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쪽
Ⅱ. 이론적 배경
1. 오줌싸는 행동의 이해
1) 오줌싸는 행동이란? 1쪽
2) 오줌싸는 행동을 하는 아이의 특징 1쪽
3) 오줌싸는 행동의 원인 1쪽
4) 개선 및 지도 2쪽
2. 행동수정
1) 행동수정이란?
(1) 행동수정의 정의 2쪽
(2) 행동주의 이론 3쪽
2) 행동수정의 절차
(1) 행동의 특성 규정 5쪽
(2) 행동의 관찰 및 기록 5쪽
(3) 달성 가능한 지도목표의 설정 6쪽
(4) 가능한 보상의 설정 7쪽
(5)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8쪽
(6) 시행절차의 재점검 및 연습 8쪽
(7) 시행계획 9쪽
(8) 결과의 점검 9쪽
(9) 변화된 행동의 유지 계획 10쪽
Ⅲ. 행동수정의 실제
1. 대상아동의 특성 10쪽
2. 발달사항 11쪽
3. 대상 아동의 문제 행동 특징 11쪽
4. 관찰 일시 및 관찰 방법 11쪽
5. 기초선 측정 단계 11,12
6. 행동수정 목표 설정 13쪽
7. 강화 방법과 행동수정 기법의 설정 13쪽
8.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13쪽
9. 행동수정 시행과정
1) 강화 단계 14쪽
2) 반전 단계 15쪽
3) 재강화 단계 16쪽
10. 결과의 점검 19쪽
Ⅳ. 결론 20쪽
참고문헌 21쪽
부록 22쪽
느낀점 23쪽
Ⅱ. 이론적 배경
1. 오줌싸는 행동의 이해
1) 오줌싸는 행동이란? 1쪽
2) 오줌싸는 행동을 하는 아이의 특징 1쪽
3) 오줌싸는 행동의 원인 1쪽
4) 개선 및 지도 2쪽
2. 행동수정
1) 행동수정이란?
(1) 행동수정의 정의 2쪽
(2) 행동주의 이론 3쪽
2) 행동수정의 절차
(1) 행동의 특성 규정 5쪽
(2) 행동의 관찰 및 기록 5쪽
(3) 달성 가능한 지도목표의 설정 6쪽
(4) 가능한 보상의 설정 7쪽
(5)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8쪽
(6) 시행절차의 재점검 및 연습 8쪽
(7) 시행계획 9쪽
(8) 결과의 점검 9쪽
(9) 변화된 행동의 유지 계획 10쪽
Ⅲ. 행동수정의 실제
1. 대상아동의 특성 10쪽
2. 발달사항 11쪽
3. 대상 아동의 문제 행동 특징 11쪽
4. 관찰 일시 및 관찰 방법 11쪽
5. 기초선 측정 단계 11,12
6. 행동수정 목표 설정 13쪽
7. 강화 방법과 행동수정 기법의 설정 13쪽
8.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13쪽
9. 행동수정 시행과정
1) 강화 단계 14쪽
2) 반전 단계 15쪽
3) 재강화 단계 16쪽
10. 결과의 점검 19쪽
Ⅳ. 결론 20쪽
참고문헌 21쪽
부록 22쪽
느낀점 23쪽
본문내용
“너무 쎄게 하지마 다쳐”라고 했지만 말을 듣지 않아 그네를 잡고 “그렇게 타면 안된다고 했잖아 다친다고 주연아” 라고 하면서 그네를 놔주지 않았다. 그랬더니 “놔 탈꺼야 탈꺼야” 라고 해서 관찰자는 “언니랑 약속지키면 놔줄게” 라고 하자 관찰자를 때리면서 “싫어 싫어” 하며 울다가 오줌을 쌌다
평균
3.6회
19÷5=3.8회
기초선 측정 단계에서는 어떠한 강화도 하지 않고 대상아동이 평상시에 오줌싸는 행동을 몇 번 하는지를 기록하였다.
