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신경계의 개념
Ⅲ. 신경계의 조직
1. 중추 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 CNS)
2. 뇌
3. 대뇌
1) 좌반구
2) 우반구
4. 소뇌
5. 중뇌
6. 간뇌
7. 연수
8. 척수
9.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 PNS)
10. 척수신경 : 척수에 출입하는 31쌍의 말초신경
11. 뇌신경 : 12개
12. 자율신경계통
1) 교감신경
2) 부교감신경
Ⅳ. 신경계의 기능
1. 감각기능(Sensory Function)
2. 통합기능(Integrative Function)
3. 운동기능(Motor Function)
Ⅴ. 신경계의 수술간호
1. Craniectomy(두개절제술)
2. Craniotomy(개두술)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Ⅵ. 신경계의 감염
1. 뇌농양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2. 경막하 축농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3. 척수 경막외 농양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Ⅶ. 결론
참고문헌
Ⅱ. 신경계의 개념
Ⅲ. 신경계의 조직
1. 중추 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 CNS)
2. 뇌
3. 대뇌
1) 좌반구
2) 우반구
4. 소뇌
5. 중뇌
6. 간뇌
7. 연수
8. 척수
9.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 PNS)
10. 척수신경 : 척수에 출입하는 31쌍의 말초신경
11. 뇌신경 : 12개
12. 자율신경계통
1) 교감신경
2) 부교감신경
Ⅳ. 신경계의 기능
1. 감각기능(Sensory Function)
2. 통합기능(Integrative Function)
3. 운동기능(Motor Function)
Ⅴ. 신경계의 수술간호
1. Craniectomy(두개절제술)
2. Craniotomy(개두술)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Ⅵ. 신경계의 감염
1. 뇌농양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2. 경막하 축농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3. 척수 경막외 농양
1) 원인
2) 증상
3) 검사 및 진단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타 비정상적 상태(탈수, 경련, 실어증, 시각/청각 장애)등을 사정하고, 수술 후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두 개강내압이 상승된 환자는 두 개강내압 감시장치를 통하여 이를 감시한다.
-환기기능에 장애가 있을 경우, 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PaO2 80mmHg, PaCO2 25-30mmHg가 유지되도록 한다.
-PaCO2 상승시, 두 개강내압이 상승하며, 20mmHg 이하시에는 뇌대사장애를 초래한다.
2) 환자와 환자의 가족이 표현하는 두려움에 대해 이해하고 격려한다.
-불안함과 공포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의문사항을 물을 수 있는 시간을 준다.
3)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게 치료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한다.
-설령 환자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모든 치료와 절차는 자세히 설명되어야 한다.
4) 수술 전 두피 준비
-수술 전날밤과 수술을 시행하는 날 아침에, 소독 샴푸로 머리를 감긴다.
-대부분의 경우 머리 삭발이 필요하며, 이럴 경우 수술실에서 시행하도록 한다.(임상에서는 ICU침상에서 행하여지기도 한다.)
5) 삭발후에 보호자가 원할 경우 깎여진 머리를 모아 줄 수도 있다.
6) 가족들은 수술 후 대상자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수술시간은 어느 정도 소요되는지, 수술동안 보호자는 어디에서 기다리는지, 수술 후 환자가 어디로 가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수술 후 두부드레싱과 상처 배액 또는 여러 기계들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려 준다.
-안면부종과 반상출혈이 있을 수 있고, 전신상태가 저하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2) 수술 후 간호
1)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
-운동능력, 지남력이나 명료성 수준, 동공검사를 포함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Glascow Coma Sclale이용
-수술 후 신경학적 사정은 자주 그리고 철저하게 해야 한다.
-언어상태는 2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다음 2시간동안은 30분마다, 그리고 안정될때까지 매시간 사정해야한다
-혈압과 수분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동맥압과 중심정맥압을 측정한다.
2) 절개부 간호
-두부 드레싱에서 나오는 배액의 양과 형태를 규칙적으로 살피고, 배액되는 양을 정확히 기록한다.
-노란색의 배액은 CSF누출을 의미하므로, 즉시 보고한다.
-드레싱이 편안한지 사정해야 하며 머리나 귀 또는 눈 위가 조여서는 안된다.
3) 두개내압의 하강을 증진
-수술 후 두개내압의 급격한 변화는 대개 출혈이나 심한 부종으로 인하여 초래되며, 상승된 압력을 조절하지 못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나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다.
-간호활동 사이에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둔다.
-기침과 구토를 피하도록 한다.
-필요시에만 흡인하고, 되도록 부드럽게 한다.
-침대 머리를 낮게 하지 않는다.
4) 안전
-환자를 진정시킬 다른 방법이 없거나, 환자보호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드러운 억제대를 사용한다.
