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소설가(소설작가) 조벽암
Ⅱ. 소설가(소설작가) 손창섭
Ⅲ. 소설가(소설작가) 이광수
Ⅳ. 소설가(소설작가) 안함광
Ⅴ. 소설가(소설작가) 김유정
Ⅵ. 소설가(소설작가) 김동인
Ⅶ. 소설가(소설작가) 하근찬
1. 하근찬의 작품 배경
2. <수난 이대> - 국토분단의 상징
Ⅷ. 소설가(소설작가) 황석영
참고문헌
Ⅱ. 소설가(소설작가) 손창섭
Ⅲ. 소설가(소설작가) 이광수
Ⅳ. 소설가(소설작가) 안함광
Ⅴ. 소설가(소설작가) 김유정
Ⅵ. 소설가(소설작가) 김동인
Ⅶ. 소설가(소설작가) 하근찬
1. 하근찬의 작품 배경
2. <수난 이대> - 국토분단의 상징
Ⅷ. 소설가(소설작가) 황석영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년 시절과 청춘 시절은 그러한 엄청난 시련들의 연속 속에서 멍들어버린 세월이지만 , 그는 작가로서 가장 소중한, 몸으로 겪은 체험이라는 값진 자산을 지니고 있는 작가이다.
일제치하와 6.25를 동시적 관점으로 파악하려는 하근찬의 시도는 이미 그의 데뷔작 <수난 이대 (受難 二代)>에서부터 예고된 것이다. 팔이 하나 없거나, 다리가 하나 없거나, 혹은 아면 같은 곳이 형편없이 뭉개져버린 그런 상이군인들이 둘 또는 셋씩 패를 지어 다니며 물품을 강매하거나, 혹은 손대신 갈고리가 박힌 의수로 협박하듯 물건을 불쑥 내미는, 50년대의 그 흔해 빠진 삼등 열차 속에서의 체험과 우연히 읽은 어느 유명인사의 구라파 여행 기행문이 과장되어 이 작품이 탄생했다고 작가는 훗날 밝히고 있다. 이런 식으로 탄생한 <수난 이대>는 꼼꼼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은 주제가 툭툭 불거져 나오는 미숙함을 드러내긴 해도, 나중의 하근찬의 원숙한 소설들이 노출시키지 않는 그의 특수한 환상들과 집념들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사실상 이 작품에는 이미 하근찬의 대표작 <야호(夜壺)>의특징을 이루는 주제들이 다 내포되어 있다.
2. <수난 이대> - 국토분단의 상징
<수난 이대>는 일제 때 징용 나갔다가 다이너마이트 사고로 팔 한쪽을 잃은 아버지가 6.25 사변에 입대한 아들의 귀환 통지를 받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한쪽밖에 없는 손에 고등어 한 마리를 사들고 마중나간 아버지 앞에 나타난 아들의 모습은 한쪽 다리가 잘려나간 모습이다. 이 부자의 잘려나감의 주제는 일제 치하의 수탈과 연이은 6.25로 파괴된 국토를 나타냄으로써 작가를 일관되게 사로잡았다. 그런 의미에서 지팡이를 짚고 기우뚱 기우뚱 앞서가는 아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느릿느릿 따라가는 팔뚝이 하나밖에 없는 아버지의 모습은 하근찬이 설정해놓은 매우 놀라운 묘사이다.
이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귀가하는 길에서 부자는 번갈아 가며 방뇨를 한다. 아들은 지팡이는 땅바닥에 던져놓고, 한쪽 손으로는 볼일을 보고있고, 한쪽 손으로는 나무둥치를 안고 있는 을씨년스러운 꼬락서니로, 그리고 아버지는 한쪽 손에 든 고등어를 입에 물고 볼일을 보려다가 아들이 그것을 받아들고 저만큼 떨어져 서서 지팡이를 모아쥐고 있는 가운데서 일을 마친다. 하근찬, \'수난이대\', 일신서적출판사, 1999.