대상 아동에게 아무런 강화없이 오줌싸는 행동을 5일동안 재어본 결과 평균 3.8회가 나왔다.
6. 행동수정 목표설정
앞서한 기초선 측정 결과 오줌싸는 횟수가 평균 3.8회로 나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수정의 목표를 재 강화단계에서 평균 2.2회 이하로 줄이는 것으로 하였다.
7. 강화방법과 행동수정기법의 설정
1) 일차적 강화제 - 먹는 강화제 (사탕, 초콜렛)
2) 이차적 강화제 - 사회적 강화제
① 칭찬하기
② 안아주기
③ 머리만져주기
3) 이차적 강화제 - 물질적 강화제
칭찬 스티커
8.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지도 방법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아동이 떼를 쓰지 않고 사이좋게 놀아줄 때마다 칭찬 스티커를 한 장씩 주기로 한다.
2)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경우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기로 한다.
3) 아동이 오줌싸는 행동이 나오면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고 머리를 만져준다.
4) 관찰자나 부모님은 아동 앞에서 강압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9. 행동수정 시행과정
1) 강화단계(5일)
강화단계에서는 앞서 계획하였던 사회적 강화와 물질적 강화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의 빈도수를 측정했다.
측정일
횟수
일화기록
1
강화단계
1일차
4회
주연이와 주연이 엄마와 관찰자가 함께 외할아버지댁에 갔다. 그런데 주연이가 오랜만에 보는 할아버지께 “할아버지머리는 빡빡이래요 빡빡이래요” 노래를 불렀다. 주연이의 엄마가 몇 번주의를 줬지만 그치지 않자 화가 나서 주연이의 팔을 꽉잡고 ”그만 하랬지 “ 하며 팔을 놓아주지 않고 화를 내었다. 그러자 주연이가 눈물을 흘리며 팔을 놔달라고 발을 동동구르다가 오줌을 싸버렸다. 주연이 엄마는 팔을 살짝 잡고 ”주연아 할아버지께 그러는거 아니야 알겠지“ 하고 머리를 쓸어줬다. 그랬더니 3~4분간 울더니 서서히 그치며 ”네“ 했다.
2
강화단계
2일차
2회
저녁을 먹고 주연이는 관찰자와 함께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었다. 관차찰자는 할 것이 있어서 “주연아 언니가 할게 있는데 잠깐만 해도 될까?” 했다 하지만 주연이는 “싫어 나 더할꺼야 ” 라고 하며 마우스를 꼭 쥐었다. 그래서 주연이 엄마가 “홍주연 언니가 할 게 있다 잖아 비켜줘” 하니까 울었다. 관찰자는 “주연이가 이게임이 재미있었나 보구나~ 그럼 5분만 더하고 언니가 해도 될까?” 했더니 “흥 알겠어!” 했다.
3
강화단계
3일차
3회
주연이가 감기기운이 있어서 병원에 데리고 갔다. 하지만 주연이는 병원이 무서웠는지 망설였다. 주연이 엄마가 안고 들어갔다. 간호사가 주사 맞자고 하자 주연이는 겁에 질려 울음을 터트리면서 오줌을 지렸다. 그러자 엄마는 주연이를 안아주면서 “우리주연이 주사가 무서웠구나~ 주연이 빨리 나으라고 간호사언니가 주사놔주는 거니까 뚝하자~” 라고 부드럽게 주연이를 달랬다.
4
강화단계
4일차
3회
주연이가 바비인형을 가지고 놀고 있었다. 관찰자가 “주연아 그인형 정말 이쁘다~ 언니도 한번 봐도 돼?” 라고 하자 “응 여기” 라고 했다. 그래서 관찰자는 “우와~ 우리주연이 정말 착하다! 언니가 맛있는 사탕을 줄게” 하며 칭찬을 해주었다.
