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개념
1. 캔틸론(Cantillon)
2. 세이(B. J. Say)
3. 슘페터(J. Schumpeter)
4. 히스리치(Hisrich)와 브루쉬(Brush)
5. 카오(Kao)
6. 이장우
7. 미제스
8. 티몬스(J.A.Timmons)
Ⅲ.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성격
Ⅳ.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중요성
Ⅴ.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구성요소
1. 사업기회 지향적
2. 성공에 대한 신념과 정열
3.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고객에 대한 이해
4. 적응 실행(Adaptive Execution)
Ⅵ.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영향
Ⅶ.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기대효과
Ⅷ. 향후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제고 과제
Ⅸ. 결론
참고문헌
Ⅱ.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개념
1. 캔틸론(Cantillon)
2. 세이(B. J. Say)
3. 슘페터(J. Schumpeter)
4. 히스리치(Hisrich)와 브루쉬(Brush)
5. 카오(Kao)
6. 이장우
7. 미제스
8. 티몬스(J.A.Timmons)
Ⅲ.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성격
Ⅳ.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중요성
Ⅴ.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구성요소
1. 사업기회 지향적
2. 성공에 대한 신념과 정열
3.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고객에 대한 이해
4. 적응 실행(Adaptive Execution)
Ⅵ.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영향
Ⅶ.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기대효과
Ⅷ. 향후 기업가정신(경영자정신)의 제고 과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으로 기업인이 존경받는 풍토를 만드는데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Ⅸ. 결론
그들은 일반적으로 논리적이며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으며 분별력이 있고 보다 상세한 것을 추구하며 정확하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이라고 묘사된다. Skeptics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종종 강한 성격의 소유자이며 심지어는 압도적이기까지도 한다. 그들의 마음속에는 자신들이 최고의 영업맨이요, 최고의 마케팅 전문가이며, 최고의 전략가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Followers가 자신들을 다른 사람들의 신발에 자신을 맞춰 신는데 익숙한 반면, 그들은 오직 자신들의 관점에서만 사물을 바라보며, 자주 즉석 결정을 내리고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독불장군식이며 종종 스스로 자기 흡수를 하며, 일방적 의사결정으로 이끄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진실로 거의 경청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의 Input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그들을 다룰 때, 당신은 그들의 내적 두려움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그들이 갖고 있지 않은 것을 갖고 있는 체 하는 것일 뿐이다. 사실, 그들은 복잡하고 상세한 프로세스 및 방법에 대하여 지나칠 정도의 관심을 보임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하기도 할 것이다. 그들을 다루는 것은 쥐와 고양이 게임과 같을 수 있다. 당신은 언제나 그들의 요청에 따라 어떤 정보를 뒤쫓아 가게 될 것이다.
미팅시에는 그들이 스스로 소화·흡수할 능력이 있음을 기억하고, 당신의 상호작용(발표 및 질의응답) 동안 긴 침묵에 대한 준비를 하라. 또한 코너에 몰렸을 때에도 그들은 거의 항복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비록 그들이 정확성과 사실을 찾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그들이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이성적 결정을 한다는 것을 꼭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종 그들은 비논리적 결정을 내리기도 하고, 자신들의 결정에 대한 책임을 기꺼이 수용하는 Charismatics와는 달리 그들은 책임을 회피하려고 애를 쓰기도 한다. 무언가 일이 잘못되면,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잘못했다고 가정한다.
그들을 설득하기 위해, 당신의 주장은 구조화되고 1차원적이며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상세한 것을 원하지만, 오직 전문가에 의하여 발표되는 것처럼 상세한 것을 원한다. 실제로 그들에게 아이디어를 판매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팔지 않는 것이다 : 대신에 그들로 하여금 구매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고 그들 스스로 확신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비록 Controllers와 Skeptics가 몇 가지 공통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핵심적 차이점은 그들이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반대로 Skeptics는 결론을 매우 빨리 이끌어낸다. Controllers와 일을 할 때 당신이 범할 수 있는 가장 큰 잘못중의 하나는 당신의 제안을 너무 공격적으로 밀어 붙이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들은 당신을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아로 볼 것이다.
