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전통사상
(1) 중국의 천하사상(天下思想)
(2) 중화사상(中華思想)
2. 중국전통문화의 특색
(1) 현세성
(2) 실용성
(3) 경험성
(4) 인사의 중시
3. 중국인의 장단점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2) 만만디(慢慢地)
(3) 관습
(4) 체면(面子)중시 사상
(5) 현세주의적 경향
4. 동서의 문화차이
(1) 동양사상과 서양사상
(2) 예술에서의 동양과 서양의 만남
(3) 서구 문학에 나타난 동양의 사상
(1) 중국의 천하사상(天下思想)
(2) 중화사상(中華思想)
2. 중국전통문화의 특색
(1) 현세성
(2) 실용성
(3) 경험성
(4) 인사의 중시
3. 중국인의 장단점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2) 만만디(慢慢地)
(3) 관습
(4) 체면(面子)중시 사상
(5) 현세주의적 경향
4. 동서의 문화차이
(1) 동양사상과 서양사상
(2) 예술에서의 동양과 서양의 만남
(3) 서구 문학에 나타난 동양의 사상
본문내용
국적 제국주의라고도 말할수 있다.
(2) 중화사상(中華思想)
‘중국’이라는 명칭이 ‘세계의 가장 중심이 되는 지역’이라는 중국인의 독특한 독선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이 ‘중화’ 역시 중국 제일주의를 뜻하는 소위 ‘중화사상’을 대표한다.
중화사상의 출발은 중국인들이 믿고 있는 삼황오제(三黃五帝)의 개국신화이다. 5억 9천만년 전부터 19억년 전 사이 온 세상이 바다였을 때 중원인 회양(淮陽) 땅이 치솟아 올라 인류의 역사는 시작되었으며, 기원전 3000년 전 황제가 탄생하여 곤륜산에 도시를 세움으로써 중국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황제의 帝는 곧 땅을 가리키는 地와 같은 글자였다. 그러므로 황제는 황토의 화신이며 중국민족의 시조로서 황포를 입고, 황도를 걸으며 황색 유리기와의 대전에서 살다 죽으면 황천으로 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 황제는 모든 생명체를 상징하며, 생명의 순환과 재생을 상징하는 용을 만들었다고 중국인들은 믿고 있다. 실제로 용의 모습은 말의 머리, 사슴의 뿔, 뱀의 몸통, 닭의 발톱, 물고기의 비늘과 수염으로 만들어진 조합체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조합된 상징물은 생명의 영원함에 대한 원시인들의 기원을 담고 있으며 그 용을 숭배함으로써 중국 민족의 영원함을 기원하고 있다. 우리가 단군신화를 가지고 있듯이 자기 민족과 문화에 대한 자부심의 표현이 그대로 담긴 개국신화이다.
그러나 인류문화의 중심이자 온 우주의 중심이라고 여겼던 원시적 세계관은 현실주의적 사상체계로서 완비된 유교와 결합하면서 그 배타적 우월주의가 더해진다. 그래서 이 중화주의 또는 중화사상의 뿌리는 유교적 가치를 중심으로 자신들이 가장 우월하고 온 세계의 중심이 되는 문화를 누리고 있다는 자긍심의 표현이다. 결국 지리적으로 중원에 포함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유가의 이상형으로 삼고 있는 주나라의 봉건질서를 따르지 않는 국가는 모두 오랑캐라고 했다. 자신들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모든 이족, 즉 자기와는 다른 삶의 양식(문화)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나 나라는 모두가 오랑캐였다. 예컨데, 동이, 서융, 남만, 북적이 바로 그들의 중화사상을 드러내 보여주는 명칭이다. 그래서 중국은 자신들이 정치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에 대해서 반드시 그들의 유가사상과 유가문화에 따를 것을 요구했고, 또 이민족은 그것에 순응하면서 중국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2. 중국전통문화의 특색
(1) 현세성
개체소생산 농업은 적절한 기후와 국태민안을 필요로 했다. 생활의 안정과 평형을 유지하는 데에는 신비한 운명이나 우연한 기회에 크게 의탁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요 관심사는 현세였으며 내세나 천국에 큰 기대를 걸지 않았다. 이 때문에 원고의 신화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고 반대로 조상 혹은 자연정복에 공이 있거나 인간관계를 적절하게 처리한 전설적 인물이 더욱 사람들의 숭배를 받았다. 마찬가지로 고대 한족의 가족 관념과 정서는 그다지 강렬하지 않았다. 중국 사상의 주류를 점하는 유가는 일종의 현세만을 중시하는 사상이었고 외래사상인 불교도 중국화된 이후에는 현세성이 대대적으로 강화되었으며 토착사상인 도교는 불교보다 더욱 현세적이 되었다. 그대 중국에서 신권은 시종 정권을 초월하지 못했고 종교의 역할도 시종 세속의 정치, 도덕, 윤리적인 규범을 넘어서지 못했다.
