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은행금리의 콜거래
Ⅲ. 은행금리의 내부금리제도
1. 내부금리제도의 의의
2. 내부금리제도의 기능
Ⅳ. 은행금리의 대출
Ⅴ. 은행금리의 ALM시스템(자산부채종합관리시스템)
참고문헌
Ⅱ. 은행금리의 콜거래
Ⅲ. 은행금리의 내부금리제도
1. 내부금리제도의 의의
2. 내부금리제도의 기능
Ⅳ. 은행금리의 대출
Ⅴ. 은행금리의 ALM시스템(자산부채종합관리시스템)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입주체, 대출금액 등에 관계없이 最低實行金利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왔는데 이는 선진국과는 달리 프라임레이트가 市場金利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선진국의 경우 프라임레이트가 국채유통수익률 등 시장금리를 상회한다.
은행대출은 金融仲介費用이 수반됨에 따라 市場性商品에 비해 금리가 그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경영에 있어 과도한 公共性 요구 등으로 프라임레이트가 上方硬直的으로 운용되어 프라임레이트가 시장금리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市場金利의 급속한 하락으로 작년 연말 이후 프라임레이트가 시장금리를 상회함에 따라 은행의 대출금리 운용에 있어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Ⅴ. 은행금리의 ALM시스템(자산부채종합관리시스템)
ALM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금리위험이 ALM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본점에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내은행들은 본지점간의 자금이동에 대하여 기간 또는 자금의 구분 없이 동일금리를 적용하는 단일 본지점 이자제도를 채택하고 있거나 복수 금리제도를 채택하더라도 자산과 부채의 만기불일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 실질적으로 각 영업점이 대부분의 금리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출초과 상태인 영업점의 경우 현행 제도 하에서는 동 대출의 스프레드가 고정되지 않아 만약 시장금리변동에 따라 본지점 이자가 상승하면 기존 대출금의 수익이 즉각 감소하게 되고 본지점 이자가 하락하면 반대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결국 금리변동에 따른 수익증감이 영업점에 귀속하게 된다. 따라서 은행들은 본지점 금리를 자금종류, 기간 및 금리속성에 따라 시장금리를 기준으로 세분화하고 영업점의 예대업무에 스프레드를 보장해 줌으로써 예·대출금 실행단계에서 영업점의 수익을 확정 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복수 본지점 이자제도의 시행을 통하여 금리위험의 본점집중이 가능해지고 은행전체의 금리위험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지점 이자 적용시에는 영업점의 자금조달과 운용차액보다는 자금총액에 이자를 적용하는 것이 시장금리의 변동에 따른 개별상품의 금리변화를 감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금리위험관리가 가능해진다. 외국의 예를 보면 미국의 은행들은 현재 만기에 따라 서로 다른 금리를 적용하는 만기대응 본지점 이자제도를, 일본의 은행들은 대출 및 예금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금리를 적용하는 자금종류별 본지점 이자제도를 주로 채택하고 있는데, 이자 적용시에는 양국 모두 대부분의 은행들이 총액법을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서근우(1995), 콜거래 중개기관의 금리변동 완화기능 연구, 서울대학교
이명호(2009), 시중은행 대출금리결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연세대학교
이근규(1996), 은행 ALM 시스템의 효율적 구축방안, 경북대학교
이윤석(2011), 기준금리에 대한 은행대출 금리의 반응과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오홍열(1996), ALM 시스템을 이용한 ALM의 실증분석, 동국대학교
정훈모(2002), 은행 수익력 제고를 위한 내부금리제도 운용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은행대출은 金融仲介費用이 수반됨에 따라 市場性商品에 비해 금리가 그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경영에 있어 과도한 公共性 요구 등으로 프라임레이트가 上方硬直的으로 운용되어 프라임레이트가 시장금리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市場金利의 급속한 하락으로 작년 연말 이후 프라임레이트가 시장금리를 상회함에 따라 은행의 대출금리 운용에 있어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Ⅴ. 은행금리의 ALM시스템(자산부채종합관리시스템)
ALM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금리위험이 ALM 업무를 전담하고 있는 본점에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내은행들은 본지점간의 자금이동에 대하여 기간 또는 자금의 구분 없이 동일금리를 적용하는 단일 본지점 이자제도를 채택하고 있거나 복수 금리제도를 채택하더라도 자산과 부채의 만기불일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 실질적으로 각 영업점이 대부분의 금리위험을 부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출초과 상태인 영업점의 경우 현행 제도 하에서는 동 대출의 스프레드가 고정되지 않아 만약 시장금리변동에 따라 본지점 이자가 상승하면 기존 대출금의 수익이 즉각 감소하게 되고 본지점 이자가 하락하면 반대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결국 금리변동에 따른 수익증감이 영업점에 귀속하게 된다. 따라서 은행들은 본지점 금리를 자금종류, 기간 및 금리속성에 따라 시장금리를 기준으로 세분화하고 영업점의 예대업무에 스프레드를 보장해 줌으로써 예·대출금 실행단계에서 영업점의 수익을 확정 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복수 본지점 이자제도의 시행을 통하여 금리위험의 본점집중이 가능해지고 은행전체의 금리위험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지점 이자 적용시에는 영업점의 자금조달과 운용차액보다는 자금총액에 이자를 적용하는 것이 시장금리의 변동에 따른 개별상품의 금리변화를 감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금리위험관리가 가능해진다. 외국의 예를 보면 미국의 은행들은 현재 만기에 따라 서로 다른 금리를 적용하는 만기대응 본지점 이자제도를, 일본의 은행들은 대출 및 예금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금리를 적용하는 자금종류별 본지점 이자제도를 주로 채택하고 있는데, 이자 적용시에는 양국 모두 대부분의 은행들이 총액법을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서근우(1995), 콜거래 중개기관의 금리변동 완화기능 연구, 서울대학교
이명호(2009), 시중은행 대출금리결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연세대학교
이근규(1996), 은행 ALM 시스템의 효율적 구축방안, 경북대학교
이윤석(2011), 기준금리에 대한 은행대출 금리의 반응과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오홍열(1996), ALM 시스템을 이용한 ALM의 실증분석, 동국대학교
정훈모(2002), 은행 수익력 제고를 위한 내부금리제도 운용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추천자료
국민은행의 경영혁신 전략 -Multi-Specialist Bank로의 도약
숙명여자대학도서관 정보제공서비스 현황분석
[중소기업경영론]중소기업의 정보화에 대해
[경제학 논문]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바람직한 소유 지배구조 모색
우리나라 금융행정의 법적구조와 문제점 및 개혁방향
중국의 경제계획
신바젤협약
earnings_at_risk 기법을 이용한 금융기관의금융기관
미시킨 화폐와금융 연습문제 15장
[은행대형화]은행대형화, 무엇이 문제인가? - 은행 대형화 논란의 배경과 추진 현황, 장단점...
기업형 정부(기업식 정부)의 출현배경, 경영원리, 기업형 정부(기업식 정부)의 행정개혁, 기...
90년대이후 세계世界정치경제의 변화
테슬라 모터스 친환경자동차 산업 선두에 서다[Tesla Motors stand in the automotive indust...
DTI & LIBOR 금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