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방송국(방송사)의 유형
1. 지역 방송국 중심의 전국 방송형(제1유형)
1) 수직적 소유 구조형
2) 독립적 소유 구조형
2. 지역 방송국 중심의 전국 방송형(제3유형)
1) 지역 상업 방송 제작사 모델의 특징
2) 독일의 ARD네트워크
3) 특징
Ⅲ. 방송국(방송사)의 서비스
Ⅳ. 방송국(방송사)의 프로듀서
Ⅴ. 방송국(방송사)의 월드컵중계방송
1. KBS
2. MBC
Ⅵ. 방송국(방송사)의 뉴미디어진출
참고문헌
Ⅱ. 방송국(방송사)의 유형
1. 지역 방송국 중심의 전국 방송형(제1유형)
1) 수직적 소유 구조형
2) 독립적 소유 구조형
2. 지역 방송국 중심의 전국 방송형(제3유형)
1) 지역 상업 방송 제작사 모델의 특징
2) 독일의 ARD네트워크
3) 특징
Ⅲ. 방송국(방송사)의 서비스
Ⅳ. 방송국(방송사)의 프로듀서
Ⅴ. 방송국(방송사)의 월드컵중계방송
1. KBS
2. MBC
Ⅵ. 방송국(방송사)의 뉴미디어진출
참고문헌
본문내용
SBS 데이터처리팀 부국장, 박광호(47) 대표는 SBS 콘텐츠운용부장, 이시권(53) 대표는 SBS 총무부장 출신이다. 다들 경영경력이 없거나 길지 않다. 당연히 우려섞인 시선이 뒤따른다. 그러나 방송사 조직관리 경험이 풍부하고 모조직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다는 점은 강점으로 평가받는다. 전문 CEO는 한국IBM 출신인 김춘상(50) 대표와 SK C&C 출신인 김영기 대표 정도다. iMBC는 김 대표가 왕영철 상무, 서태석 실장을 한국IBM에서, 김선진 실장을 SBSi에서 영입해 주요 임원진 모두를 외부에서 끌어온 점이 눈길을 끈다. 이렇게 키매니지먼트 두세 명과 수장이 함께 움직이는 것은 IBM 특유의 ‘캐비닛시스템’이다. 박찬근 대표와 더불어 윤석민(36) 대표로 공동경영 진용을 짠 SBSi의 시스템도 주목을 받는다. 윤 대표는 SBS 윤세영 회장의 맏아들로 하버드 MBA, 태영매니지먼트 사장, SBS 기획본부 이사, (주)태영 상무를 거친 전문경영인이다. 그는 장진호 재무이사(미국 와튼대학 경영학부 조교수 출신) 등 인재를 영입하고, 1천만달러의 외자를 유치해 기반을 쌓았다. SBS 기획본부 이사로 근무하던 시절에도 윤 대표는 뉴미디어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SBS 경영전략의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구제금융기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해 노조 반발을 사고 SBS에서 물러난 탓인지, 혹은 SBS 회장의 맏아들이란 핸디캡(?) 탓인지 여간해선 대외 업무에 얼굴을 내밀지 않는다. 현재는 박 대표가 조직운영과 국내 대외업무를 맡고 윤 대표는 해외사업, 재무를 맡아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이들은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미래 미디어산업의 총아로 굳게 믿고 있다. 머잖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될 공중파 방송은 물론 최근에 공개된 IS-95C 등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방송과 통신의 장점을 결합한 데이터 방송, 쌍방향TV 같은 디지털뉴미디어가 이들이 가진 ‘보물단지’, 즉 영상 콘텐츠의 가치를 퍼도퍼도 줄어들지 않는 ‘화수분’으로 바꾸어줄 것이라는 계산이다. 3사의 뉴미디어전략 기획가들은 회사의 정체성이 ‘멀티미디어 콘텐츠그룹’이라고 강조한다. KBS 지도에는 한 가지 존재가 더 등장한다. ‘관문’(Gateway) 권력의 존재다. 온라인 통신망과 오프라인 통신망으로 상거래, 개인서한 등 거의 모든 정보가 모이는 정보화시대에는 관문을 차지하는 사람이 권력을 쥔다. 최근 AOL의 행보에서도 그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AOL은 오프라인 콘텐츠의 제왕 타임워너를 껴안더니 무선인터넷의 강자NTT도코모에 AOL재팬 지분을 넘겨 한편을 만들었다. KBS가 한국통신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전략도 그와 다르지 않다. 지난해 크레지오를 띄우면서 시작된 두 거인의 허니문은 위성방송사업자 컨소시엄을 공동구성하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크레지오는 한국통신과의 약혼기간에 낳은 소산물이자 인터넷 매체를 경험해보기 위한 ‘실험케이스’인 셈이다. 방송 3사의 미디어 전략 배후에는 30대의 젊은 기자와 PD 그리고 정책연구자들로 꾸려진 싱크탱크가 있다. KBS의 밀레니엄기획단, MBC의 전략기획부, SBS의 회장비서실과 경영정책팀이 그것이다. 이들은 뉴미디어사업을 펼쳐나갈 실무조직의 탄생과 조직뿐 아니라 경영 전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다. 전략진은 주로 신속한 정보수집력과 방대한 자료분석력을 가진 인재들로 구성된다. 지난해 공중파방송과 케이블TV, 중계유선, 전광판방송 등 전 방송매체를 아우르는 통합방송법 제정과정에서 정부, 국회 쪽 정보를 수집하고 때로는 정책입안자들에게 정책방향을 조언했던 이들이 이 싱크탱크의 구성원들이다. 3사의 싱크탱크에는 기자와 PD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대부분 현직 기자와 PD들이 순환제로 발령받아 근무한다. 일부는 정부부처 취재와 전략기획 업무를 병행하기도 한다. 취재인력으로 구성된 전략진은 <조선일보> 등 일간신문사의 사장비서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일선 취재기자들이 매일 올리는 정보보고도 귀한 전략밑천이다.
