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상, 사회주의, 폄하의식, 중국인특성, 사상가(황종희)]중국사상의 연혁, 중국사상의 사회주의, 중국사상의 폄하의식, 중국사상의 중국인특성, 중국사상의 사상가(황종희) 분석(중국사상, 사회주의, 폄하의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사상, 사회주의, 폄하의식, 중국인특성, 사상가(황종희)]중국사상의 연혁, 중국사상의 사회주의, 중국사상의 폄하의식, 중국사상의 중국인특성, 중국사상의 사상가(황종희) 분석(중국사상, 사회주의, 폄하의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Ⅱ. 중국사상의 연혁
1. 서주 시대의 사회경제적 상황
1) 봉건제의 형성
2) 세금제, 토지분배제 형성
2. 서주시대의 이데올로기
1) 종법이데올로기
2) 천명사상
3) 조상숭배의식

Ⅲ. 중국사상의 사회주의

Ⅳ. 중국사상의 폄하의식
1. 사이(四夷) - 이(夷) ․ 융(戎) ․ 적(狄) ․ 만(蠻)
2. 몽고(蒙古)
3. 서양에 대한 부정적 인식
4. 기타

Ⅴ. 중국사상의 중국인특성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2. 만만디(慢慢地)
3. 관습
4. 체면(面子)중시 사상
5. 현세주의적 경향

