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Ⅲ.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Ⅳ.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Ⅴ.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경로
Ⅵ.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Ⅶ.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참고문헌
Ⅱ. 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Ⅲ.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Ⅳ.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Ⅴ.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경로
Ⅵ.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Ⅶ.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억제된다는 장염비브리오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선을 구입한 즉시 5℃이하의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절대 필요하다. 또한 장염비브리오는 소금이 없는 물에 약하기 때문에 수돗물로 잘 씻는 것도 비브리오 식중독 예방에 좋은 수단이 될 수도 있으며, 특히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용의 칼, 도마를 사용하거나 사용한 조리기구는 잘 씻고 뜨거운 물에 소독하도록 하여야 한다.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환자의 대변을 배양해서 장염비브리오균을 분리하면 확진된다. 자연 치유되므로 특별히 치료할 필요는 없다.
참고문헌
▷ 강승호(2003), 장염비브리오의 위해도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 김정완(2006), 인천·경기 해안지역의 장염비브리오균 모니터링, 인천대학교
▷ 박석기 외 6명(2002),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보건환경연구원
▷ 손창규 외 5명(2010), 경북지역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혈청학적 및 유전학적 연관성 분석, 보건환경연구원
▷ 식품의약품안전청(2007), 여름철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한국개발연구원
▷ 정윤태 외 9명(2002), 장염비브리오균의 용혈성 유전자 검색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보건환경연구원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환자의 대변을 배양해서 장염비브리오균을 분리하면 확진된다. 자연 치유되므로 특별히 치료할 필요는 없다.
참고문헌
▷ 강승호(2003), 장염비브리오의 위해도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 김정완(2006), 인천·경기 해안지역의 장염비브리오균 모니터링, 인천대학교
▷ 박석기 외 6명(2002),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보건환경연구원
▷ 손창규 외 5명(2010), 경북지역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혈청학적 및 유전학적 연관성 분석, 보건환경연구원
▷ 식품의약품안전청(2007), 여름철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한국개발연구원
▷ 정윤태 외 9명(2002), 장염비브리오균의 용혈성 유전자 검색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보건환경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효과적인 예방 관리를 위한 접근 방법
소아과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병원성대장균] 병원성대장균과 O157:H7 대장균에 관한 분석
대장균 O157
O157:H7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증
노로바이러스의 특성과 주의점
수인성 식품매개질환 장출혈성대장균과 콜레라,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와 장염비브리오...
보건소식지
한식,중식,양식,일식 조리기능사 자격증 총 요약정리
AGE(Acute gastroenteritis) 급성 위장염
2016년 2학기 식품위생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감염형과 독소형, 리스테리아균 등등)
소화기계 (급성 대장염) 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