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인류학의 현지 조사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고인류학의 현지 조사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류학 방법론으로서의 현지 조사

2. 현지 조사 방법이 문화 분석에 유용한 점

3. 현지 조사(Fieldwork)의 일반적 의미

4. 현지 조사에서 사용되는 주된 기법

5.민족지(ethnography)

6. 인류학 방법론의 성찰

본문내용

학생들을 지원하는 서비스 목록, 인사 매뉴얼, 학생 카탈로그, 교원 노조의 계약, 기타 서류를 통해 조사자는 조직의 규범, 활동을 정의하고, 조직의 대외적인 활동과 이를 위한 장치들을 분석할 수 있다. 조사 대상이 종족이나 특정 마을일 경우, 그 지역 대상들의 생산물인 예술품, 생산 유통 소비와 관련된 여러 도구들 또한 기록하고 스케치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4-3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 참여와 관찰이 갖는 이중적 어려움
4-3-1.사회적 상황 속에 자리 잡기
참여관찰의 첫 번째 단계는 연구자 자신을 사회적 상황의 위치에 자리 잡게 하는 것이다. 이 사회적 상황은 구체적으로 사람들이 건너가는 ‘횡단보도’, ‘은행 창구’, 산책을 하는 공원, 병원 등과 같은 물적 장소가 있어야 하며, 슈퍼마켓 계산대에서 볼 수 있는 사업가, 과부, 어린이 로 구성된 ‘고객’과 같은 행위자, 그리고 그들의 계산하기, 포장해 주기, 영수증 주기와 같은 활동 패턴들이 있다. 즉 사회적 상황 속에서는 장소, 행위자, 활동이라는 요소가 있다. 따라서 참여 관찰은 각각의 조사자들이 그들의 연구 주제에 따라 특정 장소, 사람, 행위를 중심으로 그 연구자의 위치를 자리 잡게 된다.
이 때 유의할 점으로는
ㄱ. 연구자의 신분에 대한 적절한 노출이 필요하다. 연구자를 그들의 관념에서 위치지운다.
정장과 명함,공문을 들고 가야 하는 자리 - 현지인화 되는 자리
- ‘Native\' 와 ’Non-Native\' 간의 차이: 교육이나, 남녀간의 성구분, 성생활 습관의 차이(동성간이나 이성간 등) 사회계층, 인종 접촉한 기간이 길고 짧은 것 등이 때로는 우리 연구자가 현지인이냐, 외부인이냐 하는 신분보다도 더 중요할때가 있다.( Narayan, \" How a Native Anthropology,\"
ㄴ. 연구자의 거주지나 참여 관찰 위치에 대해 접근 용이성, 허락가능성을 살펴야 한다.
ㄷ. 여러 가지 상황을 통해 rapport(라포)형성해야한다. 예) 기어츠의 발리에서의 연구
4-3-2. 지도의 작성
지역이 어떻게 생겼는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의 정부에서 발간한 다양한 형태의 지도에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단순히 구획을 나누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현지인들에 있어 문화적으로 중요한 경계를 학습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도에는 철도, 간선 도로와 옛길, 버스 정류장, 상점, 병원, 교회, 묘지 등이 포함되며 사람들로 하여금 현지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정주(定住)패턴과 이들에게 이용가능한 인적, 물적 자원들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적, 물적 자원의 사용 위치와 관념의 범주는 공식적인 필요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토양, 식물, 지형, 사람 등에 대한 현지인들의 명칭에 유의하여, 다양한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지리적인 마을의 지도 뿐 아니라, 정서적 지도, 언어적 분포, 특정 의례의 의식과정 등을 지도화 할 수 있다.
이때 필수적인 것은
ㄱ. 종족적 구성, 경제적 지위, 인구밀도, 가구의 크기 대상지에 대한 개관이 필요하다.
ㄴ. 방향, 지도의 작성일자, 축척, 범례 등 지도 작성을 위한 여러 개념과 이를 위한 도구
사례) 행정 구역상 표시된 신림동 난곡과 사람들의 인식과 담론 속의 난곡의 위치
경기도 시흥의 행정 구역상 변이를 통해 경제적 정치적 맥락
4-3-3. 상황에 대한 참여와 관찰
참여 관찰자들은 두 가지 목적, 즉 상황에 적합한 활동에 참가하기 위해서, 그 상황에서의 활동과 사람과 물적 측면을 관찰하기 위해서 사회적 상황 속으로 들어간다. 이는 일상적 참가자들이 그들의 사회 생활을 하면서 모든 활동들과 모든 물건들과 모든 정보를 인식하고 기억하고 분류하지 않는 것에 비해, 참여관찰자들은 좀더 많은 상황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관찰한다. 그러나 참여 관찰자는 그 곳에 함께 있으면서 상황에 대해 이중적 태도를 동시에 취해야 한다. 참여의 정도는 완전히 능동적이든, 수동적이든 특정 사회적 상황에 대해 연구의 주제에 따라 그 개입의 정도가 차이가 나지만, 참가자로서와 관찰자로서 균형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
이때 유의점
. 참여 할 수 있는 일과 아닌 것에 대한 범주를 구분하고, 허락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상 집단의 권위자에게 부탁하여 허락을 받는 경우가 필요하다.
예) 제례, 상례, 마을제사와 같은 경우 여성은 음식장만의 영역에서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민속신앙의 경우, 특정 띠, 나이, 복 과 같은 여러 범주에 따라 참여관찰 의 제한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
ㄴ. 참여관찰은 서술관찰, 집중관찰, 선별관찰로 발전시켜 연구의 초점을 좁히면서 중심 영 역을 다른 영역과 연관하는 작업을 병행하며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참여하고 관찰한 과정에 대한 꼼꼼한 상황이 묘사되는 수첩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 노트는 날 짜, 장소, 면접자, 내용 뿐 아니라, 그 심층에 있는 느낌, 이미지까지 함께 기록하는 것 이 필요하다.
사례 1. (s 복지법인 무료노인병원 진료실 - 2002.9.25)
병원을 처음 찾은 김귀임씨(여60)는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디스크가 아닌지 검사 해 달라고 요청했다. 의사는 환자의 말에 따라 X-ray사진을 찍어 허리 부분의 이상을 살핀다.
의사 : “지금 X-ray사진만 봐서는 디스크도 없고, 관절염도 없고 정상이에요, 정상.”
환자 : “그럴 리가 없어요. 디스크가 분명한데.”
의사: “봐요. 사진으로 보면 아무 이상 없이 정상이에요, 정상.”
환자 : “아니 정상인데, 이렇게 아플 수가 있어요? 다리 뒤쪽이 끊어질 듯이 아픈데.”
의사 :“ 아니, 사진을 보면 이렇게 정사으로 나오지 않습니까. 아무 것도 안 드러나잖아요, 정 의심이 되면, 어디 큰 병원 가서 MRI라도 찍어봐요. 여기서는 그 이상은 못 잡아내요. 사진으로 봐서는 아무것도 보이질 않는데요 자꾸 아프다고만 하면 어쩝니까?
환자 : \"MRI? 아무튼 이렇게 아픈데 정상이라뇨, 분명히 뭔가 있으니까 이렇게 아프겠죠.“
의사:“ 글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6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