김병익(金炳翼)은 하근찬에게 있어서 \"방뇨는 수난의 사건을 비극으로 이해하기보다 숙명적인 한으로 받아들여 그 한을 카타르시스하거나 생리적인 저항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전형적인 한국인적 형태\"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작품의 클라이막스는 외나무다리가 놓여 있는 시냇물에 이르러서이다. 둑에 퍼져 앉아서 바짓가랑이를 걷어 올리기 시작하는 아들에게 아버지는 자기 등에 업히라고 등을 내민다. 아들이 지팡이와 고등어를 각각 한손에 쥐고 아버지의 등에 업힌 채로, 아버지는 용케 몸을 가누며 외나무다리를 조심조심 건너간다.
외나무다리에서 이 부자를 냇물로 떨어뜨릴까 아니면 무사히 건너게 할까를 놓고 무척 고심했다는 작가의 시점에서 우리는 굳이 낙관의 근거를 찾아낼 필요는 없다. 징용과 상이용사라는 주제는 이 작가가 데뷔작 이후로도 계속 밀고나간 주제이기 때문이다.
Ⅷ. 소설가(소설작가) 황석영
『장길산』의 작가 황석영씨는 1944년에 태어나 동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1962년에 <사상계> 신인상을 수상했고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문단에 나왔다.
이후 황석영씨는 창작집 『객지』『삼포 가는 길』『돼지꿈』,장편소설 『어둠의 자식들』『무기의 그늘』 등을 발표하며 가장 주목받는 작가 중의 한사람으로 꼽혀 왔다.
그리고 그는 74년 7월부터 84년 8월까지 17세기 말 숙종시대의 의적을 그린 대하소설 『장길산』을 한국일보에 연재하며 대하소설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황석영씨는 최근 『장길산』을 새로 손질해서 펴냈는데 초판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고 수백 군데를 첨삭했으며 고증이 잘못된 곳은 국문학자 최원식 교수의 자문을 받아 바로잡는 등 심혈을 기울여 개정을 했다고 한다.
1943년 만주 신경 출생
해방후 평양을 거처 6.25전쟁후 영등포에 정착
청소년 시기: 소위 불량소년으로 가출후 통도사에서 불자(불하행자)수행, 어머니덕에 귀가.
1962년 고등학교 3학년 때 ‘사상계’신인문학상에 단편 “立石附近(입석부근)”입선.
1966-67년 해병대원(청룡부대)으로 베트남전쟁 참전, 제대.
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塔”,희곡 작품이동시 당선.
1974년 첫 소설집 “객지”간행, “장길산”연재 시작
1976년-85년 해남, 광주로 이주, 민주화운동 전개. 소설집 “歌客”(1978),희곡집“장산곶매”(1980),광주민중항쟁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1985),장편소설“장길산”(1976-84), “무기의 그늘”(1985,88)간행.
이대앞에 양장점 경영, 금호동에 분식센터 개업. 계산대에서 계산을 볼 정도, 때려치움.
간척공사장에서 수개월동안 밑바닥 인생 경험, 구로공단에서 일당 130원짜리 직공‘시다’노릇, 마산 자유수출공단에서 노동. --> 이때의 경험들이 소설 “객지”나 “잃어버린 순이”등의 여러 편의 르포지로 나타남.
1989년 3월 평양 방문, 이후 독일 예술원 초청작가로 독일 체류. “무기의 그늘”로 제4회 만해 문학상 수상.
1990년 한겨레신문에 장편소설 “흐르지 않는 강”연재.
1991년 11월 미국으로 이주, 롱 아일랜드 대학의 예술가 교환프로그램으로 초청받아 뉴욕 체류.
1993년 4월 귀국, 방북사건으로 7년형 받음. 북한방문기 “사람이 살고 있었네”출간.
