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본론
1.악장으로서 정의와 문학으로서 문제
2. 악장의 발전 과정
3. 악장의 구체적인 모습
[1] 집단 악장의 대표작 - 용비어천가
1) 전체 짜임
2) 용비어천가의 창작 의의
3) 구체적인 내용
[2] 개인 악장의 대표작 - 정도전 악장
[3] 표기별로 구분지은 악장
1) 한문악장
2) 국문악장
3) 현토악장
4. 조선전기 국문 시가문학 비교
<나인단의 눈으로 본 악장>
맺음말
본론
1.악장으로서 정의와 문학으로서 문제
2. 악장의 발전 과정
3. 악장의 구체적인 모습
[1] 집단 악장의 대표작 - 용비어천가
1) 전체 짜임
2) 용비어천가의 창작 의의
3) 구체적인 내용
[2] 개인 악장의 대표작 - 정도전 악장
[3] 표기별로 구분지은 악장
1) 한문악장
2) 국문악장
3) 현토악장
4. 조선전기 국문 시가문학 비교
<나인단의 눈으로 본 악장>
맺음말
본문내용
정비가 끝나고, 통치 질서가 확립되어 조선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강력한 왕권 체제에서 뒤로 갈수록 사대부 양반층의 권력이 커지고, 당파가 일어나면서 중앙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양반들이 늘어남에 따라, 결국 필요로 하는 수요자의 변화보다 공급을 하는 공급자의 욕구에 의해 세 문학의 생명력은 결정 되어 졌다고 나름대로 정리를 한다.
<나인단의 눈으로 본 악장!>
처음에는 악장은 무엇인지 잘 몰랐다.왜냐하면 음악에서도 악장이 있기 때문이다. 문학에서 악장과 음악에서 악장 당연히 다르지만 그 정의를 몰랐다. 그래서 악장을 궁금하니까 책에 통해 알고 싶었다. 그런데 책을 본 후에 아리송하게 되었다. 책에서 너무 어려운 언어를 써서 이해하기가 힘들다. 조원들의 해석을 통해 알쏭달쏭 하였다. 네이버에서 검색하고 이런 정의를 알았다. ‘악부(樂府)’라고도 한다. 궁중의 제전(祭典)이나 연례(宴Y) 때 주악(奏樂)에 맞추어 부르던 가사(歌~)이다. 건국의 성업(}I)과 선대 임금의 위업 및 공덕을 기리고 금상(今上)의 만수 및 자손의 번성을 송축(祝)한 내용으로, 특히 조선의 창업을 칭송한 것이 대부분이다. 4구 2절의 형식으로 경기체가(景左w歌)의 영향을 직접 받아 이루어진 특권계급의 과장적인 문학인데, 주로 한시의 형식을 이어받은 한문계의 악장이 중심이 되어 있고, 국문계의 악장도 있다. 그러나 국문계 악장도《용비어천가(w御天歌)》나,《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외에는 그 대부분이 한시에 토를 단 정도이다. 정도전(道)이 지은 《문덕곡(文德曲)》과 《무공곡(武功曲)》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공덕을 찬송한 것으로 한문에 한글 토만 달았고, 하륜(河崙)의《근천정(P天庭)》,《수명명(受明命)》은 태종이 즉위하기 전에 중국 명나라에 가서 명제(明帝)의 봉례(奉Y)를 받아온 것과, 또한 태종이 사대(事大)의 예를 다하니 천자가 명명인장(明命印章)과 면복(冕服)을 주었던 일을 읊고 있는데, 순한문체로서 《시경》의 아송체(雅w)를 그대로 본 뜬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악장은 조선 전기에 주로 발달하였으나, 특권 귀족층이 전유한 문학형태로서 얼마 안가서 소멸되었다. 악장의 범주에 드는 작품으로는 그 밖에도 정도전의《납씨가({氏歌)》,《정동방곡(靖|方曲)》,《신도가(新都歌)》, 권근()의《상대별곡(霜_e曲)》, 변계량(卞季良)의《화산별곡(A山e曲)》, 윤회(尹淮)의《봉황음(P凰吟)》등이 있고, 또 작자 미상인《축성수(祝})》,《성덕가(}德歌)》,《유림가(儒林歌)》,《오륜가(五歌)》,《연형제곡(宴兄弟曲)》,《북전(北殿)》등이 있다.