참고문헌
박동준(2001), 월드컵 중계방송 어떻게 하나 : 2002 월드컵과 방송, 한국방송협회
이종민(2000), 다양성 부족, 아직은 걸음마 단계, 방송과 시청자 4월호
이종승(2007), 방송시장의 뉴미디어 도입에 따른 지역방송 전략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양호석(1971), 방송국 지도의 실제, 강원도교육청
임영호(2008), 방송 프로듀서와 기자의 커리어 경로 패턴과 규정요인,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협회(1997), 한국방송70년사
이들은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미래 미디어산업의 총아로 굳게 믿고 있다. 머잖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될 공중파 방송은 물론 최근에 공개된 IS-95C 등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방송과 통신의 장점을 결합한 데이터 방송, 쌍방향TV 같은 디지털뉴미디어가 이들이 가진 ‘보물단지’, 즉 영상 콘텐츠의 가치를 퍼도퍼도 줄어들지 않는 ‘화수분’으로 바꾸어줄 것이라는 계산이다. 3사의 뉴미디어전략 기획가들은 회사의 정체성이 ‘멀티미디어 콘텐츠그룹’이라고 강조한다. KBS 지도에는 한 가지 존재가 더 등장한다. ‘관문’(Gateway) 권력의 존재다. 온라인 통신망과 오프라인 통신망으로 상거래, 개인서한 등 거의 모든 정보가 모이는 정보화시대에는 관문을 차지하는 사람이 권력을 쥔다. 최근 AOL의 행보에서도 그 존재를 짐작할 수 있다. AOL은 오프라인 콘텐츠의 제왕 타임워너를 껴안더니 무선인터넷의 강자NTT도코모에 AOL재팬 지분을 넘겨 한편을 만들었다. KBS가 한국통신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전략도 그와 다르지 않다. 지난해 크레지오를 띄우면서 시작된 두 거인의 허니문은 위성방송사업자 컨소시엄을 공동구성하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크레지오는 한국통신과의 약혼기간에 낳은 소산물이자 인터넷 매체를 경험해보기 위한 ‘실험케이스’인 셈이다. 방송 3사의 미디어 전략 배후에는 30대의 젊은 기자와 PD 그리고 정책연구자들로 꾸려진 싱크탱크가 있다. KBS의 밀레니엄기획단, MBC의 전략기획부, SBS의 회장비서실과 경영정책팀이 그것이다. 이들은 뉴미디어사업을 펼쳐나갈 실무조직의 탄생과 조직뿐 아니라 경영 전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다. 전략진은 주로 신속한 정보수집력과 방대한 자료분석력을 가진 인재들로 구성된다. 지난해 공중파방송과 케이블TV, 중계유선, 전광판방송 등 전 방송매체를 아우르는 통합방송법 제정과정에서 정부, 국회 쪽 정보를 수집하고 때로는 정책입안자들에게 정책방향을 조언했던 이들이 이 싱크탱크의 구성원들이다. 3사의 싱크탱크에는 기자와 PD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 대부분 현직 기자와 PD들이 순환제로 발령받아 근무한다. 일부는 정부부처 취재와 전략기획 업무를 병행하기도 한다. 취재인력으로 구성된 전략진은 <조선일보> 등 일간신문사의 사장비서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일선 취재기자들이 매일 올리는 정보보고도 귀한 전략밑천이다.
참고문헌
박동준(2001), 월드컵 중계방송 어떻게 하나 : 2002 월드컵과 방송, 한국방송협회
이종민(2000), 다양성 부족, 아직은 걸음마 단계, 방송과 시청자 4월호
이종승(2007), 방송시장의 뉴미디어 도입에 따른 지역방송 전략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양호석(1971), 방송국 지도의 실제, 강원도교육청
임영호(2008), 방송 프로듀서와 기자의 커리어 경로 패턴과 규정요인,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협회(1997), 한국방송70년사
추천자료
영국 방송사에 관하여
한국,미국의 방송국 송출출력에 대해서
[프랑스연극과영화]오늘날의 프랑스의 텔레비전 방송사와 영화산업 사이의 관계
방송국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
[방송국, 방송사, 보도연성화, 애니메이션쿼터]방송국(방송사)의 보도연성화, 방송국(방송사)...
[방송사]방송사(방송국)의 경영목적, 방송사(방송국)의 규모, 방송사(방송국)의 온라인저널리...
[방송사(방송국), 스포츠뉴스, 카메라기자, 인터넷방송]방송사(방송국)의 스포츠뉴스, 방송사...
[지상파방송사(지상파방송국)]지상파방송사(지상파방송국)의 인적자원관리, 외주정책, 지상파...
[지상파방송사]지상파방송사(지상파방송국)의 개표방송, 사업다각화, 지상파방송사(지상파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