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악교정수술과 출혈조절
Ⅲ. 악교정수술과 혈액손실
Ⅳ. 악교정수술과 저혈압마취
1. Volatile anesthetics ; Halothane, Enflurane, Isoflurane
2. Direct acting vasodilating drugs ; Sodium nitroprusside, Nitroglycerine, Hydralazine, Purine derivatives
3. Autonomic ganglion-blocking drugs ; Trimethapan(TMP)
4. α-adrenergic receptor blocking drugs ; Phentolamine, urapidil
Ⅴ. 악교정수술과 튜브삽관
참고문헌
Ⅱ. 악교정수술과 출혈조절
Ⅲ. 악교정수술과 혈액손실
Ⅳ. 악교정수술과 저혈압마취
1. Volatile anesthetics ; Halothane, Enflurane, Isoflurane
2. Direct acting vasodilating drugs ; Sodium nitroprusside, Nitroglycerine, Hydralazine, Purine derivatives
3. Autonomic ganglion-blocking drugs ; Trimethapan(TMP)
4. α-adrenergic receptor blocking drugs ; Phentolamine, urapidil
Ⅴ. 악교정수술과 튜브삽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겸자와 후두경(direct laryngoscopy)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 굴곡성 후두경(fiber-optic laryngoscopy)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기관내 삽관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신마취를 유도시킨 후에는 경비 기관 튜브의 flexible extension이 환자의 이마 위로 단단히 고정되어 breathing circuit이 환자의 머리 뒤쪽으로 내려가게 해야한다. 테이프를 확고하게 붙여서 튜브가 뒤로 밀리거나 환자 머리 끝에서 어시스트하는 외과의에 의해 코끝이 눌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술 중에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흔한 문제점은 머리끝에서 어시스트하는 외과의에 의해서 기관내 삽관 튜브 연결이 끊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취과의사는 외과의에게 머리끝을 넘겨주기 전까지 연결이 견고한지 확실하게 해야한다. 기관내 튜브는 bur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잘리거나 구멍이 뚫려 튜브의 leakage가 생길 수 있다. leakage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술이 계속될 수 있지만 때때로 심각할 경우에는 수술을 중단시키고 튜브를 교체해야한다. 튜브의 변위(Displacement)는 흔하지 않지만, 튜브가 carina 근처에 있을 때는 생길 수도 있다. 튜브는 폐로 들어갈 수도 있으며, 그렇게 되면 팽창압을 상승시키고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리고, end tidal CO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술을 멈추고 튜브를 재위치시켜야 한다. 만약 Cuff의 팽창이 고르지 못하면, 튜브는 한쪽방향으로 휠 수 있다. 아산화질소가 커프 속으로 확산해 들어감에 따라 정도는 심해진다. 게다가, 머리끝에서 어시스트하는 외과의가 튜브를 밀면 튜브의 끝이 기관 점막에 박혀 환기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튜브의 끝이 flap valve처럼 작용하여 팽창압은 매우 높아지고 결국 환기는 멈추게 된다. 이 경우에도 수술을 즉각 멈추고 튜브를 재위치시켜야 한다.
참고문헌
◇ 김태열, 악교정 수술과 심미성, 인제대학교, 2003
◇ 선우진 외 2명, 성인의 설측교정치료증례 : 악교정 수술, 대한치과의사협회, 1999
◇ 우형석 외 1명, 악교정 수술의 최신 경향, 의치학사, 2010
◇ 이기호, 악교정수술환자의 만족도 및 심리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경북대학교, 1999
◇ 윤영주, 악교정수술에서 교정치료의 역할, 대한치과의사협회, 1999
◇ 태기출, 악교정 수술 환자의 수술 전·후 교정 치료, 대한치과의사협회, 2007
기관내 삽관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신마취를 유도시킨 후에는 경비 기관 튜브의 flexible extension이 환자의 이마 위로 단단히 고정되어 breathing circuit이 환자의 머리 뒤쪽으로 내려가게 해야한다. 테이프를 확고하게 붙여서 튜브가 뒤로 밀리거나 환자 머리 끝에서 어시스트하는 외과의에 의해 코끝이 눌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술 중에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흔한 문제점은 머리끝에서 어시스트하는 외과의에 의해서 기관내 삽관 튜브 연결이 끊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취과의사는 외과의에게 머리끝을 넘겨주기 전까지 연결이 견고한지 확실하게 해야한다. 기관내 튜브는 bur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잘리거나 구멍이 뚫려 튜브의 leakage가 생길 수 있다. leakage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술이 계속될 수 있지만 때때로 심각할 경우에는 수술을 중단시키고 튜브를 교체해야한다. 튜브의 변위(Displacement)는 흔하지 않지만, 튜브가 carina 근처에 있을 때는 생길 수도 있다. 튜브는 폐로 들어갈 수도 있으며, 그렇게 되면 팽창압을 상승시키고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리고, end tidal CO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술을 멈추고 튜브를 재위치시켜야 한다. 만약 Cuff의 팽창이 고르지 못하면, 튜브는 한쪽방향으로 휠 수 있다. 아산화질소가 커프 속으로 확산해 들어감에 따라 정도는 심해진다. 게다가, 머리끝에서 어시스트하는 외과의가 튜브를 밀면 튜브의 끝이 기관 점막에 박혀 환기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튜브의 끝이 flap valve처럼 작용하여 팽창압은 매우 높아지고 결국 환기는 멈추게 된다. 이 경우에도 수술을 즉각 멈추고 튜브를 재위치시켜야 한다.
참고문헌
◇ 김태열, 악교정 수술과 심미성, 인제대학교, 2003
◇ 선우진 외 2명, 성인의 설측교정치료증례 : 악교정 수술, 대한치과의사협회, 1999
◇ 우형석 외 1명, 악교정 수술의 최신 경향, 의치학사, 2010
◇ 이기호, 악교정수술환자의 만족도 및 심리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경북대학교, 1999
◇ 윤영주, 악교정수술에서 교정치료의 역할, 대한치과의사협회, 1999
◇ 태기출, 악교정 수술 환자의 수술 전·후 교정 치료, 대한치과의사협회,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