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김시습 금오신화의 개념
Ⅲ. 김시습 금오신화의 배경
Ⅳ. 김시습 금오신화의 작가
Ⅴ.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
Ⅵ. 김시습 금오신화의 한계
1. 인물들의 관계가 비교적 단순
2. 플롯이나 구성도 단순한 편
3. 독자의 예비지식 필요
4. 전기소설의 초현실적 수법을 주로 계승
Ⅶ. 김시습 금오신화의 작품분석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1. 이생과 최녀
2. 이생 학교 가는 길
3. 이별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Ⅺ.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Ⅻ.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참고문헌
Ⅱ. 김시습 금오신화의 개념
Ⅲ. 김시습 금오신화의 배경
Ⅳ. 김시습 금오신화의 작가
Ⅴ.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
Ⅵ. 김시습 금오신화의 한계
1. 인물들의 관계가 비교적 단순
2. 플롯이나 구성도 단순한 편
3. 독자의 예비지식 필요
4. 전기소설의 초현실적 수법을 주로 계승
Ⅶ. 김시습 금오신화의 작품분석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1. 이생과 최녀
2. 이생 학교 가는 길
3. 이별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Ⅺ.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Ⅻ.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거처하고 있는 노총각 梁生은 부처님과 더불어 저포놀이로써 승부를 겨루어 이김에 그의 소원대로 아름다운 처녀를 얻어서 交歡을 즐기었으나 이는 一場春夢이었다. 아름다운 처녀는 한낱 죽은 女鬼에 지나지 않았으며, 歡樂은 오히려 哀別의 苦로 변하였으니, 이에 인생무상을 느낀 주인공 梁生은 슬픔과 허무감속에 빠져 다시는 장가를 들지 않고 지리산에 들어가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이처럼 南原에 살고 있는 노총각 梁生이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여 이기면 아름다운 배필을 점지 받기로 약속하고 소원을 성취한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다분히 佛敎的인 思想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남녀의 애정 뒤에는 佛敎의 짙은 인생무상관과 인연설, 윤회사상등이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주인공 梁生은 무명의 고독한 유생으로서 佛力으로 그의 소망을 구하려 하였으며, 그것이 비록 女鬼에 불과한 허망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배필로 삼아 백년해로 하고자 함은 梁生이 儒佛思想의 소유자일 뿐만 아니라 靈魂不滅思想까지 지니고 있다 하겠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인공 梁生이 부처님과 저포 놀이를 하여 한 미녀를 얻게 되었다 함은 곧 發願에 의한 靈驗 思想이며, 작품 말미에 이르러 梁生이 女鬼를 위하여 일심으로 \"連薦再三夕\" 하여 女鬼가 타국의 남자로 태어남도 모두 佛敎의 發願 思想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주목되는 부분은 주인공 梁生이 노총각으로서 한 때의 춘정을 이기지 못하여 애욕의 번뇌에 빠져 미녀와 邪戀을 맺는 것이다. 이는 곧 因業을 짓게 됨이요, 그리고 다시 哀別의 苦를 그 果報로 받게 된 因果應報 思想이라 하겠다. 즉 여주인공 미녀가 梁生과 마주 앉은 자리에서
\"今日之事 蓋非偶然 天之所助 佛之所佑
\"오늘의 일은 실로 우연한 일이 아니다. 높으신 하나님과 자비로우신 부처님께서 고운 님을 점지해 주신 덕택 으로\"
라 하여 그들의 만남이 우연한 것이 아니라, 인연에 의하여 만나게 되었음을 말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佛敎的 因緣 思想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萬福寺樗蒲記」에 나타난 思想을 살펴보았고, 이제는 그 意味를 분석해 보자.
「萬福寺樗蒲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처를 통하여 노총각 梁生이 女鬼를 만나 현실계의 소원을 성취하고, 나아가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는 것을 주제적으로 그리고 있다. 또한 女鬼는 원한으로 떠돌다가 梁生으로 인하여 자신의 恨을 풀고 역시 바라던 저승에 남자 몸으로 태어나 자신의 소원을 이룬다는 의미로 되어 있다. 결국 梁生과 女鬼는 서로서로의 恨을 佛敎的 경지에서 因緣의 차원까지 끌어오려 풀어준 것이다
따라서 「萬福寺樗蒲記」는 佛敎的인 因緣으로 만난 두 남녀가 서로의 恨을 解消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랑이라는 매개체를 사용한 애정물로, 金時習 자신이 이루어내지 못했던 사랑의 恨을 佛敎 思想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라 하겠다.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취유부벽정기>는 부벽정이라는 곳에서 홍서생이 옛 도읍을 바라보며 감회에 젖은 시를 읊다가 기자조선의 후예라는 신녀를 만나 나누는 시담안에 작가의 의도가 있다.
