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글의 발달과 역사
1. 한글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중세전기국어>
<중세후기국어>
<근대 국어>
<현대국어>
2. 고대의 한글
자연스러운 한국말을 한자로 적은 본보기 - 임신서기석
3. 한글의 창제
① 한글의 기원
② 한글 만들기
4. 다른 나라 말과의 비교
5. 한글의 특수성
① 소리마디의 초성-중성-종성 삼분법 채택
② 모음조화 현상
③ 방점의 사용
6. 근대의 한글
<갑오경장>
<유길준의 서유견문>
<독립신문>
<한힌샘 주시경>
7. 한글의 미래
①컴퓨터 음성합성에 유리
② 음절모아쓰기
③ 정보화시대 더욱 빛날 한글
8. 느낀 점
자료 출처
1. 한글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중세전기국어>
<중세후기국어>
<근대 국어>
<현대국어>
2. 고대의 한글
자연스러운 한국말을 한자로 적은 본보기 - 임신서기석
3. 한글의 창제
① 한글의 기원
② 한글 만들기
4. 다른 나라 말과의 비교
5. 한글의 특수성
① 소리마디의 초성-중성-종성 삼분법 채택
② 모음조화 현상
③ 방점의 사용
6. 근대의 한글
<갑오경장>
<유길준의 서유견문>
<독립신문>
<한힌샘 주시경>
7. 한글의 미래
①컴퓨터 음성합성에 유리
② 음절모아쓰기
③ 정보화시대 더욱 빛날 한글
8. 느낀 점
자료 출처
본문내용
한글의 발달과 역사
1. 한글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신라어는 원시 한어에서 이어져 온 말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상도 지방이 중심이 되어 발전하였다. 이렇게 통일된 언어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말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고려어에 이어진다. 신라시대의 기록은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것이기 때문에 본래의 모습을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며, 당시 표기 체계로는 임신서기석체, 이두, 구결, 향찰 등이 있다.
한자를 빌어 우리 말을 표기해야만 했던 다시 우리 민족은 자주적이며 민족적인 자각을 바탕으로 구결과 향찰과 이두라는 표기 체계를 정립시켰다. 이는 한(韓)ㆍ한(漢) 양 언어의 구조적 차이를 극복하려는 슬기로운 수단이었다.
당시 어휘상의 큰 물결은 한자어 수입에 따른 고유어의 개칭 및 폐용(버림)이었다. 이는 후대로 갈수록 심화되어 한자어는 귀화어로서 자리잡게 되고 우리의 관념 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또한 불결의 전래로 인한 한자의 불교 번역어는 향가 표기의 원류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한자어와 불교 용어의 급격한 확산이 있었다.
<중세전기국어>
중세국어시대는 훈민정음의 창제를 기점으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전기 중세국어시대의 국어자료는 주로 차자(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표기함)표기자료가 중심을 이룬다. 고려시대의 차자표기는 기본적으로 신라의 차자 표기 방법을 계승한 것으로 고려초기에는 이두, 구결은 물론 향찰의 표기법도 매우 성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중세후기국어>
조선 전기 국어는 조선의 건국에서 임진왜란까지 약 200년간의 국어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특히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우리 언어 생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 시기는 우리 문자를 활용한 국어 생활을 시작하여 국어를 정확하게 쓰려고 하는 데서 문법의식이 생기고 이를 통해 일정한 형태로 정리가 시작된다.
그리고 훈민정음에서 규정한 표음적 음소주의 표기(소리나는대로 쓰는 연철표기)는 대체로 지켜졌지만 월인천강지곡 등에서는 표의적 형태주의(뜻을 중심으로 하는 분철표기)표기를 하는 등 오늘날과 같은 문법의식을 보이기도 했다.
<근대 국어>
국어사에서 근대국어 시기는 일반적으로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를 말한다. 임진란의 뒤를 이어 시작된 이 시기는 병자호란 등의 전란을 거치고 동시에 외래 문물이 들어오는 때였으므로,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의 바람이 이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국어 연구에 중요한 한글 문헌이 어느 때보다도 많이 남아 있어 근대 국어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첫째, 표기법- 방점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둘째, 음운 - 문자 \'ㆁ, \'△\' 등이 사라지는 등 문자 체계에 변화가 생겼다.
셋째, 음운 -\'ㆍ\'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넷째, 음운현상
① 단어의 의미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예) 어엿브다(불쌍하다→예쁘다), 어리다(어리석다→나이가 적다), ...
② 중국어로부터의 차용(借用)이 여전히 활발하였으며, 서양으로부터의 차용어가 들 어오기 시작하였습니다.