Ⅵ. 중국사상의 사상가(황종희)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의가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陳은 張에게 답변을 하였는데 진의 논점은 중국에 있어서의 빈곤의 원인은 물질적 부족이 아니라 자본주의라는 것이었다. 陳에 의하면 경제적 발전과 노동자에 대한 보다 나은 처우를 통해 사회주의가 달성된다는 것은 중국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Ⅳ. 중국사상의 폄하의식
1. 사이(四夷) - 이(夷) 융(戎) 적(狄) 만(蠻)
상고시대의 중원에는 그 내원을 알 수 없는 무수한 씨, 부족이 산재하여 잡거하고 있었는데 이 중에서 일찍이 농경민으로 발전한 화하족(華夏族)이 황아연안을 포함한 하남성 일대를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었다. 이 중 동편에서 은(殷)족이 신석기시대 이래 중원의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발전하였던 문화를 종합하여 찬란한 청동기 문화를 이루었고, 주(周) 왕조는 은 문화를 계승하고 여기에 주(周)족의 독창성을 가미하여 고도의 청동기 분화를 발달시키고 있었다. 반면 화하족 이외의 주변 이족(異族)들은 원시적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족들을 거주지와 방향에 따라 명칭을 붙였는데 그것이 동이(東夷), 西戎(서융), 南蠻(남만), 北狄(북적)이다.
동이(東夷)의 이(夷)는 대(大)와 궁(弓) 자로 되어있다. 그 뜻은 대궁을 가진 사람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동쪽의 이족들은 활을 잘 썼던 오랑캐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서융(西戎)의 융(戎)은 과(戈)와 공()자로 되어있다. 여기에서 과는 중국 고대에 무기로 사용되었던 창을 말하고 공은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을 의미하고 있는데 이것은 중국의 서쪽의 오랑캐들이 창을 잘 썼던 사실을 말하고 있다. 남만(南蠻)의 만(蠻)은 사종(蛇種)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즉 뱀의 무리로 간주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북적(北狄)의 적(狄)은 견(犬)과 화(火)로 되어있다. 견(犬)은 제사의 제물에 쓰이는 견(犬)을 말하고 화(火)는 재액을 쫓아버린다는 축의(祝儀)를 말하고 있다. 또 다른 해석에 의하면 적(狄)은 적(翟)의 뜻으로 꿩의 깃털로 만들어진 무의를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무의를 입은 남자전사들로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夷) 융(戎) 적(狄) 만(蠻)의 뜻을 종합해 보면 모두 무기를 잘 쓰는 오랑캐 또는 개나 뱀 종류와 같은 족속으로 비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문화는 없고 무력으로 제하 세계를 수시로 침입하여 약탈하고 있는 사방의 이족들을 오랑캐로 비하하여 불렀던 비칭(卑稱)이었음을 알 수 있다.
2. 몽고(蒙古)
과거에 사용되던 蒙古라는 명칭은 중화사상을 가진 중국인들이 주변민족을 ‘몽매한 야만인’이라는 뜻의 \'몽\'과 옛\'고\'를 써서 만든 명칭이다. 그들을 경시하면서 청나라 이후 蒙固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蒙古大夫 돌팔이 의사
狗大夫 = 野大夫
3. 서양에 대한 부정적 인식
洋博士 ① 외국박사 ②외국 것에 경도하는 사람 비꼬는 말
洋大人 ① 외국양반 ②지난날 외국인 관리, 재산가를 멸시하며 일컫던 말
洋狗 ① 서양개 ② 서양물이 든 사람
洋迷 외국에 현혹된 사람(말끝마다 외국을 입에 올리는 사람)
洋鬼子 서양놈, 양키(서양사람 낮춰 부르는 말)
洋鬼子 왜놈 = 洋毛子
洋后 외국인 연줄을 타고 입학함
洋奴 외국인 앞잡이, 추종주의자 = 洋奴才
洋面包 ① 서양식 빵 ② 희고 뚱뚱한 사람
洋 촌놈 시골뜨기, 유행을 잘 모르는 풋내기(남방방언)
洋腔 ① 외국물 먹은 듯한 말투 ② 외국어(속어)
洋相 꼴불견, 추태
出洋相子 추태를 부리다.
洋(부정적으로)기세가 오르다, 왕성해지다.
洋家 ① 외국인 전문가 ② 외국 기술 익힌 전문가 ③ 외국서적을 통해 기술을 익혔을 뿐 실제 사정에 어두운 전문가
洋罪(서양식 흉내 내다 당하는) 호된 봉변
洋中用 서양에서 유익한 것을 받아들여 중국의 발전에 이용한다.
4. 기타
朝貢(조공) - 다른 나라가 주는 선물 따위를 ‘조공을 바친다.’라고 표현한다.
鷄子(병아리) - 후한서(後漢書)에 따르면 주몽의 어머니는 부여왕의 시녀로서 천제가 보낸
계자(鷄子=병아리)가 배태시켰다고 한다. 주몽의 어머니가 시녀라고 하는 것은 사대적 중화
사상(中華思想)이 가져온 것이다.
五女山城(오녀산성) - 중국은 장수왕릉을 장군총으로, 고구려의 졸본성을 ‘오녀산성’으로 바꾸었다. 이는 국내성 영역 안에 또 하나의 ‘오녀산’이 존재하고, ‘오녀’(五女)라는 이름이 ‘흉노(匈奴)·양갈(羊曷)·선비(鮮卑)·저()강(羌)’을 지칭하는 오호(五胡)를 연상시킨다. 즉 충천하던 고구려의 기상을 허드레 계집의 치마폭으로 추락시킨 것이다.
抗美援朝(항미원조) - 중국은 한국전쟁을 ‘항미원조(抗美援朝)’ 운동으로 규정하는데, ‘항미’는 미국이 한국전쟁을 통해 중국을 다시 침공하려는 의도라고 인식하여 전쟁의 성격을 국공 내전의 연장선으로 이해하는 것이고, ‘원조’는 한국이 외세로부터 침략을 받을 때는 중국이 반드시 도와주어야 한다는 전통적 의식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중국은 소련―중국―북한의 북방삼국 동맹체제를 형성하여 미국―대만―남한의 남방삼국 동맹체제에 대항하면서, 미국(그 하부국가로서 한국) 및 자본주의 체제의 악마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중국 내부의 통합 및 정권 안정을 추구해 나간다.
肅愼(숙신) - 중국의 역사책에는 중국이 5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초의 왕조는 하(夏)로서 기전 21세기에 건국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우리민족의 시조인 단군이 고조선을 세운 것이 기원전 2333년의 일이니 하(夏)는 고조선이 건국된 이후에 출현한 국가인 셈이다. 그러나 중국사회과학원에서 발행한《簡明中國歷史地圖集》에는 고조선이 진(秦) -기원전 221~206 - 나라 때 출현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숙신(肅愼)이 있었다고 기록되어있다. 중국의 고대 역사가들이 조선의 건국 시점을 기원전 3세기로 왜곡하여 기록한 것은 아마도 중국의 역사가 우리나라의 역사보다 짧다는 사실이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인 것 같다.
Ⅴ. 중국사상의 중국인특성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중국인은 예로부터 많은 특징을 가진 국민이었다.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자긍심이 매우 강하고, 제도보다는 인관 관계(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