(2) 실용성
사람들은 현세에서 해결해야 할 많은 실제 문제의 해결에 착안했다. 철학의 본체론적 사고는 정치, 도덕, 윤리학설의 발전에 크게 미치지 못했으며 과학기술 방면에서 가장 발달한 것도 실용적인 과학기술이었다.
(3) 경험성
고대 한족의 사유방식은 다분히 경험적, 실증적이고 또 실제와 결합하여 현실에 유용한가의 여부를 가지고 판단의 표준으로 삼았으며 추상적 표준을 따로 세우거나 또 논리적 추리를 운용하여 정오, 시비를 검증하는 일은 그리 많지 않았다.
(4) 인사의 중시
고대 한족은 인간관계, 즉 人의 역할인 정치, 도덕, 윤리 관계를 특별히 중시했다. 이들이 추구한 것은 바로 인간관계로서, 개인으로부터 가정, 종족, 향리, 국가에 이르기까지 상호 간의 질서, 협조, 화해였다. 개인을 중시하였으나 개성을 강조하지는 않았으며 개인은 군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분자로 간주했다. 중국 고대의 계급관계는 바로 이러한 색체의 영향을 받아 자체의 특색을 드러낸 것이었다.
3. 중국인의 장단점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중국인은 예로부터 많은 특징을 가진 국민이었다.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자긍심이 매우 강하고, 제도보다는 인관 관계(
(2) 중화사상(中華思想)
‘중국’이라는 명칭이 ‘세계의 가장 중심이 되는 지역’이라는 중국인의 독특한 독선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이 ‘중화’ 역시 중국 제일주의를 뜻하는 소위 ‘중화사상’을 대표한다.
중화사상의 출발은 중국인들이 믿고 있는 삼황오제(三黃五帝)의 개국신화이다. 5억 9천만년 전부터 19억년 전 사이 온 세상이 바다였을 때 중원인 회양(淮陽) 땅이 치솟아 올라 인류의 역사는 시작되었으며, 기원전 3000년 전 황제가 탄생하여 곤륜산에 도시를 세움으로써 중국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황제의 帝는 곧 땅을 가리키는 地와 같은 글자였다. 그러므로 황제는 황토의 화신이며 중국민족의 시조로서 황포를 입고, 황도를 걸으며 황색 유리기와의 대전에서 살다 죽으면 황천으로 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 황제는 모든 생명체를 상징하며, 생명의 순환과 재생을 상징하는 용을 만들었다고 중국인들은 믿고 있다. 실제로 용의 모습은 말의 머리, 사슴의 뿔, 뱀의 몸통, 닭의 발톱, 물고기의 비늘과 수염으로 만들어진 조합체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조합된 상징물은 생명의 영원함에 대한 원시인들의 기원을 담고 있으며 그 용을 숭배함으로써 중국 민족의 영원함을 기원하고 있다. 우리가 단군신화를 가지고 있듯이 자기 민족과 문화에 대한 자부심의 표현이 그대로 담긴 개국신화이다.
