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알기 쉬운 논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누구나 알기 쉬운 논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논어란 …………………………………………………………論-4
2. 공자의 생애……………………………………………………論-7

제1편 학이편(學而篇) …………………………………………論-11
제2편 위정편(爲政篇) …………………………………………論-17
제3편 팔일편(八佾篇) …………………………………………論-21
제4편 이인편(里仁篇) …………………………………………論-22
제5편 공야장편(公冶長篇) ……………………………………論-27
제6편 옹야편(雍也篇) …………………………………………論-29
제7편 술이편(述而篇) …………………………………………論-33
제8편 태백편(泰伯篇) …………………………………………論-38
제9편 자한편(子罕篇) …………………………………………論-40
제10편 향당편(鄕黨篇) …………………………………………論-43
제11편 선진편(先進篇) …………………………………………論-44
제12편 안연편(顔淵篇) …………………………………………論-46
제13편 자로편(子路篇) …………………………………………論-50
제14편 헌문편(憲問篇) …………………………………………論-54
제15편 위령공편(衛靈公篇) ……………………………………論-57
제16편 계씨편(季氏篇) …………………………………………論-62
제17편 양화편(陽貨篇) …………………………………………論-64
제18편 미자편(微子篇) …………………………………………論-66
제19편 자장편(子張篇) …………………………………………論-67
제20편 요왈편(堯曰篇) …………………………………………論-69

부록1 공자의연보………………………………………………˙論-70
부록2 공문제자(孔門弟子) ……………………………………論-74
부록3 유가도통원류도(儒家道統源流圖) ……………………論-75
부록4 고대 중국 성인 계보 …………………………………˙論-76
부록5 춘추시대 제후국 ………………………………………˙論-77
부록6 춘추시대 지도 ………………………………………˙…論-78
부록7 참고문헌 ………………………………………………· 論-79

