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악장의 개념
Ⅲ. 악장의 형식
1. 기본형
2. 변조형
Ⅳ. 악장의 전래
Ⅴ. 악장의 의의
Ⅵ. 악장과 용비어천가
1. <제1장>
2. <제2장>
3. <제4장>
4. <제48장>
5. <제67장>
6. <제125장>
7. 고사 성어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2) 해동 육룡(海東六龍)
3) 곶 됴코
4) 仁(누인)
5) 卜年(복년)
Ⅶ. 악장과 월인천강지곡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구성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본문 감상
참고문헌
Ⅱ. 악장의 개념
Ⅲ. 악장의 형식
1. 기본형
2. 변조형
Ⅳ. 악장의 전래
Ⅴ. 악장의 의의
Ⅵ. 악장과 용비어천가
1. <제1장>
2. <제2장>
3. <제4장>
4. <제48장>
5. <제67장>
6. <제125장>
7. 고사 성어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2) 해동 육룡(海東六龍)
3) 곶 됴코
4) 仁(누인)
5) 卜年(복년)
Ⅶ. 악장과 월인천강지곡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구성
5) 주제
6) 출전
2. 감상
3. 본문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붙여 화평스러운 분위기를 나타내 보였다.
악장은 예종대구실등가악장과 공민왕대 태묘신찬악장과 친태찬악장, 그리고 공주의 혼전신찬악장 등이 전하고 있다.
Ⅴ. 악장의 의의
악장은 궁중연비 등 특수한 목적에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향유 계층 및 작가계층이 한정 되어 보편화를 이루지 못했다.
Ⅵ. 악장과 용비어천가
1. <제1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현대어 풀이]
해동(海東)의 여섯 용이 나시어 일마다 하늘의 복을 받으시니.
중국의 옛 성왕(聖王)과 딱 들어맞으시니.
2. <제2장>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뭘씨, 곶 됴코 여름 하니.
ㅣ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ㅣ, 내히 이러 바래 가니.
[현대어 풀이]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아니하므로, 내가 이루어져 바다에 가느니.
3. <제4장>
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거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
뜨디시니.
野人(야인)ㅅ 서리예 가샤 野人(야인)이 외어늘, 德源(덕원) 올샴도 하
뜨디시니.
[현대어 풀이]
오랑캐 사이에 가시어 오랑캐가 덤비거늘, 기산으로 옮아가심도 하늘의 뜻이시니.
오랑캐 사이에 가시어 오랑캐가 덤비거늘, 덕원으로 옮아가심도 하늘의 뜻이시니.
4. <제48장>
굴허에 디내샤 도기 다 도라가니 半(반) 길 노핀 넌기 디나리잇가.
石壁(석벽)에 올이샤 도 다 자브시니. 현 번 뛰운 미 오리잇가.
[현대어 풀이]
구렁에 말을 지나게 하시어 도적이 다 돌아가니, 반 길의 높이인들 남이 지나리이까.
돌벽에 말을 올리시어 도적ㅇㄹ 다 잡으시니, 몇 번을 뛰게 한들 남이 오르리이까.
5. <제67장>
ㅅ △ㅐ 자거늘 밀므리 사리로ㅣ 나거△ㅏ 니이다.
셤 안해 자싫 제 한비 사리로ㅣ 뷔어△ㅏ 니이다.
[현대어 풀이]
강가에서 자거늘 밀물이 사흘이로되 떠나야 잠기었습니다.
섬 안에 자실 제 큰비가 사흘이나 내리되 비우고서야 잠기었습니다
6. <제125장>
千世(천 세) 우희 미리 定(정)샨 漢水(한수) 北(북)에, 累仁開國(누인개국)
샤 卜年(복년)이 ㅿ업스시니, 聖神(성신)이 니 ㅿㅏ샤도 敬天勤民(경천근민)
샤ㅿㅏ, 더욱 구드시리이다.
