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채권결제제도
1. 국채 및 통안증권에 대한 집중예탁의무 완화
2. 채권결제방식의 변경
Ⅲ.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구조변화
1. IDB와 증권사의 경쟁유도
1) 현황
2) 개선방안
2. 국채물량확보 및 채권거래결제일 변경
1) 국채물량확보
2) 채권결제일의 변경
3. 기대효과
Ⅳ.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구조개선
1. 딜러 간 시장의 정비
2. 딜러 간 시장의 접근성 제한
Ⅴ.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개선방안
1. 채권상품의 특성에 부합하는 시장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권유통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토록 함
2. 채권결제제도 등 채권거래의 기초 인프라를 정비
3. 국채전문유통시장의 거래활성화
4. 국채전문딜러의 기능을 강화
5. 경쟁을 통해서 회사채등의 거래가 활성화
6. 채권거래의 기초인프라를 정비
참고문헌
Ⅱ.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채권결제제도
1. 국채 및 통안증권에 대한 집중예탁의무 완화
2. 채권결제방식의 변경
Ⅲ.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구조변화
1. IDB와 증권사의 경쟁유도
1) 현황
2) 개선방안
2. 국채물량확보 및 채권거래결제일 변경
1) 국채물량확보
2) 채권결제일의 변경
3. 기대효과
Ⅳ.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구조개선
1. 딜러 간 시장의 정비
2. 딜러 간 시장의 접근성 제한
Ⅴ.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개선방안
1. 채권상품의 특성에 부합하는 시장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권유통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토록 함
2. 채권결제제도 등 채권거래의 기초 인프라를 정비
3. 국채전문유통시장의 거래활성화
4. 국채전문딜러의 기능을 강화
5. 경쟁을 통해서 회사채등의 거래가 활성화
6. 채권거래의 기초인프라를 정비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 참가자들에게만 제공함으로써 시장 정보면에서 딜러들의 우월성을 유지한다. 국채전문딜러들이 시장정보 면에서 우월성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매수·매도 호가 스프레드가 확대되어 일반 채권투자자들의 국채 거래비용이 증가한다. 미국 및 이태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도 딜러간 시장의 정보는 동 시장 참가자들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Ⅴ.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개선방안
1. 채권상품의 특성에 부합하는 시장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권유통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토록 함
상대적으로 표준화되고, 유동성이 높은 국채지표물의 경우 장내 국채전문유통시장에서 경쟁매매를 통해 거래되도록 한다. 표준화되지 않고, 유동성이 낮은 국채비지표물, 회사채 등의 경우 브로커간의 적극적인 중개를 통하여 거래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2. 채권결제제도 등 채권거래의 기초 인프라를 정비
채권거래 활성화의 여건 조성한다.
3. 국채전문유통시장의 거래활성화
국채전문딜러는 국채지표물(3년, 5년, 10년 최근월물)을 장내에서 거래하도록 의무화하고, 투신 등 일반기관투자자도 위탁매매를 통해 장내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증권거래소는 호가입력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국채거래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4. 국채전문딜러의 기능을 강화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국채전문딜러를 과감히 퇴출시키는 등 국채전문딜러에 대한 혜택(incentive)과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5. 경쟁을 통해서 회사채등의 거래가 활성화
현재 딜러간 채권거래만을 중개할 수 있는 IDB가 일반기관투자자의 채권거래도 중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반증권사도 IDB와 같이 호가를 집중하여 채권거래를 중개할 수 있도록 한다.
6. 채권거래의 기초인프라를 정비
국채통합발행기간을 6개월로 연장하여 종목당 국채발행물량을 확대하고, 채권거래 결제일을 T+1일로 연장토록 한다.
참고문헌
* 김형철(1991), 채권유통시장 조직화방안, 한국증권업협회
* 박효식(1989), 채권 유통시장의 현황과 당면과제, 한국증권업협회
* 유중형(1999), 한국채권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 정희준(2011), 한국 채권시장의 투명성 제고정책과 유동성에 관하여, 한국증권학회
* 정희준 외 1명(2012), 적격기관투자자(QIB)제도 도입을 위한 국내 채권시장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 홍창기(1993),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활성화 방안, 동국대학교
Ⅴ. 채권의 유통시장(채권유통시장)의 개선방안
1. 채권상품의 특성에 부합하는 시장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권유통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토록 함
상대적으로 표준화되고, 유동성이 높은 국채지표물의 경우 장내 국채전문유통시장에서 경쟁매매를 통해 거래되도록 한다. 표준화되지 않고, 유동성이 낮은 국채비지표물, 회사채 등의 경우 브로커간의 적극적인 중개를 통하여 거래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2. 채권결제제도 등 채권거래의 기초 인프라를 정비
채권거래 활성화의 여건 조성한다.
3. 국채전문유통시장의 거래활성화
국채전문딜러는 국채지표물(3년, 5년, 10년 최근월물)을 장내에서 거래하도록 의무화하고, 투신 등 일반기관투자자도 위탁매매를 통해 장내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증권거래소는 호가입력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국채거래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4. 국채전문딜러의 기능을 강화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국채전문딜러를 과감히 퇴출시키는 등 국채전문딜러에 대한 혜택(incentive)과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5. 경쟁을 통해서 회사채등의 거래가 활성화
현재 딜러간 채권거래만을 중개할 수 있는 IDB가 일반기관투자자의 채권거래도 중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반증권사도 IDB와 같이 호가를 집중하여 채권거래를 중개할 수 있도록 한다.
6. 채권거래의 기초인프라를 정비
국채통합발행기간을 6개월로 연장하여 종목당 국채발행물량을 확대하고, 채권거래 결제일을 T+1일로 연장토록 한다.
참고문헌
* 김형철(1991), 채권유통시장 조직화방안, 한국증권업협회
* 박효식(1989), 채권 유통시장의 현황과 당면과제, 한국증권업협회
* 유중형(1999), 한국채권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 정희준(2011), 한국 채권시장의 투명성 제고정책과 유동성에 관하여, 한국증권학회
* 정희준 외 1명(2012), 적격기관투자자(QIB)제도 도입을 위한 국내 채권시장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 홍창기(1993),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활성화 방안, 동국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