참고문헌
▷ 김종건(2002), 조벽암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 우리말글학회
▷ 김동혁(2011), 도가적 사유로 본 김유정 소설의 세계인식, 단국대학교
▷ 김주란(2011), 김동인의 초기 단편 소설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 문정숙(2011), 손창섭 소설 연구 : 1950년대 단편에 나타난 궁핍의 양상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 유범진(2008), 하근찬 소설 연구, 단국대학교
▷ 한승옥(2004), 이광수 소설 공간에 투영된 작가의식 연구, 한중인문학회
일제치하와 6.25를 동시적 관점으로 파악하려는 하근찬의 시도는 이미 그의 데뷔작 <수난 이대 (受難 二代)>에서부터 예고된 것이다. 팔이 하나 없거나, 다리가 하나 없거나, 혹은 아면 같은 곳이 형편없이 뭉개져버린 그런 상이군인들이 둘 또는 셋씩 패를 지어 다니며 물품을 강매하거나, 혹은 손대신 갈고리가 박힌 의수로 협박하듯 물건을 불쑥 내미는, 50년대의 그 흔해 빠진 삼등 열차 속에서의 체험과 우연히 읽은 어느 유명인사의 구라파 여행 기행문이 과장되어 이 작품이 탄생했다고 작가는 훗날 밝히고 있다. 이런 식으로 탄생한 <수난 이대>는 꼼꼼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은 주제가 툭툭 불거져 나오는 미숙함을 드러내긴 해도, 나중의 하근찬의 원숙한 소설들이 노출시키지 않는 그의 특수한 환상들과 집념들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사실상 이 작품에는 이미 하근찬의 대표작 <야호(夜壺)>의특징을 이루는 주제들이 다 내포되어 있다.
2. <수난 이대> - 국토분단의 상징
<수난 이대>는 일제 때 징용 나갔다가 다이너마이트 사고로 팔 한쪽을 잃은 아버지가 6.25 사변에 입대한 아들의 귀환 통지를 받는 것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한쪽밖에 없는 손에 고등어 한 마리를 사들고 마중나간 아버지 앞에 나타난 아들의 모습은 한쪽 다리가 잘려나간 모습이다. 이 부자의 잘려나감의 주제는 일제 치하의 수탈과 연이은 6.25로 파괴된 국토를 나타냄으로써 작가를 일관되게 사로잡았다. 그런 의미에서 지팡이를 짚고 기우뚱 기우뚱 앞서가는 아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느릿느릿 따라가는 팔뚝이 하나밖에 없는 아버지의 모습은 하근찬이 설정해놓은 매우 놀라운 묘사이다.
이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귀가하는 길에서 부자는 번갈아 가며 방뇨를 한다. 아들은 지팡이는 땅바닥에 던져놓고, 한쪽 손으로는 볼일을 보고있고, 한쪽 손으로는 나무둥치를 안고 있는 을씨년스러운 꼬락서니로, 그리고 아버지는 한쪽 손에 든 고등어를 입에 물고 볼일을 보려다가 아들이 그것을 받아들고 저만큼 떨어져 서서 지팡이를 모아쥐고 있는 가운데서 일을 마친다. 하근찬, \'수난이대\', 일신서적출판사, 1999.
김병익(金炳翼)은 하근찬에게 있어서 \"방뇨는 수난의 사건을 비극으로 이해하기보다 숙명적인 한으로 받아들여 그 한을 카타르시스하거나 생리적인 저항으로 사용하는 하나의 전형적인 한국인적 형태\"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작품의 클라이막스는 외나무다리가 놓여 있는 시냇물에 이르러서이다. 둑에 퍼져 앉아서 바짓가랑이를 걷어 올리기 시작하는 아들에게 아버지는 자기 등에 업히라고 등을 내민다. 아들이 지팡이와 고등어를 각각 한손에 쥐고 아버지의 등에 업힌 채로, 아버지는 용케 몸을 가누며 외나무다리를 조심조심 건너간다.
외나무다리에서 이 부자를 냇물로 떨어뜨릴까 아니면 무사히 건너게 할까를 놓고 무척 고심했다는 작가의 시점에서 우리는 굳이 낙관의 근거를 찾아낼 필요는 없다. 징용과 상이용사라는 주제는 이 작가가 데뷔작 이후로도 계속 밀고나간 주제이기 때문이다.