님금하, 아쇼셔. 落水(낙수)예 山行(산행)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현대어 풀이]
천 세(千世)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쪽에, 여러 대를 물린 어진 임금이 나라를 여
[開]시어 왕조가 끝이 없으시니, 성신(聖神)이 이으시어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부
지런히 섬겨야 더욱 굳건할 것입니다.
임금이여, 아소서. 낙수(落水)에 사냥을 가 있으면서 조상만 믿으시겠습니까?
7. 고사 성어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용이 날아올라 하늘을 다스림을 노래한다는 뜻.
2) 해동 육룡(海東六龍)
‘해동’은 발해(渤海)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가리키는말
‘육룡’은 여섯 용이라는 뜻으로 ‘용비어천가’가 지어진 때의 임금인 세종의 여섯 조상을 가리키는말
3) 곶 됴코
꽃 좋고. 고어에서 ‘됴타’는 ‘좋다’의 뜻으로, ‘조타‘는 ’깨끗하다’의 뜻으로 쓰임
여름 하니→열매가 많나니. 고어에서 ‘여름’은 ‘열매’를, ‘녀름’은 ‘여름‘을 가리키는말이며 ‘하다’는 ‘많다’의 뜻으로, ‘다’는 ‘하다’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4) 仁(누인)
여러 대를 물려 인(仁)을 쌓음.
5) 卜年(복년)
왕조(王朝)가 얼마나 계속될까를 점쳐서 정한 햇수라는 뜻으로 왕조의 운명을 운명을 일컫는 말.
Ⅶ. 악장과 월인천강지곡
1. 작품 정리
1) 연대
창작(세종 29년 - 1447년). 간행(세종 31년 - 1449년)
2) 작자
세종대왕
3) 형식
악장. 서사시
4) 구성
전문 580여 장의 장편 서사시. 각 장 2절 4구체
5) 주제
석가의 공덕 찬양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의 실체
6) 출전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2. 감상
이 작품은 석가의 공덕을 찬양한 대서사시이다. 소헌 왕후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보고 세종이 감명을 받아 직접 지은 작품으로, ‘용비어천가’와 함께 조선 초 2대 서사시로 불린다.
제목에서 ‘달(月)’은 석가불을, ‘천강(千江)’은 중생을 비유한 것으로, 이 노래는 석가모니의 교화가 모든 중생에게 미침을 칭송한 찬불가(讚佛歌)이다. 그런데 조선의 치국(治國) 이념은 척불 숭유(斥佛崇儒)이었기에, 이 노래는 악장이면서도 궁중 음악으로 불리어지지 않았다.
3. 본문 감상
其一
외巍외巍 셕釋가迦
악장은 예종대구실등가악장과 공민왕대 태묘신찬악장과 친태찬악장, 그리고 공주의 혼전신찬악장 등이 전하고 있다.
Ⅴ. 악장의 의의
악장은 궁중연비 등 특수한 목적에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향유 계층 및 작가계층이 한정 되어 보편화를 이루지 못했다.
Ⅵ. 악장과 용비어천가
1. <제1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현대어 풀이]
해동(海東)의 여섯 용이 나시어 일마다 하늘의 복을 받으시니.
중국의 옛 성왕(聖王)과 딱 들어맞으시니.
2. <제2장>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뭘씨, 곶 됴코 여름 하니.
ㅣ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ㅣ, 내히 이러 바래 가니.
[현대어 풀이]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아니하므로, 내가 이루어져 바다에 가느니.
3. <제4장>
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거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
뜨디시니.
野人(야인)ㅅ 서리예 가샤 野人(야인)이 외어늘, 德源(덕원) 올샴도 하
뜨디시니.
[현대어 풀이]
오랑캐 사이에 가시어 오랑캐가 덤비거늘, 기산으로 옮아가심도 하늘의 뜻이시니.
오랑캐 사이에 가시어 오랑캐가 덤비거늘, 덕원으로 옮아가심도 하늘의 뜻이시니.
