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향가 정의][향가 형식][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표현방법][향가 사상][향가 상징]향가의 정의, 향가의 형식, 향가의 명칭, 향가의 문법, 향가의 표현방법, 향가의 사상, 향가의 상징 분석(향가, 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향가 정의][향가 형식][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표현방법][향가 사상][향가 상징]향가의 정의, 향가의 형식, 향가의 명칭, 향가의 문법, 향가의 표현방법, 향가의 사상, 향가의 상징 분석(향가, 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향가의 정의

Ⅲ. 향가의 형식

Ⅳ. 향가의 명칭

Ⅴ. 향가의 문법
1. 조사
1) 주격
2) 보조격
3) 목적격
4) 관형격
5) 처소격
6) 공동격
2. 대명사
3. 관형사형
4. 명사형
5. 부사형

Ⅵ. 향가의 표현방법

Ⅶ. 향가의 사상

Ⅷ. 향가의 상징
1. 원형(Archetype)의 개념
2. 향가에 나타난 원형 상징
1) 달의 이미지
2) 식물의 이미지
3) 물의 이미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는 久遠한 生生力과 絶對性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원가>의 잣나무 상징은 <찬기파랑가>의 그것과 同軌에있는 원형상징으로 이는 고시조에서 <낙낙장송>이다. <松竹>, <雪中梅>로 계승되 變容된다.

일반적으로 꽃은 생명현상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美의 總體요 가장 枯渴된 生命現狀의 하나다. 그래서 우리는 꽃을 최고 가치로 평가하고 즐기며, 문학작품을 통해서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表出하기도 한다. 各 作品에서의 꽃의 의미를 분석하여 보기로 하자.
가. 獻花歌의 꽃
은 從者들에게 꽃은 꺾어 달라고 했지만 위태롭기 때문에 누구나 다 거절했다. 그런데 소를 몰고 가던 노인만은 위험을 무릅쓰고 꽃을 꺾어다 바쳤다. 이것은 생명과 맞바꾼 행위다.
그러면 생명과도 바꿀 수 있는 <꽃>이란 무엇인가?
김열규 교수는 “産牛翁이 자신의 생명을 걸고 바쳐야 했던 꽃이면서 동시에 週落의 老年이 생기넘치는 젊은 아름다움에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꽃이기도 한 점에서 여기에 꽃은 발랄하고 蛙聲한 生生力의 상징” 이라고 파악하여 水路夫人(여성상징 = 생생력상징)에 꽃을 바침은 곧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는 것이고 그래서 이 노래는 提議의 결정에서 불려졌을 것이라는 推論의 論據를 마련하고 있다.
나. 도솔가의 꽃
꽃은 이 노래의 중심적인 시어다. 여기서의 꽃은 꽃이 지니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심상에 멀리 떨어져 있다. 오직 二日병現이라는 일 를 처리할 강요된 임무만이 꽃에게 주어졌을 뿐 抒情的 換起的 意味는 없다. 단지 심리적 목적을 위해서 栢을 인간의 의사에 順從하도록 강요하면서 직접적으로 행하는 마술적 능력을 불교의식 속에 顯現시킨 자연 일 뿐이다.
3) 물의 이미지
물이란 바다에서부터 강호수에 이르기까지 전체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향가에 나타나는 물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寶賢十願歌에서는 바다로 讚耆窪郞歌에서는 냇물(강)로, 鄕歌에서는 호수의 물결로 나타나 있다.
또한 끊임없이 흐르는 물에서 永遠性 不變性을 볼 수도 있다.
새롭게 흐르는 물은 끊임없이 변화를 보이기도 하며 晝夜로 긋지 아니하고 흐르는 까닭에 영원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래서 흐르는 물, 즉 강은 變化와 不變, 瞬間과 永遠의 相反된 의미를 갖는 童詩的 存在다.
한편 民俗學에서는 물이 生成力을 지닌다. 물은 출생만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과 재생을 동시에 상징한다. 끊임없는 바다(물)의 변화는 달의 引力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달은 주기적으로 탄생→소멸→재생의 순환구조로 영원회귀성을 나타낸다. 바다 또한 마찬가지다. 그래서 죽음과 재생, 영원성을 물은 지니고 있다. 그 밖에 여자와 함께 풍요를 상징하기도 하고 관념적으로 자유 희망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것이 물의 원형적 이미지다.
향가에 나타나는 물의 이미지 또한 이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가. 보현십원가의 물
보현십원가의 물(바다)의 이미지는 불교적 의미를 벗어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이 노래가 화엄경의 내용을 대중화하고 중생들을 교화한다는 교환적인 目的性으로 만들어진 노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노래에서는 물의 이미지가 자유스럽고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영원성이나 無限한 生成力 등의 肯定的 의미만을 벌어 부처님의 깊고 높으신 경지를 나타내는 <개인적 상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보현십원가의 바다 상징은 신라 향가의 보편적인 상징이기 보다는 불교적인 입장에서 그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자연상징이라 할 것이다.
나. <찬기파랑가>의 물
물은 달과 같이 생명의源泉이나 久遠한 生의 母胎를 표상하는 보편적 상징이다.
<찬기파랑가>에서 달은 강물에 비쳐져 있고 거기에 다시 기파랑의 얼굴이 비친다. 여기서 강물과 얼굴 두 이미지는 겹쳐진다. 자연과의 융합이고 동화이다. 달이 구원의 생명력과 영원성 원만한 모습을 지닌 인격적 존재인 기랑을 상징화했다면 물도 역시 마찬가지 의미를 갖는다. 기파랑의 이미지가 천상의 공간에서 달의 영원성과 원만함 절대성을 통하여 상징화되었고 이는 다시 강물이라는 지상의 공간에서 달과 똑같은 원형적 이미지로 상징된 것이다.
참고문헌
ⅰ. 김준영(1979),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ⅱ. 김완진(1978), 향가 본문의 정오를 위하여, 관악어문
ⅲ. 김준영(1979),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ⅳ. 곽혜정(2006), 향가 문학의 효율적 지도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ⅴ. 박진태 외 1명(2009), 향가의 표현 유형과 표현 교육에의 활용 방안, 한국언어문학회
ⅵ. 이웅재(1990), 향가에 나타난 서민의식, 백문사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