본문내용

내는 어조사, …라고 하는 것. 其爲仁之本與; 그것이 바로 인을 실천하는 근본일 것 이다, 與; 여(歟)와 같으며 어조사로 …일 것이다.
1-3.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譯解
스승께서 말씀하시길, 말을 교묘히 듣기 좋게 잘하고, 용모를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치고 仁한 자가 드물다.
도움말
巧言; 말을 교묘히 듣기 좋게 꾸며 아부 한다. 令色; 용모를 보기 좋게 꾸며 아부한다. 鮮; 거의 없다, 드물다. 仁; 인이란 사랑의 이치요 마음의 덕이다(仁者 愛之理 心之德也; 인자 애지리 심지덕야, 新註), 인간 본연의 바른 품성, 남을 사랑하는 것.
1-4.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傳不習乎
전불습호
譯解
증자께서 말씀하시길, 나는 매일 세 가지를 나 자신에 대해 반성 한다. 남을 위해 일을 도모함에 있어 불충 하지는 않았는가, 붕우와 사귐에 있어 신의를 저버리지는 아니했는가, 전수받은 학문을 충분히 복습하고 익히지 아니한 것은 없는가.
도움말
曾子; 공자의 제자로서 성(姓)은 증, 이름은 參(삼), 자(字)는 子輿(자여), 노(魯)나라 사람,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스승이다. 유학을 전수한 道統 四聖(도통 사성) 顔曾士孟 즉 顔回(안회), 曾子(증자), 子思(자사), 孟子(맹자)의 한사람으로, 효경(孝經), 대학(大學)을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자 설). 忠信; 주자(朱子)는 “자기의 최선을 다함이 충이요 진실로 함이 신이다(盡己之謂忠 以實之謂信; 진기지위충 이실지위신)”라고 풀이 했다.
傳; 선생님으로부터 전수 받은 것.
1-5.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
자왈 도천승지국 경사이신 절용이애인 사민이시
譯解
스승께서 말씀하시길, 천승의 나라를 다스리려면, 일을 경건한 마음으로 처리하고, 미답게 실천해야 하며, 씀씀이를 절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해야 한다, 백성을 부릴 때에는 알맞은 때에 맞추어 적절하게 부려야한다.
도움말
道; 치(治)와 같다, 다스리다. 乘; 네 마리의 말이 크는 전차(四頭馬 戰車; 사두마전차), 일승 전차에는 무장한 갑사(甲士) 3명, 보졸(步卒) 및 기타 잡역을 합해 약 백여 명이 따랐으며, 그들이 쓸 무기, 식량, 피복, 마량(馬糧)등을 운반하는 치중차(輜重車)가 동원되었다. 千乘之國; 천승을 동원할 수 있는 제후국(諸侯國). 敬事; 모든 일을 경건(敬虔)하고 신중(愼重)하게 집행한다. 주자는 “경은 하나를 위주로 하여 다른 곳으로 가지 않고 흐트러짐이 없는 것을 이른다(敬者 主一無適之謂; 경자 주일무적지위)”로 풀이함. 信; 신의(信義), 신뢰(信賴), 미답게. 人; 도성에 거주하는 사(士)계급 國人. 民; 도성 밖의 비야(鄙野)의 서민(庶民). 時; 알맞은 때, 농한기,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를 삼사(三事)라하고, 敬,信,節,愛,時를 오요(五要)라 하여, 인정(仁政)의 요체(要諦)로 삼았다.
1-6.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 이친인 행유여
力 則以學文
력 즉이학문
譯解
스승께서 말씀하시길, 젊은이들이여, 집안에서는 효도하고, 밖에 나가서는 연장자에게 공손히 하며, 언행을 삼가고 미답게 해야 한다. 널리 많은 사람을 사랑하고, 인(仁)한자와 친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여유가 있으면 글을 배워야 한다.
도움말
弟子; 젊은이. 出則弟; 밖에서는 연장자에게 공손히. 謹; 언행을 성실하고 신중히 한다. 汎; 넓음. 衆; 뭇 사람들. 仁; 인자(仁者). 餘力; 가일(暇日). 文; 시서육예(詩書六藝)의 글을 말함, 六藝는 예(禮), 악(樂), 사(射) 어(御), 서(書), 수(數) 이다.
1-7. 子夏曰 賢賢易色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 能致其身 與朋
자하왈 현현역색 사부모 능갈기력 사군 능치기신 여붕
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우교 언이유신 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譯解
자하가 말하길, 어진사람을 어질게 대하기를 미인을 좋아하듯이 하고, 부모를 섬길 때는 전력을 다하며, 임금을 섬길 때는 몸을 다 바쳐야 한다, 붕우와 사귐에 신의 있는 말만하면, 비록 배우지 않았어도, 나는 반드시 그를 배운 사람이라고 말 할 것이다.
도움말
子夏; 공자의 제자,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진(晉)나라 사람. 공문십철중 문학이 뛰어남. 賢賢; 앞의 현은 동사로서 어질 게 여기고 높이다, 뒤의 현은 명사로서 어진사람. 易色; 미인을 좋아 하듯이. 能竭其力; 능히 자기의 힘을 다 기울이다. 能致其身; 능히 자신의 몸을 다 바치다. 雖; 비록. 謂; 이른다, 말한다, 평가한다.
1-8. 子曰 君子 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자왈 군자 부중즉불위 학즉불고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過則勿憚改
과즉물탄개
譯解
스승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신중하게 행동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고루하지 않다. 忠과 信를 주로 삼으며. 자기만 못한 자를 벗하지 마라. 허물이 있으면 고치는 것을 꺼리지 마라.
도움말
君子; 학식과 덕행을 겸비하고, 인도(仁道)를 따라 인정(仁政)을 펴는 도덕정치에 참여할 인격적인 지식인, 수기치인(修己治人) 하는 지식인.
重; 신중(愼重), 후중(厚重). 威; 위엄,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공경심을 갖도록 함. 固; 고루하다. 主; 주로한다. 기본이다. 憚; 두려워하고 어렵게 여김.
1-13. 有子曰 信近於義 言可復也 恭近於禮 遠恥辱也 因不失
유자왈 신근어의 언가복야 공근어례 원치욕야 인불실
其親 亦可宗也
기친 역가종야
譯解
유자가 말하길, 약속이 의로움에 가까워야 그 말이 실천될 수 있다. 공손함이 예에 가까워야 치욕을 멀리 할 수 있다. 그리 함으로서 가까운 사람들을 잃지 아니하면 본받을 만하다.
도움말
信; 약속. 復; 말을 실천하다 (踐言也,천언야). 因; 그리 함으로서. 宗; 본받을 만하다, 받들어 모신다, 종주로 모신다(猶主也,유주야).
1-14. 子曰(中略)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자왈 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譯解
스승께서 말씀하시길, 일은 민첩하게 하고 말은 신중히 하며, 道가 있는 자를

키워드

공자,   춘추,   전국시대,   논어,   동양,   고전,   한자
  • 가격4,500
  • 페이지수79페이지
  • 등록일2013.07.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