이것을 통해 중국에서 악부(樂府)과 비슷한다고 생각했다. 중국의 악부는 친(진. 秦)나라에 비롯된 것이다.《志》에 의해. 한무제시절 지방의 노래를 채집하여 다듬거나 정리한 후 악보를 만든 악부(樂府)라는 궁전음악기관이 있었다. 그 뒤에 사람들은 이런 기관 만든 시가를 악부시(樂府)라고 불렀다. 악부는 국가기관으로서 당연히 군주의 취향을 아첨하여 영합하였다. 후대는 악부가 음악 문학과 관련된 문학의 장르도 가르친다. 당나라때 이런 기관을 더 이상 설립하지 않았다.
맺음말
이런 조사를 거치면서 우리 스스로가 생각한 악장의 정의는 어쩔 수 없이 단순했다. 나라를 세운 사람들이 변명을 하기 위해, 혹은 자신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혹은 단순히 국가의 행사나 제례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음악이라는 것이다. 해석하기에 따라 누구 하나의 말이 옳다, 그르다 를 말 할 수 없는 내용이며, 지금도 이것으로 수많은 국문학자분들이 조사를 하고 있다고 알고 있다. 결국 그 국가에서 모범으로 정한 노래는 그 국가를 위한 것이기에 위와 같은 내용의 노래가 만들어 질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두고 여타부타 말하는 것은 솔직히 어리석은 모습이라고 하겠다.
그럼 이보다 더 중요한 문제를 말해 보겠다. 왜 악장이 우리 문학의 범주에 들어갈 수밖에 없나? 조사를 하는 도중에 이 문제는 의외로 간단하게 정의가 되었다. 물론 찾아본 자료가 한정 되어 있고, 이 글을 읽은 우리의 머리가 어리석기에 바다를 마냥 푸르다라고 말하는 것과 똑 같은 이치일 수도 있지만, 교수님께서 요구 하신 점이 우리의 생각이 많이 들어간 것이라는 것을 믿고, 한번 결론으로 적어 보기로 하겠다.
악장은 우리 문학의 한 중간에 버티고 있다고 본다. 고려와 조선. 이 근본이 다른 두 왕조가 개창되면서, 그것도 외세의 힘이나 전쟁에 의해서 와해된 국가를 다시 세운 것이 아닌 역성혁명에 의해 개창 되면서 새로운 국가는 그 정당성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음악이고, 그 음악에 매달리게 된 사람들이 당시의 기득권층인 사대부출신이었다. 결국 기득권이 선택한 문화는 악장이며, 이 악장으로 중국의 것을 특징 없이 따라했던 고려의 아악도 아니요, 민중에서 속절없이 떠돌던 가벼운 향악이나 신라시대에 들어온 당악을 합쳐 부른 속악도 아닌 전혀 우리의 시가를 만드는 데에 그 뿌리가 되는 것이 감히 악장이라고 말하겠다. 어느 정도의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것이라는 것을 겉으로나마 말할 수 있는 시가. 그리고 그 안에는 그 당시 나라의 뜻을 대표했던 기득권층의 생각과 이념이 담겨있는 문학. 이런 것이기에 우리 국문사적에서도 중요한 것이며,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꽃 피우기 위해서 반드시 연구를 해야 하는 것이 악장이라고 말을 하겠다.
이제 악장에 대해 우리가 준비 한 내용은 여기까지이다. 솔직히 아직도 악장이 무엇인지, 왜 악장으로 따로 분류가 되는지, 그리고 그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올바르게 알지 못한다. 비록 글에 잘못된 점이나 어설픈 내용이 있어도 바르게 이해해 주고, 확실히 가르쳐 주기를 바라면서 이만 글을 마친다.
