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1. 향가란? 3
2. 향가는 언제부터 불렸을까? 3
3. 향가의 형식 3
· 4구체 향가 3
- 헌화가
· 8구체 향가 4
- 모죽지랑가
· 10구체 향가 6
- 제망매가
4. 향가는 어떤 계층에서 만들어졌을까? 8
5. 향가는 다른 노래와 달리, 그 노래를 짓게 된 경위를 밝힌
산문기록을 가지고 있다? 8
6. 향가의 정서표출은 어떠한가? 9
7. 향가모음집 10
8. 참고문헌 10
9. 관련논문 11
- 향가에 표출된 화랑도의 사유세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정오 2004)
10. 후기 25
11. 논문출처 25
1. 향가란? 3
2. 향가는 언제부터 불렸을까? 3
3. 향가의 형식 3
· 4구체 향가 3
- 헌화가
· 8구체 향가 4
- 모죽지랑가
· 10구체 향가 6
- 제망매가
4. 향가는 어떤 계층에서 만들어졌을까? 8
5. 향가는 다른 노래와 달리, 그 노래를 짓게 된 경위를 밝힌
산문기록을 가지고 있다? 8
6. 향가의 정서표출은 어떠한가? 9
7. 향가모음집 10
8. 참고문헌 10
9. 관련논문 11
- 향가에 표출된 화랑도의 사유세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정오 2004)
10. 후기 25
11. 논문출처 25
본문내용
. ‘서동요’가 향가라고는 알고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내용인지, 어떤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알고자 그리고 더 깊이 향가에 대해 알고자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고, 공부하다보니 어려운 내용들이 많아 되도록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쉽게 풀이하도록 하였습니다.
선화 공주님은 / 남 몰래 시집가 놓고(정을 통해 놓고) /
서동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배경설화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어 백제의 서울 남쪽 못가에 살면서,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은 재주와 도량이 커서 장차 큰일을 할 바탕을 갖추고 있었는데 항상 마(薯)를 캐어 팔아서 생계를 꾸려 갔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서동\'이라 불렀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기 그지없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고자 머리를 깎아 중의 형색을 하고 신라의 서울로 들어갔다. 서울 근방의 아이들에게 마를 나누어 주면서 그들과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자 자신이 지은 동요를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서동요>인 것이다.
이 동요의 내용이 대궐에까지 알려져 공주는 먼 곳으로 귀양을 가게 되고, 귀양길에 오르는 공주의 애처로운 모습에 왕후는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다. 공주가 귀양처로 가는 도중에 서동이 나타나 맞이하며 시위(侍衛)하여 가고자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지는 모르나 외로운 귀양길에 친구가 되리라 생각하고 그를 따르게 되었다. 공주는 서동이 믿음직스럽고 좋아 그와 결혼했는데, 그 후에야 서동의 이름을 알고, 동요의 영험함도 알았다.
백제로 와서 어머니가 준 금을 내어 생계를 꾀하려 하니, 서동이 크게 웃으며, \"이것이 무엇이냐\"하였다. 공주가 \"이것은 황금이니 가히 백 년의 부를 이룰 것이다.\" 하니, 서동은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파던 곳에 흙과 같이 쌓아 놓았다.\"하였다. 공주가 듣고 크게 놀라 \"그것은 천하의 지보(至寶)니 지금 그 소재를 알거든 그 보물을 가져다 부모님 궁전에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하였다. 서동이 좋다 하여 금을 모아 구릉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 사자사의 지명법사에게 가서 금을 옮길 방책을 물었다. 그리하여 법사가 신력을 이용하여 하룻밤 사이에 신라 궁중에 갖다 두었다. 진평왕이 그 신비한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존경하며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백제의 왕위에 올랐다.
- 목 차 -
머리말1
1. 향가란?3
2. 향가는 언제부터 불렸을까?3
3. 향가의 형식3
4구체 향가3
- 헌화가
8구체 향가4
- 모죽지랑가
10구체 향가6
- 제망매가
4. 향가는 어떤 계층에서 만들어졌을까?8
5. 향가는 다른 노래와 달리, 그 노래를 짓게 된 경위를 밝힌
산문기록을 가지고 있다?8
6. 향가의 정서표출은 어떠한가?9
7. 향가모음집10
8. 참고문헌10
9. 관련논문11
- 향가에 표출된 화랑도의 사유세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정오 2004)
10. 후기25
11. 논문출처 25
1, 향가란?
향가란 우리나라 시가중의 한 장르를 나타내기 위한 명칭으로, 신라 및 고려 시대의 시가로 한글이 없던 시절 향찰로 지어진 시가입니다.
◇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향찰이란?
향찰이란 옛날 한글이 없던 시절인 신라 및 고려 시대에 한자의 소리(訓)와 뜻(音)을 대신 사용하여 쓰던 글자입니다.
이 향찰문자로 기록된 향가문학은 첫째, 우리말을 우리 방식으로 처음 표현(기록)한 문자라는 점, 둘째, 한역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가사가 전해오는 가장 오래된 시가(詩歌)란 점, 셋째, 향가 작품마다 배경설화가 동반되어 문학과 역사가 어우러진 예술이란 점 등이 우리 문학사에 있어 큰 의미라 할 수 있습니다.