인간사의 무상함과 위만과 기자조선에 얽힌 고사에서 불온하게 왕권을 찬탈한 세조에 대한 비난이 그것이라 할 수 있겠다.
“위만은 연나라 사람인데 많은 유민을 거느리고 기자조선에 귀순하였다가 모반을 일으켜 나라를 빼앗는다. 라고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이 있어서 이 글을 읽으면서 작가 김시습이 세조에 대한 왕권 찬탈을 어떻게 표현한 것인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의 마지막에 가서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김시습의 초월적인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경주의 박이라는 사람은 일찍부터 太學에 다니며 공부하였으나 한번도 과거에 합격해 보지 못하여 늘 불쾌한 감정을 품고 있었다. 또 그는 불교. 무격. 귀신. 등에 대해서도 의심을 품었으나 어떤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다. 그런데 어느 날 밤 꿈에 남염부주로 가서 염왕과 만나 종교와 귀신, 그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법에 관해서 토론을 벌인다. 거기서 박생은 불교의 윤회. 응보 또는 귀신류가 허망함을 알고, 오직 유교만이 정도임을 확인하다. 그리고 나라는 民本主義로 다스리되, 천명을 거역해서는 안 된다는 왕도 정치의 이념도 배운다. 아울러 박생은 왕위를 이어받을 서립문을 받고 돌아오던 중 꿈을 깬다. 수개월 뒤에 병이 들었는데 의원과 무당을 물리치고 얼마 안 가서 죽었다. 그런데 이웃 사람들은 그가 염라대왕이 되어 가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금오신화』가운데 「남염부주지」는 매월당의 사상을 압축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상소설이다. 박생과 염라대왕과의 대화를 통하여 박생 즉 매월당의 평소 생각하던 哲理와 현실에 대한 자신의 사회관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몽환적인 것을 표현한 작품이다. 아마 이 작품은 작자자신의 자서전적 내용을 우화한 것이 아닌가 한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작자가 얼마나 세종대왕을 추모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 위의 <금오신화>의 다섯 작품의 소설을 북한 문학에서는 주제사상적 경향에 따라 청춘남녀간의 애정윤리문제를 다룬 -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 세편과 환상세계의 묘사를 통하여 작자의 사회 정치적 견해를 제시한 - 남염주부지, 용궁부연록 - 의 두 편을 쪼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북한문학에서는 <금오신화>의 미숙성과 제한성으로 중세의 계급적 모순을 현실 그대로의 구체성을 가지고 정당하게 그리지 못하고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이 되살아난 환신과 교제하는 점과 남염부주와 같은 용궁과 같은 비현실적인 환상세계의 묘사를 통하여 주제사상적 과제를 실현하려고 하는 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전화선(1990) : 금오신화의 분석과 해석 : 문학 교육 내용과 자료의 선정과 관련, 부산대학교
장윤환(2011) : 금오신화의 환상성 연구, 경희대학교
정미현(2006) : 김시습의 작가의식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최현옥(1984) : 금오신화 연구 : 작가의식을 통한 작품해석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한릉(2003) :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작가의식 비교연구, 한신대학교
황동욱(1984) : 금오신화의 근원사상연구, 서울대학교
이처럼 南原에 살고 있는 노총각 梁生이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여 이기면 아름다운 배필을 점지 받기로 약속하고 소원을 성취한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다분히 佛敎的인 思想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남녀의 애정 뒤에는 佛敎의 짙은 인생무상관과 인연설, 윤회사상등이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주인공 梁生은 무명의 고독한 유생으로서 佛力으로 그의 소망을 구하려 하였으며, 그것이 비록 女鬼에 불과한 허망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배필로 삼아 백년해로 하고자 함은 梁生이 儒佛思想의 소유자일 뿐만 아니라 靈魂不滅思想까지 지니고 있다 하겠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인공 梁生이 부처님과 저포 놀이를 하여 한 미녀를 얻게 되었다 함은 곧 發願에 의한 靈驗 思想이며, 작품 말미에 이르러 梁生이 女鬼를 위하여 일심으로 \"連薦再三夕\" 하여 女鬼가 타국의 남자로 태어남도 모두 佛敎의 發願 思想이라 하겠다.