참고 문헌
한국 문학입문 - 김해옥 (도서출판 역락)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 조규익 (민속원)
한국의 고전시가 해석과 감상 - 이장의, 김윤완 공저 (글벗사)
한국 문학 통사 2권 - 조동일 (지식 산업사)
선초 악장 문학 연구 - 조규익 (숭실대학교 출판부)
http://www.solbit.net
http://www.seelotus.com
享用世界上最大的子件系― MSN Hotmail
<나인단의 눈으로 본 악장!>
처음에는 악장은 무엇인지 잘 몰랐다.왜냐하면 음악에서도 악장이 있기 때문이다. 문학에서 악장과 음악에서 악장 당연히 다르지만 그 정의를 몰랐다. 그래서 악장을 궁금하니까 책에 통해 알고 싶었다. 그런데 책을 본 후에 아리송하게 되었다. 책에서 너무 어려운 언어를 써서 이해하기가 힘들다. 조원들의 해석을 통해 알쏭달쏭 하였다. 네이버에서 검색하고 이런 정의를 알았다. ‘악부(樂府)’라고도 한다. 궁중의 제전(祭典)이나 연례(宴Y) 때 주악(奏樂)에 맞추어 부르던 가사(歌~)이다. 건국의 성업(}I)과 선대 임금의 위업 및 공덕을 기리고 금상(今上)의 만수 및 자손의 번성을 송축(祝)한 내용으로, 특히 조선의 창업을 칭송한 것이 대부분이다. 4구 2절의 형식으로 경기체가(景左w歌)의 영향을 직접 받아 이루어진 특권계급의 과장적인 문학인데, 주로 한시의 형식을 이어받은 한문계의 악장이 중심이 되어 있고, 국문계의 악장도 있다. 그러나 국문계 악장도《용비어천가(w御天歌)》나,《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외에는 그 대부분이 한시에 토를 단 정도이다. 정도전(道)이 지은 《문덕곡(文德曲)》과 《무공곡(武功曲)》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공덕을 찬송한 것으로 한문에 한글 토만 달았고, 하륜(河崙)의《근천정(P天庭)》,《수명명(受明命)》은 태종이 즉위하기 전에 중국 명나라에 가서 명제(明帝)의 봉례(奉Y)를 받아온 것과, 또한 태종이 사대(事大)의 예를 다하니 천자가 명명인장(明命印章)과 면복(冕服)을 주었던 일을 읊고 있는데, 순한문체로서 《시경》의 아송체(雅w)를 그대로 본 뜬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악장은 조선 전기에 주로 발달하였으나, 특권 귀족층이 전유한 문학형태로서 얼마 안가서 소멸되었다. 악장의 범주에 드는 작품으로는 그 밖에도 정도전의《납씨가({氏歌)》,《정동방곡(靖|方曲)》,《신도가(新都歌)》, 권근()의《상대별곡(霜_e曲)》, 변계량(卞季良)의《화산별곡(A山e曲)》, 윤회(尹淮)의《봉황음(P凰吟)》등이 있고, 또 작자 미상인《축성수(祝})》,《성덕가(}德歌)》,《유림가(儒林歌)》,《오륜가(五歌)》,《연형제곡(宴兄弟曲)》,《북전(北殿)》등이 있다.
이것을 통해 중국에서 악부(樂府)과 비슷한다고 생각했다. 중국의 악부는 친(진. 秦)나라에 비롯된 것이다.《志》에 의해. 한무제시절 지방의 노래를 채집하여 다듬거나 정리한 후 악보를 만든 악부(樂府)라는 궁전음악기관이 있었다. 그 뒤에 사람들은 이런 기관 만든 시가를 악부시(樂府)라고 불렀다. 악부는 국가기관으로서 당연히 군주의 취향을 아첨하여 영합하였다. 후대는 악부가 음악 문학과 관련된 문학의 장르도 가르친다. 당나라때 이런 기관을 더 이상 설립하지 않았다.