2. 향가는 언제부터 불렸을까?
현전하는 향가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은 <서동요>입니다. 이 작품의 성립 시기는 6세기 경이나, 이로써 향가의 최초 성립시기를 잡을 수는 없습니다. 이 노래 이전에도 가사는 전하지 않고, 작품명만 알려져 오는 노래들이 여러 편 있기 때문입니다. 3세기 초 내해왕때의 <勿稽子歌>나, 5세기 전반 눌지왕 때의 <우식곡> 같은 노래가 바로 그것입니다. 더욱이 1세기 초인 유리왕 5년, 나라에서 <도솔가>를 지어 가악이 시초를 열었다고 한 기록은 향가의 연원을 훨씬 더 앞선 시기로 끌어올리게 하는 근거가 됩니다. 이로 볼 때 구전가요가 아닌 기록가요로서 향가가 최초로 성립된 것은 유리왕 5년 <도솔가>의 제정에서 비롯되며, 이후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6세기 전반 융천사의 <혜성가>에 이르면서 비로소 10구체의 완성된 시형태를 낳게 되었던 것입니다.
1세기 초에 비롯된 향가는 균여의 <보현십원가>를 거쳐 고려에 접어들어서도 그 잔영을 보여주다가 문학사의 이면으로 자취를 감추게 됩니다.
3. 향가의 형식
형식면에서 볼 때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입니다.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와 8구체, 10구체 세 가지가 있습니다.
▶ 4구체 향가
4줄로 된 향가로 가장단순하고 소박한 민요적 시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4구체의 경우, 진술만 있을 뿐 시적 자아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문면에 드러나는 경우는 없으며, 4구체는 고대가요의 기본 형태가 되는 가장 기본적인 노래 호흡의 단위입니다. 또한 4구체 향가는 짤막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 복잡한 개인의 생활감정이나 사상을 담을 수는 없습니다. 4구체는 예전부터 구전해 오던 민요나 창작가요가 대부분이며 담고 있는 내용도 개인 서정시가 이전 단계의 집단노래이거나 짤막한 애정의 사연, 혹은 주술적 내용들로 되어 있습니다. 4구체는 시적 언술이 갖는 미학적 측면이 절제된 대신, 단순 간결한 어법을 통한 강렬한 전달로 고대 사회에서 언어가 갖는 주술성을 십분 성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 4편이 전합니다.
헌화가
紫布岩乎 ○希
執音乎手母牛放敎遣
吾 ○不喩慙○伊賜等
花 ○折叱可獻乎理音如
자줏빛 바위 가에
잡고 가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신다면
선화 공주님은 / 남 몰래 시집가 놓고(정을 통해 놓고) /
서동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배경설화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어 백제의 서울 남쪽 못가에 살면서,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은 재주와 도량이 커서 장차 큰일을 할 바탕을 갖추고 있었는데 항상 마(薯)를 캐어 팔아서 생계를 꾸려 갔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서동\'이라 불렀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기 그지없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고자 머리를 깎아 중의 형색을 하고 신라의 서울로 들어갔다. 서울 근방의 아이들에게 마를 나누어 주면서 그들과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자 자신이 지은 동요를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서동요>인 것이다.
이 동요의 내용이 대궐에까지 알려져 공주는 먼 곳으로 귀양을 가게 되고, 귀양길에 오르는 공주의 애처로운 모습에 왕후는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다. 공주가 귀양처로 가는 도중에 서동이 나타나 맞이하며 시위(侍衛)하여 가고자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지는 모르나 외로운 귀양길에 친구가 되리라 생각하고 그를 따르게 되었다. 공주는 서동이 믿음직스럽고 좋아 그와 결혼했는데, 그 후에야 서동의 이름을 알고, 동요의 영험함도 알았다.
백제로 와서 어머니가 준 금을 내어 생계를 꾀하려 하니, 서동이 크게 웃으며, \"이것이 무엇이냐\"하였다. 공주가 \"이것은 황금이니 가히 백 년의 부를 이룰 것이다.\" 하니, 서동은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파던 곳에 흙과 같이 쌓아 놓았다.\"하였다. 공주가 듣고 크게 놀라 \"그것은 천하의 지보(至寶)니 지금 그 소재를 알거든 그 보물을 가져다 부모님 궁전에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하였다. 서동이 좋다 하여 금을 모아 구릉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 사자사의 지명법사에게 가서 금을 옮길 방책을 물었다. 그리하여 법사가 신력을 이용하여 하룻밤 사이에 신라 궁중에 갖다 두었다. 진평왕이 그 신비한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존경하며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백제의 왕위에 올랐다.
