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표기원리와 제망매가 해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의 표기원리와 제망매가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의 표기와 그 원리
*향찰
*향찰의 원리

2. 제망매가 해석
*향찰 표기
(고대어/현대어)

본문내용

此:훈독(이) 矣:음독(의)→이에 有:훈독(잇) 阿:음독(아) 米:음독(매) 次:훈독(머뭇거리다) 遣:음독(고)
吾隱去內如辭叱都 (오은거내여사질도)
나 가다 말ㅅ도 / 나는 간다는 말도
吾:훈독(나) 隱:음독() 去:훈독(가) 內:음독() 如:음독(‘다’로읽음) 辭:훈독(말-말하다) 叱:음독(ㅅ) 都:음독(도)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모여운견거내니질고)
  • 가격1,000
  • 페이지수2페이지
  • 등록일2009.07.1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