5
강화단계
5일차
2회
주연이는 밥을 먹고 몇일 전에 타온 감기약을 먹어야 하는데 쓰다며 먹지 않는다고 울먹이면서 도망갔다. 관찰자는 따라다니면서 “주연아 감기얼른 나으려면 써도 꾹 참고 먹어야 돼~ 그래야 빨리 낫지 !\" 그랬더니 주연이는 도망다니다가 오줌을 싸고 말았다. 관찰자는 주연이를 안아주면서 ”주연아 약을 먹어야 얼른 낫는 거야 주연이가 참고 먹으면 언니가 초콜렛을 줄게!” 하였다. 그러자 주연이는 울음을 그치고 약을 먹었다. 그래서 관찰자는 주연이에게 칭찬을 해주고 초콜렛도 주었다.
평균
2.8회
14÷5=2.8
강화 단계 5일 동안 약 4회 → 2회 → 3회 → 3회 → 2회로 대체적으로 오줌을 싸는 행동을 하는 횟수가 약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2) 반전단계
본 단계에서는 이전의 강화단계에서 사용했던 강화인자가 대상 아동에 그 효과가 있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5일 동안 아무런 강화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오줌싸는 행동을 하는지 보았다.
측정일
횟수
일화기록
1
반전단계
1일차
3회
오랜만에 주연이 아빠께서 일찍 퇴근하셔서 아이스크림을 사오셨다. 관찰자와 주연이 주연이언니까지 맛있게 먹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주연이가 “내꺼라고! 먹지마! 내꺼야!” 하며 때를 썼다. 그러자 언니가 주연이 손을 때렸다. 화가 난주연이가 발을 동동 구르며 “왜때려!” 하며 울다가 오줌을 쌌다.
2
반전단계 2일차
4회
몇일전에 걸린 감기가 독했는지 낫질 않아서 주연이는 아프다며 칭얼대었다. 주연이에게 관찰자가 “주연아 아직도 많이 아프구나 언니랑 같이 일찍자자” 라고 하였더니 “응”이라고 하였다.
3
반전단계
3일차
3회
일찍 잠이 든주연이가 갑자기 울어서 관찰자와 엄마는 놀라서 방에 들어갔다. 그런데 주연이가 오줌을 쌌다. 주연이 엄마가 “우리주연이 무서운 꾸었구나~” 했더니 “응”이라고 하면서 계속 칭얼댔다.
4
반전단계
4일차
4회
주연이와 집앞 놀이터에 갔다. 주연이는 친구와 놀고 있었고 관찰자와 예주엄마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놀이터에 산책을 나온 큰개가 돌아다녔다. 개를 보더니 주연이는 겁에 질린 표정을 짓고 달려와 울면서 오줌을 싸버렸다.
5
반전단계
5일차
4회
잠이 들기전 주연이 엄마가 “주연아 양치하자”하며 불렀지만 주연이는 “싫어 안닦을 거야” 하고 짜증을 냈다. 그래서 주연이 엄마는 관찰자에게 “양치질 시키게 데리고 와” 라고 해서 데리고 가서 주연이 엄마는 주연이를 눕혀 놓고 양치질을 시키려는데 주연이는 “안씻을 거야” 라고 짜증을 내더니 오줌을
평균
3.6회
19÷5=3.8회
기초선 측정 단계에서는 어떠한 강화도 하지 않고 대상아동이 평상시에 오줌싸는 행동을 몇 번 하는지를 기록하였다.
대상 아동에게 아무런 강화없이 오줌싸는 행동을 5일동안 재어본 결과 평균 3.8회가 나왔다.
6. 행동수정 목표설정
앞서한 기초선 측정 결과 오줌싸는 횟수가 평균 3.8회로 나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행동수정의 목표를 재 강화단계에서 평균 2.2회 이하로 줄이는 것으로 하였다.