- 목 차 -
머리말1
1. 향가란?3
2. 향가는 언제부터 불렸을까?3
3. 향가의 형식3
4구체 향가3
- 헌화가
8구체 향가4
- 모죽지랑가
10구체 향가6
- 제망매가
4. 향가는 어떤 계층에서 만들어졌을까?8
5. 향가는 다른 노래와 달리, 그 노래를 짓게 된 경위를 밝힌
산문기록을 가지고 있다?8
6. 향가의 정서표출은 어떠한가?9
7. 향가모음집10
8. 참고문헌10
9. 관련논문11
- 향가에 표출된 화랑도의 사유세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정오 2004)
10. 후기25
11. 논문출처 25
1, 향가란?
향가란 우리나라 시가중의 한 장르를 나타내기 위한 명칭으로, 신라 및 고려 시대의 시가로 한글이 없던 시절 향찰로 지어진 시가입니다.
◇ 여기서 잠깐!!!
그렇다면 향찰이란?
향찰이란 옛날 한글이 없던 시절인 신라 및 고려 시대에 한자의 소리(訓)와 뜻(音)을 대신 사용하여 쓰던 글자입니다.
이 향찰문자로 기록된 향가문학은 첫째, 우리말을 우리 방식으로 처음 표현(기록)한 문자라는 점, 둘째, 한역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가사가 전해오는 가장 오래된 시가(詩歌)란 점, 셋째, 향가 작품마다 배경설화가 동반되어 문학과 역사가 어우러진 예술이란 점 등이 우리 문학사에 있어 큰 의미라 할 수 있습니다.
2. 향가는 언제부터 불렸을까?
현전하는 향가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은 <서동요>입니다. 이 작품의 성립 시기는 6세기 경이나, 이로써 향가의 최초 성립시기를 잡을 수는 없습니다. 이 노래 이전에도 가사는 전하지 않고, 작품명만 알려져 오는 노래들이 여러 편 있기 때문입니다. 3세기 초 내해왕때의 <勿稽子歌>나, 5세기 전반 눌지왕 때의 <우식곡> 같은 노래가 바로 그것입니다. 더욱이 1세기 초인 유리왕 5년, 나라에서 <도솔가>를 지어 가악이 시초를 열었다고 한 기록은 향가의 연원을 훨씬 더 앞선 시기로 끌어올리게 하는 근거가 됩니다. 이로 볼 때 구전가요가 아닌 기록가요로서 향가가 최초로 성립된 것은 유리왕 5년 <도솔가>의 제정에서 비롯되며, 이후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6세기 전반 융천사의 <혜성가>에 이르면서 비로소 10구체의 완성된 시형태를 낳게 되었던 것입니다.
1세기 초에 비롯된 향가는 균여의 <보현십원가>를 거쳐 고려에 접어들어서도 그 잔영을 보여주다가 문학사의 이면으로 자취를 감추게 됩니다.
3. 향가의 형식
형식면에서 볼 때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입니다.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와 8구체, 10구체 세 가지가 있습니다.
▶ 4구체 향가
4줄로 된 향가로 가장단순하고 소박한 민요적 시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4구체의 경우, 진술만 있을 뿐 시적 자아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문면에 드러나는 경우는 없으며, 4구체는 고대가요의 기본 형태가 되는 가장 기본적인 노래 호흡의 단위입니다. 또한 4구체 향가는 짤막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 복잡한 개인의 생활감정이나 사상을 담을 수는 없습니다. 4구체는 예전부터 구전해 오던 민요나 창작가요가 대부분이며 담고 있는 내용도 개인 서정시가 이전 단계의 집단노래이거나 짤막한 애정의 사연, 혹은 주술적 내용들로 되어 있습니다. 4구체는 시적 언술이 갖는 미학적 측면이 절제된 대신, 단순 간결한 어법을 통한 강렬한 전달로 고대 사회에서 언어가 갖는 주술성을 십분 성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 4편이 전합니다.
헌화가
紫布岩乎 ○希
執音乎手母牛放敎遣
吾 ○不喩慙○伊賜等
花 ○折叱可獻乎理音如
자줏빛 바위 가에
잡고 가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나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신다면
추천자료
서동요(향가, 배경설화, 특징, 성격, 의미)
[신라 향가][서동요][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향가 서동요의 배경설화, 신라향가 서동요의 ...
[향가][서동요][풍요][제망매가][도솔가][원왕생가]신라 향가 서동요, 신라 향가 풍요, 통일...
[향가][신라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서동요(향가, 신라시대), 풍요(향가, 신라시대), 혜성...
[서동요][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향가]서동요(신라 향가)의 작품해제와 서동요(신라 향가)...
[신라시대 향가][향가][서동요][신라 향가]서동요(신라향가)의 배경설화와 서동요(신라향가)...
[향가][서동요]향가(신라시대) 서동요의 작품해제, 향가(신라시대) 서동요의 작품이해, 향가(...
[신라시대 향가][신라 향가][향가][서동요]신라 향가 서동요의 배경설화, 신라 향가 서동요의...
[서동요][향가]서동요(신라의 향가)의 배경설화, 서동요(신라의 향가)의 원문과 해독, 서동요...
신라시대의 향가(서동요), 신라시대의 향가(회소곡), 신라시대의 향가(혜성가)와 통일신라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