형은 바로 10구체 鄕歌形을 이어 받은 것이라고 단순히 말할 수 있겠으나 時調의 가5곡식 창법이 오장식이라는 점, 또 시조형은 그 음수상으로 보아 10구체 鄕歌의 반절에 부과한다는 점, 등에 유의하면서 우선 歌曲唱과 時調唱을 比較해보면
歌曲章別 子數 時調章別
初章 菊花야 너는 어이 七字內句 初章
二章 三月春風 싫어한다 八字外句
三章 성긴 울 찬비 뒤에 七字外句 中章
차라리 얼지언정--- 七字內句
中餘音
四章 반드시 三字內句 終章
五章 群花로 더불어 六字內句
한몸 말려하노라 七字外句
(시조창의 경우는 ‘하노라’를 안 부름)
大餘音
이것을 다시 음수를 헤아리지 않고 10구체 향가와 關聯시켜보면 다음과 같다.
향가(廣修供養歌) 歌曲唱 時調唱
火條 잡으매 佛前燈을 고티언대 初章 初章
燈炷은 강여 燈油는 大海이루가라 二章
손언 法界 ㅁㄷ록ㅎ며 손에마다 法供으루 三章 中章
法界 차샨 부터 佛佛 周物 供ㅎㅅ져
아야 四章 終章
法供삿 하내 이 어의바 最勝供여 五章
鄕歌(淸轉法轉歌) 歌曲唱 時調唱
뎌 너ㅂ 法界앳 佛會아희 初章 初章
나언 모롯 나악 法雨을 비ㅅ옷ㄷ라 二章
無明土 기피 무다 항괴화熱로 다려 오나메 三章 中章
善芽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