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독목록법]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이점,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기호부여방법,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메타데이터변환,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표준화,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상용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계가독목록법]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이점,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기호부여방법,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메타데이터변환,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표준화,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상용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이점

Ⅲ.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기호부여방법
1. 레코드 상태
1) c
2) d
3) n
2. 레코드 유형
1) v
2) x
3) y
3. 입력수준
1) 제1수준
2) 제2수준
3) 제3수준
4) 제4수준
5) 제5수준
6) m-복합수준
7) z-기타
4. 권책 정보
1) i-개별자료 식별정보 있음
2) n-개별자료 식별정보 없음

Ⅳ.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메타데이터변환
1. DC.Title
2. DC.Creator
3. DC.Subject
4. DC.Contributor
5. DC.Identifier
6. DC.Date
7. DC.Source
8. DC.Relation
9. Rights Management

Ⅴ.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표준화

Ⅵ.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상용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내외 간행물 모두 USMARC Format for Holding Data(이후 USMARC)에 근거하여 입력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후 소장 정보용 KOMARC이 제정되고 Vintage LAS에서 KOMARC 지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때 동양서의 경우 KOMARC로 변환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환을 대비하여 소장 MARC 데이터를 구축해야 한다.
소장 MARC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소장정보를 기술하는 방식은 크게 나누어 삽입형(Embedded)방식과 독립형(Separate)방식이 있다. 독립형이 삽입형에 비하여 상세한 소장정보를 기술할 수 있고 레코드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수시로 수정되는 소장정보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연속간행물 소장정보 기술에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서관에서는 독립형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Ⅵ. 기계가독목록법(MARC)의 상용화
사서들이 MARC를 대체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한 이래 엄청난 양의 업무가 도서관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들어가고 그 대부분이 미국에서 생겼다. 그 당시 비슷한 시스템들이 영국과 다른 곳에서도 개발 중이었다. 그러나 대체로 회의나 전시회 때 영국 공급자들에게 MARC에 대해서 물어보면 잘 알지 못했다. 만약 그들이 MARC에 대해 들어보았다 하더라도 이것은 MARC 데이터를 발췌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 데이터베이스에 가져온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그들 시스템이 MARC와 호환성이 있다고 주장했을 것이다. 자신이 MARC 레코드 공급자인 경우를 제외하고, 시스템 공급자들은 많은 사서들이 비록 그들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MARC 레코드의 세부사항이나 레코드 구조가 아닌 그 내용을 축적하기를 바라면서도 복잡한 MARC는 원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MARC는 구식이고 곧 없어질 것이라고 암시하는 분위기도 있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얘기가 달랐다. 비록 소규모 도서관에는 그런 경향이 있었지만, 거의 대부분의 시스템은 MARC와 호환성이 있었다. 즉, 그들은 MARC 레코드에서 데이터를 발췌하고 자신들의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에서 MARC 레코드를 다시 만들어 다른 시스템에 보낼 수 있었다. 영국 시스템들도 훨씬 최근에 와서 MARC 호환성을 개발했다: 오늘날 도서관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MARC와 완전히 호환이 가능하다. 많은 시스템들은 목록자들이 MARC의 어떤 세부적인 부분을 무시하는 것은 용인하지만 그 저변은 MARC를 기반으로 하려고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스템은 MARC를 강제하지는 않지만 그 사용을 촉진하고 있다.
영국에서 BLCMP같은 분담목록에 기반을 한 시스템은 확실히 미국의 OCLC처럼 항상 참가도서관의 MARC 목록의 質적인 면을 요구했다.
물론 MARC는 레코드 구조이고 레코드 인식자 집합이나 그것은 그 데이터 요소 정의에 필요한 목록코드에 의존한다. USMARC, UKMARC와 많은 다른 국가 포맷들은 그들 데이터 요소를 記述하는데 영미목록규칙(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AACR)에 의존한다. AACR에 의존하지 않는 곳은 그들 데이터요소 정의에 국제표준서지기술(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 ISBD)에 기반을 한 다른 목록코드를 사용한다. 영미세계에서 솔직히 MARC는 AACR 없이는 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MARC의 존재는 AACR과 다른 목록 포맷이 도서관자동화시스템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신시켰다. 그래서 AACR은 MARC에 매우 강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고 또한 MARC는 AACR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에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서 그들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호환성이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균등한 다른 부분은 레코드 구조이다. 그러나 규정된 레코드 구조의 의미는 시스템에 소장된 레코드는 특수한 구조로 출력될 수 있고 다른 시스템이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흥미로운 것은 MARC는 원래 국가서지를 위해 고안되었으므로 최초부터 서지레코드에 있는 모든 것을 다루지 않았다는 점이다: 많은 국가포맷에 있어서 MARC는 항목의 표준으로서는 여전히 취약점이 있다.
사람들이 MARC의 죽음을 예언한 이래로 오히려 MARC의 사용이 증가했다는 것은 그래서 흥미롭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가 최근에 모든 회원대학교와 그들 분교를 관통하는 통합정보접근시스템(a Unified Information Access System)을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를 제안했다는 것 역시 주목할만하다. 철저한 심의 끝에, 프로젝트팀은 인터넷 환경에서 통신에 필요한 규약인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Web Server 소통에 Web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HTTP/HTML(Hypertext Transfer Protocol/Hypertext Markup Languae), 서지레코드에 USMARC 그리고 컴퓨터가 정보탐색과 검색에 필요한 Z39.50의 공개 표준에 기반을 한 시스템이 현재로선 세계온라인서지접근(Universal Online Bibliographic Access)에 최적의 기술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 팀은 RFI(Request for Information)과정 중에 장래성 있는 업자로부터 이 접근법에 필요한 매우 긍정적인 입력을 받았다.
참고문헌
김윤실(1997), MARC 변환을 통한 온라인종합목록 시스템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한기계학회(2007), 설계/제조공정용 비선형 프로그램 Marc
정영미 외 1명(1981),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관리의 전산화 연구 : 기계가독목록의 개발과 활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초간영생 외 2명(1984), NIPS 와 일판 MARC 시스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현규섭(1978), 기계가독목록법(MARC)에 있어서의 고정장 필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현규섭(1977), 기계가독목록법(MARC) 해설, 한국도서관협회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