7. 강화방법과 행동수정기법의 설정
1) 일차적 강화제 - 먹는 강화제 (사탕, 초콜렛)
2) 이차적 강화제 - 사회적 강화제
① 칭찬하기
② 안아주기
③ 머리만져주기
3) 이차적 강화제 - 물질적 강화제
칭찬 스티커
8. 행동지도 절차의 설정
본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지도 방법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아동이 떼를 쓰지 않고 사이좋게 놀아줄 때마다 칭찬 스티커를 한 장씩 주기로 한다.
2)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경우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기로 한다.
3) 아동이 오줌싸는 행동이 나오면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고 머리를 만져준다.
4) 관찰자나 부모님은 아동 앞에서 강압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9. 행동수정 시행과정
1) 강화단계(5일)
강화단계에서는 앞서 계획하였던 사회적 강화와 물질적 강화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의 빈도수를 측정했다.
측정일
횟수
일화기록
1
강화단계
1일차
4회
주연이와 주연이 엄마와 관찰자가 함께 외할아버지댁에 갔다. 그런데 주연이가 오랜만에 보는 할아버지께 “할아버지머리는 빡빡이래요 빡빡이래요” 노래를 불렀다. 주연이의 엄마가 몇 번주의를 줬지만 그치지 않자 화가 나서 주연이의 팔을 꽉잡고 ”그만 하랬지 “ 하며 팔을 놓아주지 않고 화를 내었다. 그러자 주연이가 눈물을 흘리며 팔을 놔달라고 발을 동동구르다가 오줌을 싸버렸다. 주연이 엄마는 팔을 살짝 잡고 ”주연아 할아버지께 그러는거 아니야 알겠지“ 하고 머리를 쓸어줬다. 그랬더니 3~4분간 울더니 서서히 그치며 ”네“ 했다.
2
강화단계
2일차
2회
저녁을 먹고 주연이는 관찰자와 함께 컴퓨터게임을 하고 있었다. 관차찰자는 할 것이 있어서 “주연아 언니가 할게 있는데 잠깐만 해도 될까?” 했다 하지만 주연이는 “싫어 나 더할꺼야 ” 라고 하며 마우스를 꼭 쥐었다. 그래서 주연이 엄마가 “홍주연 언니가 할 게 있다 잖아 비켜줘” 하니까 울었다. 관찰자는 “주연이가 이게임이 재미있었나 보구나~ 그럼 5분만 더하고 언니가 해도 될까?” 했더니 “흥 알겠어!” 했다.
3
강화단계
3일차
3회
주연이가 감기기운이 있어서 병원에 데리고 갔다. 하지만 주연이는 병원이 무서웠는지 망설였다. 주연이 엄마가 안고 들어갔다. 간호사가 주사 맞자고 하자 주연이는 겁에 질려 울음을 터트리면서 오줌을 지렸다. 그러자 엄마는 주연이를 안아주면서 “우리주연이 주사가 무서웠구나~ 주연이 빨리 나으라고 간호사언니가 주사놔주는 거니까 뚝하자~” 라고 부드럽게 주연이를 달랬다.
4
강화단계
4일차
3회
주연이가 바비인형을 가지고 놀고 있었다. 관찰자가 “주연아 그인형 정말 이쁘다~ 언니도 한번 봐도 돼?” 라고 하자 “응 여기” 라고 했다. 그래서 관찰자는 “우와~ 우리주연이 정말 착하다! 언니가 맛있는 사탕을 줄게” 하며 칭찬을 해주었다.
5
강화단계
5일차
2회
주연이는 밥을 먹고 몇일 전에 타온 감기약을 먹어야 하는데 쓰다며 먹지 않는다고 울먹이면서 도망갔다. 관찰자는 따라다니면서 “주연아 감기얼른 나으려면 써도 꾹 참고 먹어야 돼~ 그래야 빨리 낫지 !\" 그랬더니 주연이는 도망다니다가 오줌을 싸고 말았다. 관찰자는 주연이를 안아주면서 ”주연아 약을 먹어야 얼른 낫는 거야 주연이가 참고 먹으면 언니가 초콜렛을 줄게!” 하였다. 그러자 주연이는 울음을 그치고 약을 먹었다. 그래서 관찰자는 주연이에게 칭찬을 해주고 초콜렛도 주었다.
