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술과 기술네트워크
1. 결합 정도에 의한 분류
2. 분업 형태에 의한 분류
3. 제휴기업간 역학관계에 따른 분류
4. 잠재파트너간의 참여정도에 의한 연구
1) 유형 1(island)
2) 유형 2(manufacturer)
3) 유형 3(visionary)
4) 유형 4(competence acquirer)
5) 유형 5(spider)
Ⅱ. 기술과 기술변화
1. 점증적 기술혁신
2. 급진적 기술혁신
3. 공유성 기술 또는 “신기술체계”
4. 파급효과가 큰 공유성 기술
Ⅲ. 기술과 기술인력양성
1. 인력양성기관을 통한 공급
2. 연구활동 지원을 통한 양성
3. 과학기술인력 취업실태
4. 박사급 인력의 활용실태
5. 미취업․실직 고급과학기술인력 활용사업
6. 여성인력의 활용실태
7. 해외과학기술인력활용실태
Ⅳ. 기술과 기술개발
1. 요소기술로서의 복합재료 기술
2. 동시공학 시스템 구현과 전산 표준화
3. 복합재료 부품산업 및 소형 완제기 산업
Ⅴ. 기술과 기술혁신
Ⅵ. 기술과 기술협력
1. 시기별 특징
2. 정부간 협정체결 현황
3. 주요 국별 협력의 특징
Ⅶ. 기술과 기술정책
Ⅷ. 기술과 기술이전
Ⅸ. 기술과 기술담보
1. 정책자금 현황
1) 정부 및 유관기관 출연금(27여개 부문 출연자금)
2) 정부시책지원자금(융자금) 등(120여개의 자금)
3) 지방자치단체의 중소기업지원(22여개 지원자금)
2. 기술담보 신용대출제도
1) 과학기술진흥기금(기술담보대출)
2) 기술우대보증
3) 기술평가 보증
4) 기술담보사업 자금대출
5) 기술개발자금융자
6) 특허권 담보부 신용대출자금
7) 기술자금
8) 소프트웨어 공제사업기금
9) 신기술창업보육사업(TBI)
참고문헌
1. 결합 정도에 의한 분류
2. 분업 형태에 의한 분류
3. 제휴기업간 역학관계에 따른 분류
4. 잠재파트너간의 참여정도에 의한 연구
1) 유형 1(island)
2) 유형 2(manufacturer)
3) 유형 3(visionary)
4) 유형 4(competence acquirer)
5) 유형 5(spider)
Ⅱ. 기술과 기술변화
1. 점증적 기술혁신
2. 급진적 기술혁신
3. 공유성 기술 또는 “신기술체계”
4. 파급효과가 큰 공유성 기술
Ⅲ. 기술과 기술인력양성
1. 인력양성기관을 통한 공급
2. 연구활동 지원을 통한 양성
3. 과학기술인력 취업실태
4. 박사급 인력의 활용실태
5. 미취업․실직 고급과학기술인력 활용사업
6. 여성인력의 활용실태
7. 해외과학기술인력활용실태
Ⅳ. 기술과 기술개발
1. 요소기술로서의 복합재료 기술
2. 동시공학 시스템 구현과 전산 표준화
3. 복합재료 부품산업 및 소형 완제기 산업
Ⅴ. 기술과 기술혁신
Ⅵ. 기술과 기술협력
1. 시기별 특징
2. 정부간 협정체결 현황
3. 주요 국별 협력의 특징
Ⅶ. 기술과 기술정책
Ⅷ. 기술과 기술이전
Ⅸ. 기술과 기술담보
1. 정책자금 현황
1) 정부 및 유관기관 출연금(27여개 부문 출연자금)
2) 정부시책지원자금(융자금) 등(120여개의 자금)
3) 지방자치단체의 중소기업지원(22여개 지원자금)
2. 기술담보 신용대출제도
1) 과학기술진흥기금(기술담보대출)
2) 기술우대보증
3) 기술평가 보증
4) 기술담보사업 자금대출
5) 기술개발자금융자
6) 특허권 담보부 신용대출자금
7) 기술자금
8) 소프트웨어 공제사업기금
9) 신기술창업보육사업(TBI)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술과 기술네트워크, 기술과 기술변화, 기술과 기술인력양성, 기술과 기술개발, 기술과 기술혁신, 기술과 기술협력, 기술과 기술정책, 기술과 기술이전, 기술과 기술담보 분석
Ⅰ. 기술과 기술네트워크
1. 결합 정도에 의한 분류
2. 분업 형태에 의한 분류
3. 제휴기업간 역학관계에 따른 분류
4. 잠재파트너간의 참여정도에 의한 연구
1) 유형 1(island)
2) 유형 2(manufacturer)
3) 유형 3(visionary)
4) 유형 4(competence acquirer)
5) 유형 5(spider)
Ⅱ. 기술과 기술변화
1. 점증적 기술혁신
2. 급진적 기술혁신
3. 공유성 기술 또는 “신기술체계”
4. 파급효과가 큰 공유성 기술
Ⅲ. 기술과 기술인력양성
1. 인력양성기관을 통한 공급
