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산업별 생산의 KDI 다부문모형
1. 구축의 필요성
2. 기본구조
3. 산업 세분화
1) 급속한 산업구조변화 및 산업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세분화된 산업들에 대한 기초통계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며, KDI 다부문 모형의 산업 세분화가 필요한 시점
2) 생산‧고용통계를 중심으로 장기 시계열의 통계구축 및 산업별 취업계수에 대한 중장기 전망 가능성을 중심으로 산업세분화의 검토결과 65개 산업분류가 가능
Ⅲ. 산업별 생산의 인자
1. 모형(model)
2. 공동변화(comovement)
3. 적합도(goodness-of-fit)
Ⅳ. 산업별 생산의 국제비교
1. 성장률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의 국제비교
2. 성장요인분석 국제비교
Ⅴ. 산업별 생산의 취업계수
1. 전망절차
2. 잠재성장률과 요소투입의 장기변화
1) 1971∼00년까지 8%대에서 2010년대에 6.8%로 둔화된 잠재성장률이 경제발전단계의 성숙, 인구증가율 둔화, 노동시간 단축, 투자율의 하락 및 생산성 증가세의 둔화 등으로 인해 2020년대에는 5.2%로 낮아질 전망
2) 실제GDP는 잠재GDP를 밑도는 수준으로 균형성장경로로의 복귀는 향후 수년이상이 소요될 전망
3) 잠재성장률 수준도 현재 추진 중인 구조조정의 성공적인 마무리와 더불어 세계시장에서 우리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된다는 기본적 전제가 충족되어야만 달성이 가능
3. 지출구조의 전망
4. 산업생산구조의 중장기 전망
5. 산업별 취업계수 및 취업구조 전망
1) 기술혁신에 따라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취업계수는 모든 산업에서 하락하는 경향
2) 전산업평균 취업계수(명/억원)는 2000년에 6.03%에서 2010년에 3.70%로 저하되었고 향후 2020년까지 2.40%로 낮아질 전망
3) 생산 및 취업계수의 전망을 기초로 향후 인력수요를 전망하면 2010년 1,773만 명인 전산업 취업자는 2020년에 1,976만 명으로 증가하여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인 1.1%와 동일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Ⅵ. 산업별 생산의 추정방법
1. 추정방법 개요
2. 추정절차
Ⅶ. 결론
참고문헌
Ⅱ. 산업별 생산의 KDI 다부문모형
1. 구축의 필요성
2. 기본구조
3. 산업 세분화
1) 급속한 산업구조변화 및 산업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세분화된 산업들에 대한 기초통계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며, KDI 다부문 모형의 산업 세분화가 필요한 시점
2) 생산‧고용통계를 중심으로 장기 시계열의 통계구축 및 산업별 취업계수에 대한 중장기 전망 가능성을 중심으로 산업세분화의 검토결과 65개 산업분류가 가능
Ⅲ. 산업별 생산의 인자
1. 모형(model)
2. 공동변화(comovement)
3. 적합도(goodness-of-fit)
Ⅳ. 산업별 생산의 국제비교
1. 성장률 및 부문별 성장기여도의 국제비교
2. 성장요인분석 국제비교
Ⅴ. 산업별 생산의 취업계수
1. 전망절차
2. 잠재성장률과 요소투입의 장기변화
1) 1971∼00년까지 8%대에서 2010년대에 6.8%로 둔화된 잠재성장률이 경제발전단계의 성숙, 인구증가율 둔화, 노동시간 단축, 투자율의 하락 및 생산성 증가세의 둔화 등으로 인해 2020년대에는 5.2%로 낮아질 전망
2) 실제GDP는 잠재GDP를 밑도는 수준으로 균형성장경로로의 복귀는 향후 수년이상이 소요될 전망
3) 잠재성장률 수준도 현재 추진 중인 구조조정의 성공적인 마무리와 더불어 세계시장에서 우리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된다는 기본적 전제가 충족되어야만 달성이 가능
3. 지출구조의 전망
4. 산업생산구조의 중장기 전망
5. 산업별 취업계수 및 취업구조 전망
1) 기술혁신에 따라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취업계수는 모든 산업에서 하락하는 경향
2) 전산업평균 취업계수(명/억원)는 2000년에 6.03%에서 2010년에 3.70%로 저하되었고 향후 2020년까지 2.40%로 낮아질 전망
3) 생산 및 취업계수의 전망을 기초로 향후 인력수요를 전망하면 2010년 1,773만 명인 전산업 취업자는 2020년에 1,976만 명으로 증가하여 지난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인 1.1%와 동일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
Ⅵ. 산업별 생산의 추정방법
1. 추정방법 개요
2. 추정절차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추천자료
- 우리나라의 임금(2002년 임금교섭 자료)
- 한국의 임금체계
- 시험의 교육학적 의미
- 빈곤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문제A형>IMF환란이후 우리사회 경제적 불평등의 지속적 심화 원인과 그 해결책
- [최저임금제]최저임금(최저임금제)의 정의, 최저임금(최저임금제)의 대상자, 최저임금(최저임...
- [장애인통합교육][특수교육][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정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접근방법과 기본방향,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 초등...
- 교육재정과 교육제도의 개혁
- [완성본] 경제성장과 복지의 관계
- EU 경제위기가 우리나라 선박산업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자산(상표자산)의 개념, 중요성, 브랜드자산(상표자산)의 구성요인, 브랜드자산(상표자...
-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현황, 장단점 및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