평균
2.8회
14÷5=2.8
강화 단계 5일 동안 약 4회 → 2회 → 3회 → 3회 → 2회로 대체적으로 오줌을 싸는 행동을 하는 횟수가 약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2) 반전단계
본 단계에서는 이전의 강화단계에서 사용했던 강화인자가 대상 아동에 그 효과가 있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5일 동안 아무런 강화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오줌싸는 행동을 하는지 보았다.
측정일
횟수
일화기록
1
반전단계
1일차
3회
오랜만에 주연이 아빠께서 일찍 퇴근하셔서 아이스크림을 사오셨다. 관찰자와 주연이 주연이언니까지 맛있게 먹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주연이가 “내꺼라고! 먹지마! 내꺼야!” 하며 때를 썼다. 그러자 언니가 주연이 손을 때렸다. 화가 난주연이가 발을 동동 구르며 “왜때려!” 하며 울다가 오줌을 쌌다.
2
반전단계 2일차
4회
몇일전에 걸린 감기가 독했는지 낫질 않아서 주연이는 아프다며 칭얼대었다. 주연이에게 관찰자가 “주연아 아직도 많이 아프구나 언니랑 같이 일찍자자” 라고 하였더니 “응”이라고 하였다.
3
반전단계
3일차
3회
일찍 잠이 든주연이가 갑자기 울어서 관찰자와 엄마는 놀라서 방에 들어갔다. 그런데 주연이가 오줌을 쌌다. 주연이 엄마가 “우리주연이 무서운 꾸었구나~” 했더니 “응”이라고 하면서 계속 칭얼댔다.
4
반전단계
4일차
4회
주연이와 집앞 놀이터에 갔다. 주연이는 친구와 놀고 있었고 관찰자와 예주엄마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놀이터에 산책을 나온 큰개가 돌아다녔다. 개를 보더니 주연이는 겁에 질린 표정을 짓고 달려와 울면서 오줌을 싸버렸다.
5
반전단계
5일차
4회
잠이 들기전 주연이 엄마가 “주연아 양치하자”하며 불렀지만 주연이는 “싫어 안닦을 거야” 하고 짜증을 냈다. 그래서 주연이 엄마는 관찰자에게 “양치질 시키게 데리고 와” 라고 해서 데리고 가서 주연이 엄마는 주연이를 눕혀 놓고 양치질을 시키려는데 주연이는 “안씻을 거야” 라고 짜증을 내더니 오줌을
추천자료
아동관찰 사례
아동정서및행동장애_음악,약물치료방법
[아동공격성][아동공격적행동]아동공격성(아동공격적행동)의 개념과 증가 원인, 아동공격성(...
[주의산만,주의집중,주의집중력]주의산만행동(주의산만아동)의 유형, 주의산만행동(주의산만...
아동연구 접근법과 아동연구 윤리
[아동발달연구법] 아동발달 연구의 목적, 아동발달 연구방법, 아동발달의 비교접근법, 아동발...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을 정리하고 아동발달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연구법을 선택 그 ...
아동발달연구의 접근법(종단적 연구, 횡단적 연구, 계열적 연구)
[아동발달 연구방법] 아동발달연구의 비실험적 방법 및 실험적 방법
아동발달 연구방법(아동발달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아동발달 연구설계방법, 자료수집방법, 아...
[아동관찰기록] 아동관찰기록으로 일화기록법과 표집법의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고 이에 대한 ...
유아관찰일지(아동관찰일지) 2월 관찰일지- 2월 동안 만 5세 대상으로 작성한 평가인증 유아...
유아관찰일지 아동관찰일지 만3세 2월- 관찰일지, 유아관찰일지, 아동관찰일지, 유치원관찰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