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회로실험] encoder decoder 7segment (7세이그먼트) - Encoder, Decoder를 이해하고, 특성을 실험으로 익힌다, 7 - segment LED decoder를 이해하고, 특성을 실험으로 익힌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험 목적
실험 과정
분석
실험 고찰

본문내용

[0]
Off
Off
Off
Off
Off
On
Off
On
Off
Off
On
Off
On
Off
Off
On
Off
Off
On
On
On
Off
Off
Off
분석:
디코더는 인코더와 반대로 n비트로 된 2진 코드를 서로 다른 정보 2^n개를 표현할수 있는습니다. 즉, 디코더는 n비트 2진코드를 최대 2^n가지 정보로 바꿔주는 조합논리회로입니다.
위 실험에서는 i1 , i2 두 개의 입력선을 받아 4(2^2)개의 출력선이 생성되는 결과를 보았습니다.
마찬가지로, Modelsim을이용해서 얻은 결과값과 DE2-115보드를 이용한 LED동작 상태가 일치하하다는것을 표와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습니다.
3. 7 - segment LED의 회로를 구현하기위해 Quartus Ⅱ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현한 후 ModelSim값과 DE2-115에서의 동작을 확인한다.
실험 3 - 회로도(schematic) 캡처
실험 3 - Programing 에서 Success 화면 캡처
실험 3 - ModelSim 결과 파형 캡처 & 분석
실험 3 - 보드동작 캡쳐
Input
Output
i3
i2
i1
i0
d6
d5
d4
d3
d2
d1
d0
0
0
0
0
0
1
0
0
0
0
0
0
1
0
0
0
1
1
1
1
1
0
0
1
2
0
0
1
0
0
1
0
0
1
0
0
3
0
0
1
1
0
1
1
0
0
0
0
4
0
1
0
0
0
0
1
1
0
0
1
5
0
1
0
1
0
0
1
0
0
1
0
6
0
1
1
0
0
0
0
0
0
1
0
7
0
1
1
1
1
0
1
1
0
0
0
8
1
0
0
0
0
0
0
0
0
0
0
9
1
0
0
1
0
0
1
0
0
0
0
A
1
0
1
0
0
0
0
1
0
0
0
B
1
0
1
1
0
0
0
0
0
1
1
C
1
1
0
0
1
0
0
0
1
1
0
D
1
1
0
1
0
1
0
0
0
0
1
E
1
1
1
0
0
0
0
0
1
1
0
F
1
1
1
1
0
0
0
1
1
1
0
SW[3]
SW[2]
SW[1]
SW[0]
7-segment LED
0
on
on
on
on
1
off
off
off
on
2
off
off
on
off
3
off
off
on
on
4
off
on
off
off
5
off
on
off
on
6
off
on
on
off
7
off
on
on
on
8
on
off
off
off
9
on
off
off
on
A
on
off
on
off
B
on
off
on
on
C
on
on
off
off
D
on
on
off
on
E
on
on
on
off
F
on
on
on
on
분석:
7 - segment LED 는 공통단자에 입력이 1로 인가되고 a,b,c,d,e,f,g에 0이 입력될때 동작하는 common cathod방식과 반대로 공통단자에 입력이 0으로 인가되고 a,b,c,d,e,f,g에 1이 입력 될 때 동작하는 common anode방식이 있는데 저희가 이번실험에서 DE2-115보드에서 사용된 7 - segment LED는 common cathod방식입니다.
7 - segment LED회로를 구현하고 ModelSim에서 파형을 구한 결과값과 DE2-115보드에서의 결과가 일치하는것을 볼수 있었고,표 18과 첨부된 그림에서 볼수 있듯이, 4개의 입력선으로 16(2^4)개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고찰
1. encoder의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Quartus Ⅱ를 이용하여 구현한 후 ModelSim을 이용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실험 고찰 1 - 회로도(schematic) 캡처
실험 고찰 1 - Programing 에서 Success 화면 캡처
실험 고찰 1 - ModelSim 결과 파형 캡처 & 분석
Input
Output
i3
i2
i1
i0
en
val
d1
d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0
1
0
0
1
0
1
0
0
1
1
0
0
0
0
0
1
0
0
0
1
1
0
0
1
0
1
0
0
0
0
0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1
0
0
0
0
1
1
0
0
0
0
0
1
0
0
0
1
1
0
0
1
0
1
0
0
1
1
1
0
1
0
0
1
0
1
0
1
1
0
1
1
0
1
0
1
1
1
1
분석 :
이번 실험 고찰에서는 Valid 신호가 추가 되었습니다.
Valid 신호는 en이 1이고, 유효한 값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출력은 1 이 되고, en이 0이거나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출력이 0이 됩니다.
즉 불필요한 신호값을 구분해주고 유효한 신호만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위에 실험에서는 en의 값을 무시하고 했기 때문에 en변화에 따른 valid값은 볼 수 없었지만, 입력신호만으로도 유효한 신호를 잡는 valid의 역할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실험 고찰
2. Decoder의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Quartus Ⅱ를 이용하여 구현한 후 ModelSim을 이용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실험 고찰 2 - 회로도(schematic) 캡처
실험 고찰 2 - Programing 에서 Success 화면 캡처
실험 고찰 2 - ModelSim 결과 파형 캡처 & 분석
Input
Output
i1
i0
en
val
d3
d2
d1
d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1
0
0
0
0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0
0
0
1
0
1
1
1
0
0
1
0
1
0
1
1
0
1
0
0
1
1
1
1
1
0
0
0
분석 :
이번 실험 고찰에서는 Valid 신호와 enalbe신호가 추가 되었습니다.
Valid 신호는 en이 1이고, 유효한 값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출력은 1 이 되고, en이 0이거나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출력이 0이 됩니다.
즉 불필요한 신호값을 구분해주고 유효한 신호만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enable 신호에 따른 valid 신호의 변화를 볼 수 있었는데 , 이론대로 valid신호는 en신호가 0이거나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입력으로 들어올때 0이되고 en신호가 1이고 유효한 입력값이 들어왔을때는 1로 출력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3.08.0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