-항상 침상난간을 올린다.
5) 전해질 균형
-소변 비중측정과 함께 I/O를 시간마다 정확히 측정하고, 혈당을 자주 검사한다.
-sodium, potassium, 삼투질농도, Hematocrit을
-의식이 있고, 장음이 들리면, 구토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가 돌아오는 즉시 구강섭취를 시작하도록 한다.
-섭취량이 하루 2000~2500ml 가 될 때까지 경구섭취를 보충하기 위해 정맥수액을 주입한다.
6) 안위증진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약물로, Codeine sulfate나 non-narcotic analgesic 이 투여될 수 있다.
-두통 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할 수 있다.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하지의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예방을 위해 탄력스타킹을 착용하도록 한다.
* 두개내 수술 대상자에게 시행하지 말아야 할 간호*
-의사의 지시없이 코를 통해 흡인하거나 머리를 낮게 해서는 안되며,
-불안한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억제대를 하지 않는다.
-수액을 공급하거나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할 경우 너무 빠르게 하지 말아야 한다.
-체온은 구강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대상자를 너무 깊이 진정시키거나,
-의사의 지시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마취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분변매복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거나 완화제의 사용 또는 관장을 해서는 안된다.
◎ Transsphenoidal approach: TSA(접형동을 통한 뇌하수체절제술)
전방 상위 잇몸이나 코를 통해 접형동으로 접근하여 수술한다. 뇌하수체 종양 수술시 사용된다.
수술후 비강 출혈조절을 위해 1-2일정도 코를 막는다.
코로 숨을 쉴 수 없으므로, 구강간호에 더욱 신경쓴다. 합병증이 거의 없다
◎ Stereotaxic radiosurgery(뇌정위적 방사선 수술)
출혈, 합병증이 없는 수술 방법
◎ Aneurysm(동맥류)의 수술
뇌동맥류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동맥류의 재파열을 막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치료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동맥류 경부를 동맥류클립으로 결찰하여, 정상적인 혈류를 유지하면서 동맥류를 체순환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동맥류 경부직접결찰(direct neck clipping)이다.
이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 포착(trapping), 근위동맥결찰(proximal clipping), 포장(wrapping)등이 실시된다.
Trapping-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결찰하여 동맥류를 체순환계로부터 완전 차단시키는 방법. 정사적인 혈류를 차단하는 관계고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동맥류의 경부가 넓거나 거대동맥류의 경우에서와 같이 경부 직접결찰이 곤란하며, 그 부위의 혈류를 차단하여도 원위부의 혈액공급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ximal clipping- 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만 결찰하여 동맥류에 가해지는 혈압을 낮추어서 동맥류파열의 가능성을 줄이고, 궁
-두 개강내압이 상승된 환자는 두 개강내압 감시장치를 통하여 이를 감시한다.
-환기기능에 장애가 있을 경우, 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PaO2 80mmHg, PaCO2 25-30mmHg가 유지되도록 한다.
-PaCO2 상승시, 두 개강내압이 상승하며, 20mmHg 이하시에는 뇌대사장애를 초래한다.
2) 환자와 환자의 가족이 표현하는 두려움에 대해 이해하고 격려한다.
-불안함과 공포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의문사항을 물을 수 있는 시간을 준다.
3)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게 치료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한다.
-설령 환자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모든 치료와 절차는 자세히 설명되어야 한다.
4) 수술 전 두피 준비
-수술 전날밤과 수술을 시행하는 날 아침에, 소독 샴푸로 머리를 감긴다.
-대부분의 경우 머리 삭발이 필요하며, 이럴 경우 수술실에서 시행하도록 한다.(임상에서는 ICU침상에서 행하여지기도 한다.)
5) 삭발후에 보호자가 원할 경우 깎여진 머리를 모아 줄 수도 있다.
6) 가족들은 수술 후 대상자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수술시간은 어느 정도 소요되는지, 수술동안 보호자는 어디에서 기다리는지, 수술 후 환자가 어디로 가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수술 후 두부드레싱과 상처 배액 또는 여러 기계들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려 준다.
-안면부종과 반상출혈이 있을 수 있고, 전신상태가 저하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2) 수술 후 간호
1)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
-운동능력, 지남력이나 명료성 수준, 동공검사를 포함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Glascow Coma Sclale이용
-수술 후 신경학적 사정은 자주 그리고 철저하게 해야 한다.
-언어상태는 2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다음 2시간동안은 30분마다, 그리고 안정될때까지 매시간 사정해야한다
-혈압과 수분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동맥압과 중심정맥압을 측정한다.
2) 절개부 간호
-두부 드레싱에서 나오는 배액의 양과 형태를 규칙적으로 살피고, 배액되는 양을 정확히 기록한다.
