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순수시인 노천명
Ⅱ. 순수시인 김소월
Ⅲ. 순수시인 김영랑
1. 1903년(1세) 1월 16일(음력 전해 12월 18일)
2. 1909년(7세)
3. 1916년(14세)
4. 1917년(15세)
5. 1919년(17세)
6. 1920년(18세)
7. 1921년(19세)
8. 1922년(20세)
9. 1923년(21세)
10. 1930년(28세)
11. 1934년(32세)
12. 1935년(33세)
13. 1945년(43세)
14. 1948년(46세)
15. 1949년(47세)
16. 1950년(48세)
17. 1970년
18. 출생
19. 학력
20. 등단
21. 경력
22. 저서
23. 기타
Ⅳ. 순수시인 김춘수
Ⅴ. 순수시인 박목월
1. 작품경향
2. 시경향의 변모
3. 박목월의 작품세계
4. 박목월 시와 선염법(渲染法)
Ⅵ. 순수시인 서정주
1. 1~3연
2. 4연
3. 5~8연
Ⅶ. 순수시인 유치환
참고문헌
Ⅱ. 순수시인 김소월
Ⅲ. 순수시인 김영랑
1. 1903년(1세) 1월 16일(음력 전해 12월 18일)
2. 1909년(7세)
3. 1916년(14세)
4. 1917년(15세)
5. 1919년(17세)
6. 1920년(18세)
7. 1921년(19세)
8. 1922년(20세)
9. 1923년(21세)
10. 1930년(28세)
11. 1934년(32세)
12. 1935년(33세)
13. 1945년(43세)
14. 1948년(46세)
15. 1949년(47세)
16. 1950년(48세)
17. 1970년
18. 출생
19. 학력
20. 등단
21. 경력
22. 저서
23. 기타
Ⅳ. 순수시인 김춘수
Ⅴ. 순수시인 박목월
1. 작품경향
2. 시경향의 변모
3. 박목월의 작품세계
4. 박목월 시와 선염법(渲染法)
Ⅵ. 순수시인 서정주
1. 1~3연
2. 4연
3. 5~8연
Ⅶ. 순수시인 유치환
참고문헌
본문내용
순수시인 노천명, 순수시인 김소월, 순수시인 김영랑, 순수시인 김춘수, 순수시인 박목월, 순수시인 서정주, 순수시인 유치환 분석
Ⅰ. 순수시인 노천명
Ⅱ. 순수시인 김소월
Ⅲ. 순수시인 김영랑
1. 1903년(1세) 1월 16일(음력 전해 12월 18일)
2. 1909년(7세)
3. 1916년(14세)
4. 1917년(15세)
5. 1919년(17세)
6. 1920년(18세)
7. 1921년(19세)
8. 1922년(20세)
9. 1923년(21세)
10. 1930년(28세)
11. 1934년(32세)
12. 1935년(33세)
13. 1945년(43세)
14. 1948년(46세)
15. 1949년(47세)
16. 1950년(48세)
17. 1970년
18. 출생
19. 학력
20. 등단
21. 경력
22. 저서
23. 기타
Ⅳ. 순수시인 김춘수
Ⅴ. 순수시인 박목월
1. 작품경향
2. 시경향의 변모
3. 박목월의 작품세계
4. 박목월 시와 선염법(渲染法)
Ⅵ. 순수시인 서정주
1. 1~3연
2. 4연
3. 5~8연
Ⅶ. 순수시인 유치환
참고문헌
Ⅰ. 순수시인 노천명
盧天命 1912-1957 여류시인. 아명은 기선(基善) 황해도 장연군 순택면에서 계일의 2녀 중 둘째로 출생. 1920년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서우로 이주. 진명여고보를 거쳐, 1934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 그해 <중앙일보> 학예부 기자로 입사했다.1935년 <시원(詩苑)>창간호에 시 ‘내 청춘의 배는’을 발표하면서 시작(詩作)에 전1938년 . 1938년 처녀시집 <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다. 