2. 연구활동 지원을 통한 양성
3. 과학기술인력 취업실태
4. 박사급 인력의 활용실태
5. 미취업실직 고급과학기술인력 활용사업
6. 여성인력의 활용실태
7. 해외과학기술인력활용실태
Ⅳ. 기술과 기술개발
1. 요소기술로서의 복합재료 기술
2. 동시공학 시스템 구현과 전산 표준화
3. 복합재료 부품산업 및 소형 완제기 산업
Ⅴ. 기술과 기술혁신
Ⅵ. 기술과 기술협력
1. 시기별 특징
2. 정부간 협정체결 현황
3. 주요 국별 협력의 특징
Ⅶ. 기술과 기술정책
Ⅷ. 기술과 기술이전
Ⅸ. 기술과 기술담보
1. 정책자금 현황
1) 정부 및 유관기관 출연금(27여개 부문 출연자금)
2) 정부시책지원자금(융자금) 등(120여개의 자금)
3) 지방자치단체의 중소기업지원(22여개 지원자금)
2. 기술담보 신용대출제도
1) 과학기술진흥기금(기술담보대출)
2) 기술우대보증
3) 기술평가 보증
4) 기술담보사업 자금대출
5) 기술개발자금융자
6) 특허권 담보부 신용대출자금
7) 기술자금
8) 소프트웨어 공제사업기금
9) 신기술창업보육사업(TBI)
참고문헌
Ⅰ. 기술과 기술네트워크
기술네트워크는 많은 기업들이 기술적인 혹은 전략적인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자기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원의 부족은 보완하려는(Chan and Heide, 199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다른 기업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부족한 자원의 임계치(Critical Mass)를 확보하려는 데 기인한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 견해이다. 기술적인 자원은 다른 자원과 달라 이러한 임계치를 달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시간 압축의 비경제성이 존재하는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은 단기간에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자원의 확보는 일반적으로 개방된 시장을 통한 교환이나 네트워크에 의한 제휴적인 형태를 띄게된다. 그러므로 어느 기업이나 외부조직이 혁신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이러한 조직과의 제휴를 모색하는 네트워크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기술네트워크의 유형은 네트워크의 결합 정도와 분업의 역학관계 등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1. 결합 정도에 의한 분류
제휴기업 사이에 존재하는 결합도를 기준으로 전략적 제휴를 분류하면 먼저 이탈이 용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형태로서 생산 협력과 상호 라이센싱(crossing licensing)이 있고 지속적인 거래/ 준 정규적인 결합형으로서 표준제정을 위한 협력, 공동개발 등이 있으며 이탈 곤란/ 조직 결합형으로서 합작, 생산/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와 인수합병(M&A)등이 있다(정 종식, 1997).
2. 분업 형태에 의한 분류
분업 형태에 따른 분류는 제휴업체 사이에 맺고 있는 분업의 특성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수평 분업형, 수직 분업형, 관련 사업다각화형, 국책, 민간 연합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평 분업형은 보완형과 위험 분산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완형은 선발 기업간의 약한 부문에 대등하게 보완을 하는 것을, 위험 분산형은 선발 기업 사이에 기술 또는 제품 개발에서 생기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을 일컫는다.