4. <제48장>
굴허에 디내샤 도기 다 도라가니 半(반) 길 노핀 넌기 디나리잇가.
石壁(석벽)에 올이샤 도 다 자브시니. 현 번 뛰운 미 오리잇가.
[현대어 풀이]
구렁에 말을 지나게 하시어 도적이 다 돌아가니, 반 길의 높이인들 남이 지나리이까.
돌벽에 말을 올리시어 도적ㅇㄹ 다 잡으시니, 몇 번을 뛰게 한들 남이 오르리이까.
5. <제67장>
ㅅ △ㅐ 자거늘 밀므리 사리로ㅣ 나거△ㅏ 니이다.
셤 안해 자싫 제 한비 사리로ㅣ 뷔어△ㅏ 니이다.
[현대어 풀이]
강가에서 자거늘 밀물이 사흘이로되 떠나야 잠기었습니다.
섬 안에 자실 제 큰비가 사흘이나 내리되 비우고서야 잠기었습니다
6. <제125장>
千世(천 세) 우희 미리 定(정)샨 漢水(한수) 北(북)에, 累仁開國(누인개국)
샤 卜年(복년)이 ㅿ업스시니, 聖神(성신)이 니 ㅿㅏ샤도 敬天勤民(경천근민)
샤ㅿㅏ, 더욱 구드시리이다.
님금하, 아쇼셔. 落水(낙수)예 山行(산행)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현대어 풀이]
천 세(千世)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쪽에, 여러 대를 물린 어진 임금이 나라를 여
[開]시어 왕조가 끝이 없으시니, 성신(聖神)이 이으시어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부
지런히 섬겨야 더욱 굳건할 것입니다.
임금이여, 아소서. 낙수(落水)에 사냥을 가 있으면서 조상만 믿으시겠습니까?
7. 고사 성어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용이 날아올라 하늘을 다스림을 노래한다는 뜻.
2) 해동 육룡(海東六龍)
‘해동’은 발해(渤海)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가리키는말
‘육룡’은 여섯 용이라는 뜻으로 ‘용비어천가’가 지어진 때의 임금인 세종의 여섯 조상을 가리키는말
3) 곶 됴코
꽃 좋고. 고어에서 ‘됴타’는 ‘좋다’의 뜻으로, ‘조타‘는 ’깨끗하다’의 뜻으로 쓰임
여름 하니→열매가 많나니. 고어에서 ‘여름’은 ‘열매’를, ‘녀름’은 ‘여름‘을 가리키는말이며 ‘하다’는 ‘많다’의 뜻으로, ‘다’는 ‘하다’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4) 仁(누인)
여러 대를 물려 인(仁)을 쌓음.
5) 卜年(복년)
왕조(王朝)가 얼마나 계속될까를 점쳐서 정한 햇수라는 뜻으로 왕조의 운명을 운명을 일컫는 말.
Ⅶ. 악장과 월인천강지곡
1. 작품 정리
1) 연대
창작(세종 29년 - 1447년). 간행(세종 31년 - 1449년)
2) 작자
세종대왕
3) 형식
악장. 서사시
4) 구성
전문 580여 장의 장편 서사시. 각 장 2절 4구체
5) 주제
석가의 공덕 찬양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의 실체
6) 출전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2. 감상
이 작품은 석가의 공덕을 찬양한 대서사시이다. 소헌 왕후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을 보고 세종이 감명을 받아 직접 지은 작품으로, ‘용비어천가’와 함께 조선 초 2대 서사시로 불린다.
제목에서 ‘달(月)’은 석가불을, ‘천강(千江)’은 중생을 비유한 것으로, 이 노래는 석가모니의 교화가 모든 중생에게 미침을 칭송한 찬불가(讚佛歌)이다. 그런데 조선의 치국(治國) 이념은 척불 숭유(斥佛崇儒)이었기에, 이 노래는 악장이면서도 궁중 음악으로 불리어지지 않았다.
3. 본문 감상
其一
외巍외巍 셕釋가迦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