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규칙, 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운규칙, 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종속복합어]음운규칙과 경음화,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음운규칙과 경음화
1. 경음화 현상으로 본 견해
2. 사이시옷 첨가로 본 견해
1) 사이시옷의 역할
2) 복합명사의 사이시옷 연구와 문제점

Ⅲ. 음운규칙과 모음조화

Ⅳ. 음운규칙과 종속복합어
1. exploitation of informational resources
2. guaranteeing interpretability
3. denoting a relevant category

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술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만들어 낸 복합어는 기술의 정도를 가진 것이 될 것이고, 어떤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를 목적으로 삼은 문장이었다면 생성된 복합어는 분류의 기능을 가진 복합어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화자의 경험에 비추어 그 문맥 내의 해석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복합어를 부류로 나누는 일은 문맥에 따라, 화자의 경험에 따라 어떤 부류로도 지정될 수 있는 것이다. Downing(1977: 839)은 가능한 친척관계 복합어의 類는 정지된 것이 아니라, 문맥마다 변화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Ⅴ. 음운규칙과 움라우트
움라우트는 오랜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음운현상 중의 하나다. 이 음운현상을 모음체계와 유기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으로부터 개재자음의 제약조건, 예외의 문제, 지리적 확산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연구된 바 있다.
현대의 전남북경남 등 남부방언권 노년층 화자들에게서는 이 음운현상이 활발하게 나타나지만, 중부방언권의 경기도에서는 형태소 내부에서만 이 현상을 볼 수 있을 뿐이다. 金完鎭(1975)의 지적처럼 南濃北稀의 양상을 띤다. 한편 일제시기에 조사된 북한지역의 방언 자료를 보면 함경방언과 육진방언에서 움라우트 현상은 매우 왕성하게 전개되었다. 다만, 황해평안 방언은 주로 형태소 내부에서 이 현상을 볼 수 있을 따름이다. 지리적으로 보면, 앞서 본 구개음화와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띤다.
움라우트 현상은 일반적으로 개재자음이 ‘ㄱ, ㄲ, ㅇ, ㅋ, ㅂ, ㅃ, ㅁ, ㅍ’과 같은 변자음이어야 한다는 제약조건을 필요로 하지만, 여기에는 많은 예외들이 존재한다. 특히 북부방언에서 그러한 예외들이 다수 발견된다. 예) 데디다(던지다), 죄리~줴리(조리), 돼선(조선), 왠셩~왠성(穩城) 등. 崔明玉(1989)는 이에 대해서, “調音時에 i나 j앞에서 [αhigh, αback]의 자질”을 가져야만 움라우트의 실현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한편, 崔銓承(1989)에서는 개재자음이 변자음이 아닌 경우에도 움라우트가 실현된 위와 같은 예들에 대해서, 움라우트 규칙이 초기에는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이 규칙이 발달하고 전파되면서 제약 조건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이 음운규칙은 전파 과정에서 점차 적용 영역이 축소되었다고 하였다. 이에 의하면 이 규칙은 북부와 남부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하여 각각 중부방언권으로 확장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小倉進平(1917)이, 움라우트 현상은 강원도 철원에서는 비생산적이지만 그 이북 지역에서는 생산적이라고 언급한 점이다. 이는 움라우트 규칙이 북부와 남부에서 각각 발생하여 중부 쪽으로 그 영향을 확장하였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황해강원 북부 지역에는 ‘나비’, ‘호미’ 따위와 같이 흔히 움라우트의 예외적 존재로 치부되는 예들이 움라우트를 겪었다. 이들이 움라우트를 겪게 된 원인은 규칙들의 적용순서나 규칙의 변화 문제를 검토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다른 방언권에서 움라우트를 겪지 않은 것은 통시적으로 볼 때, 움라우트 규칙이 ‘ㅢ>ㅣ’ 단모음화 규칙보다 먼저 발생했기 때문일 것이다. 움라우트 규칙이 먼저 적용되었기 때문에 이 규칙이 空轉한 것이다. 따라서 공시적으로 ‘나비’가 움라우트를 겪지 않은 것은 현재의 움라우트 규칙이 형태소 경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황해강원 일부 지역에 ‘내비’, ‘회미’와 같은 움라우트형이 출현하는 것은 해당 지역에서 규칙의 적용 순서가 다른 방언권과는 달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즉 이 지역은 ‘ㅢ>ㅣ’ 규칙이 먼저 적용되고 이어 움라우트 규칙이 적용된 것이다. 이미 ‘나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