맺음말
이런 조사를 거치면서 우리 스스로가 생각한 악장의 정의는 어쩔 수 없이 단순했다. 나라를 세운 사람들이 변명을 하기 위해, 혹은 자신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혹은 단순히 국가의 행사나 제례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음악이라는 것이다. 해석하기에 따라 누구 하나의 말이 옳다, 그르다 를 말 할 수 없는 내용이며, 지금도 이것으로 수많은 국문학자분들이 조사를 하고 있다고 알고 있다. 결국 그 국가에서 모범으로 정한 노래는 그 국가를 위한 것이기에 위와 같은 내용의 노래가 만들어 질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두고 여타부타 말하는 것은 솔직히 어리석은 모습이라고 하겠다.
그럼 이보다 더 중요한 문제를 말해 보겠다. 왜 악장이 우리 문학의 범주에 들어갈 수밖에 없나? 조사를 하는 도중에 이 문제는 의외로 간단하게 정의가 되었다. 물론 찾아본 자료가 한정 되어 있고, 이 글을 읽은 우리의 머리가 어리석기에 바다를 마냥 푸르다라고 말하는 것과 똑 같은 이치일 수도 있지만, 교수님께서 요구 하신 점이 우리의 생각이 많이 들어간 것이라는 것을 믿고, 한번 결론으로 적어 보기로 하겠다.
악장은 우리 문학의 한 중간에 버티고 있다고 본다. 고려와 조선. 이 근본이 다른 두 왕조가 개창되면서, 그것도 외세의 힘이나 전쟁에 의해서 와해된 국가를 다시 세운 것이 아닌 역성혁명에 의해 개창 되면서 새로운 국가는 그 정당성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음악이고, 그 음악에 매달리게 된 사람들이 당시의 기득권층인 사대부출신이었다. 결국 기득권이 선택한 문화는 악장이며, 이 악장으로 중국의 것을 특징 없이 따라했던 고려의 아악도 아니요, 민중에서 속절없이 떠돌던 가벼운 향악이나 신라시대에 들어온 당악을 합쳐 부른 속악도 아닌 전혀 우리의 시가를 만드는 데에 그 뿌리가 되는 것이 감히 악장이라고 말하겠다. 어느 정도의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것이라는 것을 겉으로나마 말할 수 있는 시가. 그리고 그 안에는 그 당시 나라의 뜻을 대표했던 기득권층의 생각과 이념이 담겨있는 문학. 이런 것이기에 우리 국문사적에서도 중요한 것이며,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꽃 피우기 위해서 반드시 연구를 해야 하는 것이 악장이라고 말을 하겠다.
이제 악장에 대해 우리가 준비 한 내용은 여기까지이다. 솔직히 아직도 악장이 무엇인지, 왜 악장으로 따로 분류가 되는지, 그리고 그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올바르게 알지 못한다. 비록 글에 잘못된 점이나 어설픈 내용이 있어도 바르게 이해해 주고, 확실히 가르쳐 주기를 바라면서 이만 글을 마친다.
참고 문헌
한국 문학입문 - 김해옥 (도서출판 역락)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 조규익 (민속원)
한국의 고전시가 해석과 감상 - 이장의, 김윤완 공저 (글벗사)
한국 문학 통사 2권 - 조동일 (지식 산업사)
선초 악장 문학 연구 - 조규익 (숭실대학교 출판부)
http://www.solbit.net
http://www.seelotus.com
享用世界上最大的子件系― MSN Hotmail
추천자료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과 물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과 종교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의 전통
조선 건국과 조선 초기의 한문학에 대한 이해와 고찰
1950년대 남, 북한의 문학의 이해
한국문학의 이해, 설화와 신화 연구
[책 요약 및 서평] 북한문학의 이해 3
<북한문학의 이해>『높새바람』과『황진이』에 관한 비교연구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신화 (신화에 대한 이해, 유아들이 신화에 흥미를 갖는 이유, ...
실존주의 문학의 이해 - 카뮈(Albert Camus)의 <이방인(L`Etranger)>을 바탕으로 한국의 실존...
그림책의 이해와 그림책의 그림 읽기 - 그림책이 개념 및 특성, 글과 그림의 관계, 그림책의 ...
[유아문학교육] 유아 문학 교육의 이해 _ 유아문학교육의 개념, 유아 도서의 이해(그림책의 ...
[문학의 이해 공통] 다음 작품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장 감동적이거나 인상 깊은 부분을 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