③ \'ㅁ,ㅂ,ㅍ.ㅃ\' 등의 순음(脣音) 아래에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圓脣母音 化)가 일어났습니다.
(예) 블>불, 플>풀, 븟다>붓다, ...
④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걸쳐 구개음화가 일어났습니다.
(예) 딕희다> 직히다, 고디식>고지식,
1. 한글의 시대 구분
<고대 국어>
신라어는 원시 한어에서 이어져 온 말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상도 지방이 중심이 되어 발전하였다. 이렇게 통일된 언어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말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고려어에 이어진다. 신라시대의 기록은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것이기 때문에 본래의 모습을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며, 당시 표기 체계로는 임신서기석체, 이두, 구결, 향찰 등이 있다.
한자를 빌어 우리 말을 표기해야만 했던 다시 우리 민족은 자주적이며 민족적인 자각을 바탕으로 구결과 향찰과 이두라는 표기 체계를 정립시켰다. 이는 한(韓)ㆍ한(漢) 양 언어의 구조적 차이를 극복하려는 슬기로운 수단이었다.
당시 어휘상의 큰 물결은 한자어 수입에 따른 고유어의 개칭 및 폐용(버림)이었다. 이는 후대로 갈수록 심화되어 한자어는 귀화어로서 자리잡게 되고 우리의 관념 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또한 불결의 전래로 인한 한자의 불교 번역어는 향가 표기의 원류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한자어와 불교 용어의 급격한 확산이 있었다.
<중세전기국어>
중세국어시대는 훈민정음의 창제를 기점으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전기 중세국어시대의 국어자료는 주로 차자(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표기함)표기자료가 중심을 이룬다. 고려시대의 차자표기는 기본적으로 신라의 차자 표기 방법을 계승한 것으로 고려초기에는 이두, 구결은 물론 향찰의 표기법도 매우 성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중세후기국어>
조선 전기 국어는 조선의 건국에서 임진왜란까지 약 200년간의 국어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특히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우리 언어 생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 시기는 우리 문자를 활용한 국어 생활을 시작하여 국어를 정확하게 쓰려고 하는 데서 문법의식이 생기고 이를 통해 일정한 형태로 정리가 시작된다.
그리고 훈민정음에서 규정한 표음적 음소주의 표기(소리나는대로 쓰는 연철표기)는 대체로 지켜졌지만 월인천강지곡 등에서는 표의적 형태주의(뜻을 중심으로 하는 분철표기)표기를 하는 등 오늘날과 같은 문법의식을 보이기도 했다.
<근대 국어>
국어사에서 근대국어 시기는 일반적으로 17세기 초에서 19세기 말까지를 말한다. 임진란의 뒤를 이어 시작된 이 시기는 병자호란 등의 전란을 거치고 동시에 외래 문물이 들어오는 때였으므로,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의 바람이 이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국어 연구에 중요한 한글 문헌이 어느 때보다도 많이 남아 있어 근대 국어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첫째, 표기법- 방점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둘째, 음운 - 문자 \'ㆁ, \'△\' 등이 사라지는 등 문자 체계에 변화가 생겼다.
셋째, 음운 -\'ㆍ\'가 완전히 소실되었다.
넷째, 음운현상
① 단어의 의미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예) 어엿브다(불쌍하다→예쁘다), 어리다(어리석다→나이가 적다), ...
② 중국어로부터의 차용(借用)이 여전히 활발하였으며, 서양으로부터의 차용어가 들 어오기 시작하였습니다.
③ \'ㅁ,ㅂ,ㅍ.ㅃ\' 등의 순음(脣音) 아래에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圓脣母音 化)가 일어났습니다.
(예) 블>불, 플>풀, 븟다>붓다, ...
④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걸쳐 구개음화가 일어났습니다.
(예) 딕희다> 직히다, 고디식>고지식,
추천자료
컴퓨터의 역사 발달과정
인류 역사의 발달사
유아발달심리학의 역사와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
[스포츠]스포츠의 개념, 스포츠의 역사, 스포츠의 기능, 스포츠의 발달, 스포츠의 매료요인, ...
중국무협지의 발달과정과 역사
서양의 근현대 사회복지 역사
국내 버스 관광교통과 육상교통의 역사와 발달과정 및 특징과 종류, 발전방향, 문제점, 나아...
[스포츠심리학의 역사] 스포츠심리학의 발전과정(발달과정)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와 발달과정 (태동기, 자선조직화운동기, 지역사회보호 대두기, 지...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 - 가족생활주기의 개념과 의의, 가족생...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현대사회에 걸맞은 언어의 범위와 가치(언어의 현대적 정의)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역사에 대해 기술하고, 대표적인 아동미술교육가가 제시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