여기서 ‘사슴’, ‘자화상’등 49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사슴’은 그의 대명사처럼 된 유명한 작품이다. 이해 [극예술연구회]에 가입하여 안톤 체호프의 ‘앵원화’에 출연하기도 하고 4년간 <여성(女性)>의 편집을 맡았다. 1943년 <매일신보> 학예부 기자로 근무, 1945년 2월에는 제2시집 <창변(窓邊)>을 출간, ‘산호림’에서와 같이 고독과 애수의 정적 시세계를 보이면서, 향토(鄕土)에서 소재를 얻어 객관적 정경을 그려 건강미와 소박미를 보여주었다. 첫 시집 발간 후 알게 된 보성전문의 교수 김광진과의 연애가 정신세계와 시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 듯하다. 해방 후 <서울신문>, <부녀신보> 등 언론계에 종사, 6.25 동란 때 서울에 남아 있다가 문학가동맹에 협조했다는 죄목으로 9.28 수복 후 투옥되었으나 1951년 봄 문인들의 석방운동으로 출감되었다. 이 시련으로 한
Ⅰ. 순수시인 노천명
Ⅱ. 순수시인 김소월
Ⅲ. 순수시인 김영랑
1. 1903년(1세) 1월 16일(음력 전해 12월 18일)
2. 1909년(7세)
3. 1916년(14세)
4. 1917년(15세)
5. 1919년(17세)
6. 1920년(18세)
7. 1921년(19세)
8. 1922년(20세)
9. 1923년(21세)
10. 1930년(28세)
11. 1934년(32세)
12. 1935년(33세)
13. 1945년(43세)
14. 1948년(46세)
15. 1949년(47세)
16. 1950년(48세)
17. 1970년
18. 출생
19. 학력
20. 등단
21. 경력
22. 저서
23. 기타
Ⅳ. 순수시인 김춘수
Ⅴ. 순수시인 박목월
1. 작품경향
2. 시경향의 변모
3. 박목월의 작품세계
4. 박목월 시와 선염법(渲染法)
Ⅵ. 순수시인 서정주
1. 1~3연
2. 4연
3. 5~8연
Ⅶ. 순수시인 유치환
참고문헌
Ⅰ. 순수시인 노천명
盧天命 1912-1957 여류시인. 아명은 기선(基善) 황해도 장연군 순택면에서 계일의 2녀 중 둘째로 출생. 1920년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서우로 이주. 진명여고보를 거쳐, 1934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를 졸업, 그해 <중앙일보> 학예부 기자로 입사했다.1935년 <시원(詩苑)>창간호에 시 ‘내 청춘의 배는’을 발표하면서 시작(詩作)에 전1938년 . 1938년 처녀시집 <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다. 여기서 ‘사슴’, ‘자화상’등 49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사슴’은 그의 대명사처럼 된 유명한 작품이다. 이해 [극예술연구회]에 가입하여 안톤 체호프의 ‘앵원화’에 출연하기도 하고 4년간 <여성(女性)>의 편집을 맡았다. 1943년 <매일신보> 학예부 기자로 근무, 1945년 2월에는 제2시집 <창변(窓邊)>을 출간, ‘산호림’에서와 같이 고독과 애수의 정적 시세계를 보이면서, 향토(鄕土)에서 소재를 얻어 객관적 정경을 그려 건강미와 소박미를 보여주었다. 첫 시집 발간 후 알게 된 보성전문의 교수 김광진과의 연애가 정신세계와 시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 듯하다. 해방 후 <서울신문>, <부녀신보> 등 언론계에 종사, 6.25 동란 때 서울에 남아 있다가 문학가동맹에 협조했다는 죄목으로 9.28 수복 후 투옥되었으나 1951년 봄 문인들의 석방운동으로 출감되었다. 이 시련으로 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