참고문헌
강석민 외 1명(2012) : 기업가정신과 핵심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김영수 외 2명(2011) : 국내 기업가정신의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김학수(2010) : 기업가정신과 정책환경, 한국경제연구원
배귀희(2011) :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배종태 외 1명(2009) :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한국중소기업학회
좌승희 외 3명(2012) : 경제민주화와 기업가정신, 한국경제연구원
Ⅸ. 결론
그들은 일반적으로 논리적이며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으며 분별력이 있고 보다 상세한 것을 추구하며 정확하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이라고 묘사된다. Skeptics와 마찬가지로, 그들은 종종 강한 성격의 소유자이며 심지어는 압도적이기까지도 한다. 그들의 마음속에는 자신들이 최고의 영업맨이요, 최고의 마케팅 전문가이며, 최고의 전략가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Followers가 자신들을 다른 사람들의 신발에 자신을 맞춰 신는데 익숙한 반면, 그들은 오직 자신들의 관점에서만 사물을 바라보며, 자주 즉석 결정을 내리고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독불장군식이며 종종 스스로 자기 흡수를 하며, 일방적 의사결정으로 이끄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진실로 거의 경청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의 Input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
그들을 다룰 때, 당신은 그들의 내적 두려움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그들이 갖고 있지 않은 것을 갖고 있는 체 하는 것일 뿐이다. 사실, 그들은 복잡하고 상세한 프로세스 및 방법에 대하여 지나칠 정도의 관심을 보임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하기도 할 것이다. 그들을 다루는 것은 쥐와 고양이 게임과 같을 수 있다. 당신은 언제나 그들의 요청에 따라 어떤 정보를 뒤쫓아 가게 될 것이다.
미팅시에는 그들이 스스로 소화·흡수할 능력이 있음을 기억하고, 당신의 상호작용(발표 및 질의응답) 동안 긴 침묵에 대한 준비를 하라. 또한 코너에 몰렸을 때에도 그들은 거의 항복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비록 그들이 정확성과 사실을 찾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그들이 잘 이해하고 있으며 이성적 결정을 한다는 것을 꼭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종 그들은 비논리적 결정을 내리기도 하고, 자신들의 결정에 대한 책임을 기꺼이 수용하는 Charismatics와는 달리 그들은 책임을 회피하려고 애를 쓰기도 한다. 무언가 일이 잘못되면,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잘못했다고 가정한다.
그들을 설득하기 위해, 당신의 주장은 구조화되고 1차원적이며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상세한 것을 원하지만, 오직 전문가에 의하여 발표되는 것처럼 상세한 것을 원한다. 실제로 그들에게 아이디어를 판매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팔지 않는 것이다 : 대신에 그들로 하여금 구매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고 그들 스스로 확신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비록 Controllers와 Skeptics가 몇 가지 공통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핵심적 차이점은 그들이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반대로 Skeptics는 결론을 매우 빨리 이끌어낸다. Controllers와 일을 할 때 당신이 범할 수 있는 가장 큰 잘못중의 하나는 당신의 제안을 너무 공격적으로 밀어 붙이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들은 당신을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아로 볼 것이다.
참고문헌
강석민 외 1명(2012) : 기업가정신과 핵심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김영수 외 2명(2011) : 국내 기업가정신의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김학수(2010) : 기업가정신과 정책환경, 한국경제연구원
배귀희(2011) :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배종태 외 1명(2009) :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한국중소기업학회
좌승희 외 3명(2012) : 경제민주화와 기업가정신, 한국경제연구원
추천자료
- 경영학-기업의 개념,목표,형태,책임
- 기업론에 대하여
- 신세계이마트의 유통전략
- [경영]독특한 경영 방침을 통한 유한 킴벌리 만의 성공요인
- 정주영 리더십에 관한 발표
- 안철수연구소와 안철수의 리더십 분석(A+레포트)
- 경영윤리 사례(신세계그룹)
- Next Society(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 미래를 결정하라)를 읽고
- 중국시장에서의_성공적_IT기업의_마케팅__전략에_관한_소고
- 유한양행과 기업의 사회환원
- 당신도경영자가될수있다
- [사업전략][경영전략]사업전략(경영전략, 기업전략)의 전제, 환경, 사업전략(경영전략, 기업...
- [기업] 기업의 정의(개념) 및 역할
- [중소기업경영론 공통] 성공적인 중소기업자를 인터뷰해 해당 중소기업의 창업에서 현재까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