그러나 인류문화의 중심이자 온 우주의 중심이라고 여겼던 원시적 세계관은 현실주의적 사상체계로서 완비된 유교와 결합하면서 그 배타적 우월주의가 더해진다. 그래서 이 중화주의 또는 중화사상의 뿌리는 유교적 가치를 중심으로 자신들이 가장 우월하고 온 세계의 중심이 되는 문화를 누리고 있다는 자긍심의 표현이다. 결국 지리적으로 중원에 포함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유가의 이상형으로 삼고 있는 주나라의 봉건질서를 따르지 않는 국가는 모두 오랑캐라고 했다. 자신들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모든 이족, 즉 자기와는 다른 삶의 양식(문화)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나 나라는 모두가 오랑캐였다. 예컨데, 동이, 서융, 남만, 북적이 바로 그들의 중화사상을 드러내 보여주는 명칭이다. 그래서 중국은 자신들이 정치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에 대해서 반드시 그들의 유가사상과 유가문화에 따를 것을 요구했고, 또 이민족은 그것에 순응하면서 중국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2. 중국전통문화의 특색
(1) 현세성
개체소생산 농업은 적절한 기후와 국태민안을 필요로 했다. 생활의 안정과 평형을 유지하는 데에는 신비한 운명이나 우연한 기회에 크게 의탁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요 관심사는 현세였으며 내세나 천국에 큰 기대를 걸지 않았다. 이 때문에 원고의 신화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고 반대로 조상 혹은 자연정복에 공이 있거나 인간관계를 적절하게 처리한 전설적 인물이 더욱 사람들의 숭배를 받았다. 마찬가지로 고대 한족의 가족 관념과 정서는 그다지 강렬하지 않았다. 중국 사상의 주류를 점하는 유가는 일종의 현세만을 중시하는 사상이었고 외래사상인 불교도 중국화된 이후에는 현세성이 대대적으로 강화되었으며 토착사상인 도교는 불교보다 더욱 현세적이 되었다. 그대 중국에서 신권은 시종 정권을 초월하지 못했고 종교의 역할도 시종 세속의 정치, 도덕, 윤리적인 규범을 넘어서지 못했다.
(2) 실용성
사람들은 현세에서 해결해야 할 많은 실제 문제의 해결에 착안했다. 철학의 본체론적 사고는 정치, 도덕, 윤리학설의 발전에 크게 미치지 못했으며 과학기술 방면에서 가장 발달한 것도 실용적인 과학기술이었다.
(3) 경험성
고대 한족의 사유방식은 다분히 경험적, 실증적이고 또 실제와 결합하여 현실에 유용한가의 여부를 가지고 판단의 표준으로 삼았으며 추상적 표준을 따로 세우거나 또 논리적 추리를 운용하여 정오, 시비를 검증하는 일은 그리 많지 않았다.
(4) 인사의 중시
고대 한족은 인간관계, 즉 人의 역할인 정치, 도덕, 윤리 관계를 특별히 중시했다. 이들이 추구한 것은 바로 인간관계로서, 개인으로부터 가정, 종족, 향리, 국가에 이르기까지 상호 간의 질서, 협조, 화해였다. 개인을 중시하였으나 개성을 강조하지는 않았으며 개인은 군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분자로 간주했다. 중국 고대의 계급관계는 바로 이러한 색체의 영향을 받아 자체의 특색을 드러낸 것이었다.
3. 중국인의 장단점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중국인은 예로부터 많은 특징을 가진 국민이었다.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자긍심이 매우 강하고, 제도보다는 인관 관계(
추천자료
[맹자][맹자사상][맹자의 의의][맹자의 사상][노자][노자사상][노자의 생애][노자의 사상]맹...
[철학][공자사상][공자 생애][공자의 사상][맹자사상][맹자 의미][맹자의 사상][공자와 맹자...
[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제자][백가]제자백가사상 중 유가(유가사상)와 도가(도가사상), 제...
[유학][유학사상][신유학사상]삼국시대의 유학(유학사상), 신라시대의 유학(유학사상), 주희...
[실학][실학사상][실학자][실학(실학사상) 대표적 실학자]실학(실학사상) 특성, 실학(실학사...
[실학][실학사상][실학파]실학(실학사상, 실학파)의 유형, 경세치용학파(중농학파) 실학사상(...
[이제마][사상의학]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창시와 특징, 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
[이제마][사상의학]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정의, 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실학][실학사상][실학파][실학자][실학사상의 영향][실학사상의 의의]실학사상의 정의, 실학...
[프레이리][교육사상][교육철학]프레이리 교육사상(교육철학)의 의의, 프레이리의 업적, 프레...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그리스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소피스트, 그리스 교육철학자(교육...
실학(實學) 사상(思想)의 개괄(槪括) (주자학, 조선말의 사회적 배경, 실학 사상의 발생, 실...
[인간관계론] 동양의 유교사상과 서양의 기독교사상의 현대적 해석과 비교 - 유교사상의 세계...
[동양철학][동양사상][동양철학(동양사상) 진리][동양철학 특징]동양철학(동양사상)의 진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