-노란색의 배액은 CSF누출을 의미하므로, 즉시 보고한다.
-드레싱이 편안한지 사정해야 하며 머리나 귀 또는 눈 위가 조여서는 안된다.
3) 두개내압의 하강을 증진
-수술 후 두개내압의 급격한 변화는 대개 출혈이나 심한 부종으로 인하여 초래되며, 상승된 압력을 조절하지 못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나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다.
-간호활동 사이에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둔다.
-기침과 구토를 피하도록 한다.
-필요시에만 흡인하고, 되도록 부드럽게 한다.
-침대 머리를 낮게 하지 않는다.
4) 안전
-환자를 진정시킬 다른 방법이 없거나, 환자보호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드러운 억제대를 사용한다.
-항상 침상난간을 올린다.
5) 전해질 균형
-소변 비중측정과 함께 I/O를 시간마다 정확히 측정하고, 혈당을 자주 검사한다.
-sodium, potassium, 삼투질농도, Hematocrit을
-의식이 있고, 장음이 들리면, 구토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가 돌아오는 즉시 구강섭취를 시작하도록 한다.
-섭취량이 하루 2000~2500ml 가 될 때까지 경구섭취를 보충하기 위해 정맥수액을 주입한다.
6) 안위증진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약물로, Codeine sulfate나 non-narcotic analgesic 이 투여될 수 있다.
-두통 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할 수 있다.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하지의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예방을 위해 탄력스타킹을 착용하도록 한다.
* 두개내 수술 대상자에게 시행하지 말아야 할 간호*
-의사의 지시없이 코를 통해 흡인하거나 머리를 낮게 해서는 안되며,
-불안한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억제대를 하지 않는다.
-수액을 공급하거나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할 경우 너무 빠르게 하지 말아야 한다.
-체온은 구강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대상자를 너무 깊이 진정시키거나,
-의사의 지시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마취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분변매복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거나 완화제의 사용 또는 관장을 해서는 안된다.
◎ Transsphenoidal approach: TSA(접형동을 통한 뇌하수체절제술)
전방 상위 잇몸이나 코를 통해 접형동으로 접근하여 수술한다. 뇌하수체 종양 수술시 사용된다.
수술후 비강 출혈조절을 위해 1-2일정도 코를 막는다.
코로 숨을 쉴 수 없으므로, 구강간호에 더욱 신경쓴다. 합병증이 거의 없다
◎ Stereotaxic radiosurgery(뇌정위적 방사선 수술)
출혈, 합병증이 없는 수술 방법
◎ Aneurysm(동맥류)의 수술
뇌동맥류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동맥류의 재파열을 막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치료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동맥류 경부를 동맥류클립으로 결찰하여, 정상적인 혈류를 유지하면서 동맥류를 체순환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동맥류 경부직접결찰(direct neck clipping)이다.
이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 포착(trapping), 근위동맥결찰(proximal clipping), 포장(wrapping)등이 실시된다.
Trapping-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결찰하여 동맥류를 체순환계로부터 완전 차단시키는 방법. 정사적인 혈류를 차단하는 관계고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동맥류의 경부가 넓거나 거대동맥류의 경우에서와 같이 경부 직접결찰이 곤란하며, 그 부위의 혈류를 차단하여도 원위부의 혈액공급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ximal clipping- 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만 결찰하여 동맥류에 가해지는 혈압을 낮추어서 동맥류파열의 가능성을 줄이고, 궁
추천자료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PTCA)수술 간호
[장루][장루수술][장루수술 환자 간호][장루 정의][장루 유형][장루수술 전후 간호법][장루수...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성형외과 환자의 수술 전후간호
수술실 관련 보고서. 마취제. 봉합사. 안전간호, 스크럽, 소독
흉부외과 케이스) artery rupture 봉합술 (neurorrhaphy, myorrhaphy, tenorrhaphy), 수술 간호
흉곽 수술 간호
백내장 원인과 종류, 수술후 간호
성인간호학 - 갑상선암(Thyroid cancer) 사례 조사 보고서( 원인, 증상, 진단, 병기, 갑상선...
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와 회복기 간...
마취간호(수술전투약, 마취의종류, 마취의 합병증, 수술실에서의 응급사태, 회복실 간호)
수술 후 간호 (회복실)1. 마취 회복기 간호 1) 마취 회복기 간호 단계 2) 간호 3) 마취 합병...
눈 장애 대상자의 공통간호(1. 일반적 간호문제 2.시력의 보존 3. 눈 질환자 간호시 주의사항...
백내장 (1.원인과 병태생리 2.백내장의 진행 단계 3.증상 4.백내장 수술 5.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