수직 분업형 역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생산성제고형은 선발 기업에서 생산성이 낮거나 생산시설의 투자 부담이 커서 생산하기 어려울 때 후발기업이 가진 시설을 활용하여 생산하는 경우이고 팀
Ⅰ. 기술과 기술네트워크
1. 결합 정도에 의한 분류
2. 분업 형태에 의한 분류
3. 제휴기업간 역학관계에 따른 분류
4. 잠재파트너간의 참여정도에 의한 연구
1) 유형 1(island)
2) 유형 2(manufacturer)
3) 유형 3(visionary)
4) 유형 4(competence acquirer)
5) 유형 5(spider)
Ⅱ. 기술과 기술변화
1. 점증적 기술혁신
2. 급진적 기술혁신
3. 공유성 기술 또는 “신기술체계”
4. 파급효과가 큰 공유성 기술
Ⅲ. 기술과 기술인력양성
1. 인력양성기관을 통한 공급
2. 연구활동 지원을 통한 양성
3. 과학기술인력 취업실태
4. 박사급 인력의 활용실태
5. 미취업실직 고급과학기술인력 활용사업
6. 여성인력의 활용실태
7. 해외과학기술인력활용실태
Ⅳ. 기술과 기술개발
1. 요소기술로서의 복합재료 기술
2. 동시공학 시스템 구현과 전산 표준화
3. 복합재료 부품산업 및 소형 완제기 산업
Ⅴ. 기술과 기술혁신
Ⅵ. 기술과 기술협력
1. 시기별 특징
2. 정부간 협정체결 현황
3. 주요 국별 협력의 특징
Ⅶ. 기술과 기술정책
Ⅷ. 기술과 기술이전
Ⅸ. 기술과 기술담보
1. 정책자금 현황
1) 정부 및 유관기관 출연금(27여개 부문 출연자금)
2) 정부시책지원자금(융자금) 등(120여개의 자금)
3) 지방자치단체의 중소기업지원(22여개 지원자금)
2. 기술담보 신용대출제도
1) 과학기술진흥기금(기술담보대출)
2) 기술우대보증
3) 기술평가 보증
4) 기술담보사업 자금대출
5) 기술개발자금융자
6) 특허권 담보부 신용대출자금
7) 기술자금
8) 소프트웨어 공제사업기금
9) 신기술창업보육사업(TBI)
참고문헌
Ⅰ. 기술과 기술네트워크
기술네트워크는 많은 기업들이 기술적인 혹은 전략적인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자기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원의 부족은 보완하려는(Chan and Heide, 199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다른 기업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부족한 자원의 임계치(Critical Mass)를 확보하려는 데 기인한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 견해이다. 기술적인 자원은 다른 자원과 달라 이러한 임계치를 달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시간 압축의 비경제성이 존재하는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은 단기간에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자원의 확보는 일반적으로 개방된 시장을 통한 교환이나 네트워크에 의한 제휴적인 형태를 띄게된다. 그러므로 어느 기업이나 외부조직이 혁신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가를 판단하고 이러한 조직과의 제휴를 모색하는 네트워크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기술네트워크의 유형은 네트워크의 결합 정도와 분업의 역학관계 등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1. 결합 정도에 의한 분류
제휴기업 사이에 존재하는 결합도를 기준으로 전략적 제휴를 분류하면 먼저 이탈이 용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형태로서 생산 협력과 상호 라이센싱(crossing licensing)이 있고 지속적인 거래/ 준 정규적인 결합형으로서 표준제정을 위한 협력, 공동개발 등이 있으며 이탈 곤란/ 조직 결합형으로서 합작, 생산/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와 인수합병(M&A)등이 있다(정 종식, 1997).
2. 분업 형태에 의한 분류
분업 형태에 따른 분류는 제휴업체 사이에 맺고 있는 분업의 특성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수평 분업형, 수직 분업형, 관련 사업다각화형, 국책, 민간 연합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평 분업형은 보완형과 위험 분산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완형은 선발 기업간의 약한 부문에 대등하게 보완을 하는 것을, 위험 분산형은 선발 기업 사이에 기술 또는 제품 개발에서 생기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을 일컫는다.
수직 분업형 역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생산성제고형은 선발 기업에서 생산성이 낮거나 생산시설의 투자 부담이 커서 생산하기 어려울 때 후발기업이 가진 시설을 활용하여 생산하는 경우이고 팀
추천자료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징,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필요성,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현황...
[우주산업][우주개발][우주산업정책][항공우주산업][인공위성][우주]우주산업의 정의, 우주산...
[북한 과학기술정책 기조][북한 과학기술발전계획][북한 과학자양성정책]북한의 과학기술정책...
[하이브리드자동차]하이브리드카(Hybrid Car)의 이해(정의, 분류, 부품, 기술), 하이브리드 ...
연구개발투자의 기술·노동·자본·생산성 기여도 분석 연구
우주개발(우주개발산업) 정의와 목표, 우주개발(우주개발산업) 기술요소와 기본방침, 우주개...
북한 과학기술의 목적, 북한 과학기술의 행정체계, 북한 과학기술의 교육체계, 북한 과학기술...
[기술능력, 기술능력 의미, 기술하부구조, 연구개발네트워크, 자동차부품산업]기술능력의 의...
[북한 정보기술, IT, 북한 정보기술(IT) 환경, 북한 정보기술(IT) 인력, 북한 정보기술(IT) ...
[인력수급, 노동시장, 물류업체, 방송산업, IT산업(정보기술산업)]노동시장의 인력수급, 물류...
정보통신기술산업 인력수급(IT산업 인력수급)의 의의, 정보통신기술산업 인력수급(IT산업 인...
[중소기업 사업][중소기업][사업][직업능력개발사업]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사업, 중소기업 복...
[중소기업][기술혁신][기업][기술][혁신][중소기업 기술혁신 모형][기술혁신 개발사업]중소기...
[중소기업지원기관]중소기업지원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소기업지원기관 연구개발정보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