Ⅷ. 소설가(소설작가) 황석영
『장길산』의 작가 황석영씨는 1944년에 태어나 동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1962년에 <사상계> 신인상을 수상했고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문단에 나왔다.
이후 황석영씨는 창작집 『객지』『삼포 가는 길』『돼지꿈』,장편소설 『어둠의 자식들』『무기의 그늘』 등을 발표하며 가장 주목받는 작가 중의 한사람으로 꼽혀 왔다.
그리고 그는 74년 7월부터 84년 8월까지 17세기 말 숙종시대의 의적을 그린 대하소설 『장길산』을 한국일보에 연재하며 대하소설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황석영씨는 최근 『장길산』을 새로 손질해서 펴냈는데 초판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고 수백 군데를 첨삭했으며 고증이 잘못된 곳은 국문학자 최원식 교수의 자문을 받아 바로잡는 등 심혈을 기울여 개정을 했다고 한다.
1943년 만주 신경 출생
해방후 평양을 거처 6.25전쟁후 영등포에 정착
청소년 시기: 소위 불량소년으로 가출후 통도사에서 불자(불하행자)수행, 어머니덕에 귀가.
1962년 고등학교 3학년 때 ‘사상계’신인문학상에 단편 “立石附近(입석부근)”입선.
1966-67년 해병대원(청룡부대)으로 베트남전쟁 참전, 제대.
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塔”,희곡 작품이동시 당선.
1974년 첫 소설집 “객지”간행, “장길산”연재 시작
1976년-85년 해남, 광주로 이주, 민주화운동 전개. 소설집 “歌客”(1978),희곡집“장산곶매”(1980),광주민중항쟁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1985),장편소설“장길산”(1976-84), “무기의 그늘”(1985,88)간행.
이대앞에 양장점 경영, 금호동에 분식센터 개업. 계산대에서 계산을 볼 정도, 때려치움.
간척공사장에서 수개월동안 밑바닥 인생 경험, 구로공단에서 일당 130원짜리 직공‘시다’노릇, 마산 자유수출공단에서 노동. --> 이때의 경험들이 소설 “객지”나 “잃어버린 순이”등의 여러 편의 르포지로 나타남.
1989년 3월 평양 방문, 이후 독일 예술원 초청작가로 독일 체류. “무기의 그늘”로 제4회 만해 문학상 수상.
1990년 한겨레신문에 장편소설 “흐르지 않는 강”연재.
1991년 11월 미국으로 이주, 롱 아일랜드 대학의 예술가 교환프로그램으로 초청받아 뉴욕 체류.
1993년 4월 귀국, 방북사건으로 7년형 받음. 북한방문기 “사람이 살고 있었네”출간.
참고문헌
▷ 김종건(2002), 조벽암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 우리말글학회
▷ 김동혁(2011), 도가적 사유로 본 김유정 소설의 세계인식, 단국대학교
▷ 김주란(2011), 김동인의 초기 단편 소설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 문정숙(2011), 손창섭 소설 연구 : 1950년대 단편에 나타난 궁핍의 양상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 유범진(2008), 하근찬 소설 연구, 단국대학교
▷ 한승옥(2004), 이광수 소설 공간에 투영된 작가의식 연구, 한중인문학회
추천자료
- 소설가 “김진명”에 대하여
- 모던보이 박태원- 소설가 구보와 작가 구보
- 소설가 나도향 ― 작가연보, 작가생애, 작품목록, 작품줄거리
- [시 그날이 오면][심훈(시인)]심훈(시인, 소설가) 시 그날이 오면의 원문, 심훈(시인, 소설가...
- [시 거울][이상(시인, 소설가)][작품분석][작품해석]이상(시인, 소설가) 시 거울의 의미, 이...
- [소설가][이름가르트 코인]소설가 이름가르트 코인, 소설가 알프레드 되블린, 소설가 엘프리...
- [일본소설작가, 일본소설가]일본소설작가(일본소설가) 후타바테이 시메이, 일본소설작가(일본...
- 소설작가(소설가) 박경리, 소설작가(소설가) 김동리, 소설작가(소설가) 김동인, 소설작가(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