다음으로 주목되는 부분은 주인공 梁生이 노총각으로서 한 때의 춘정을 이기지 못하여 애욕의 번뇌에 빠져 미녀와 邪戀을 맺는 것이다. 이는 곧 因業을 짓게 됨이요, 그리고 다시 哀別의 苦를 그 果報로 받게 된 因果應報 思想이라 하겠다. 즉 여주인공 미녀가 梁生과 마주 앉은 자리에서
\"今日之事 蓋非偶然 天之所助 佛之所佑
\"오늘의 일은 실로 우연한 일이 아니다. 높으신 하나님과 자비로우신 부처님께서 고운 님을 점지해 주신 덕택 으로\"
라 하여 그들의 만남이 우연한 것이 아니라, 인연에 의하여 만나게 되었음을 말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佛敎的 因緣 思想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萬福寺樗蒲記」에 나타난 思想을 살펴보았고, 이제는 그 意味를 분석해 보자.
「萬福寺樗蒲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처를 통하여 노총각 梁生이 女鬼를 만나 현실계의 소원을 성취하고, 나아가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는 것을 주제적으로 그리고 있다. 또한 女鬼는 원한으로 떠돌다가 梁生으로 인하여 자신의 恨을 풀고 역시 바라던 저승에 남자 몸으로 태어나 자신의 소원을 이룬다는 의미로 되어 있다. 결국 梁生과 女鬼는 서로서로의 恨을 佛敎的 경지에서 因緣의 차원까지 끌어오려 풀어준 것이다
따라서 「萬福寺樗蒲記」는 佛敎的인 因緣으로 만난 두 남녀가 서로의 恨을 解消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랑이라는 매개체를 사용한 애정물로, 金時習 자신이 이루어내지 못했던 사랑의 恨을 佛敎 思想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라 하겠다.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취유부벽정기>는 부벽정이라는 곳에서 홍서생이 옛 도읍을 바라보며 감회에 젖은 시를 읊다가 기자조선의 후예라는 신녀를 만나 나누는 시담안에 작가의 의도가 있다.
인간사의 무상함과 위만과 기자조선에 얽힌 고사에서 불온하게 왕권을 찬탈한 세조에 대한 비난이 그것이라 할 수 있겠다.
“위만은 연나라 사람인데 많은 유민을 거느리고 기자조선에 귀순하였다가 모반을 일으켜 나라를 빼앗는다. 라고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이 있어서 이 글을 읽으면서 작가 김시습이 세조에 대한 왕권 찬탈을 어떻게 표현한 것인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의 마지막에 가서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이야기하는데 이것은 김시습의 초월적인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경주의 박이라는 사람은 일찍부터 太學에 다니며 공부하였으나 한번도 과거에 합격해 보지 못하여 늘 불쾌한 감정을 품고 있었다. 또 그는 불교. 무격. 귀신. 등에 대해서도 의심을 품었으나 어떤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다. 그런데 어느 날 밤 꿈에 남염부주로 가서 염왕과 만나 종교와 귀신, 그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법에 관해서 토론을 벌인다. 거기서 박생은 불교의 윤회. 응보 또는 귀신류가 허망함을 알고, 오직 유교만이 정도임을 확인하다. 그리고 나라는 民本主義로 다스리되, 천명을 거역해서는 안 된다는 왕도 정치의 이념도 배운다. 아울러 박생은 왕위를 이어받을 서립문을 받고 돌아오던 중 꿈을 깬다. 수개월 뒤에 병이 들었는데 의원과 무당을 물리치고 얼마 안 가서 죽었다. 그런데 이웃 사람들은 그가 염라대왕이 되어 가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금오신화』가운데 「남염부주지」는 매월당의 사상을 압축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상소설이다. 박생과 염라대왕과의 대화를 통하여 박생 즉 매월당의 평소 생각하던 哲理와 현실에 대한 자신의 사회관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몽환적인 것을 표현한 작품이다. 아마 이 작품은 작자자신의 자서전적 내용을 우화한 것이 아닌가 한다.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서 작자가 얼마나 세종대왕을 추모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 위의 <금오신화>의 다섯 작품의 소설을 북한 문학에서는 주제사상적 경향에 따라 청춘남녀간의 애정윤리문제를 다룬 -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 세편과 환상세계의 묘사를 통하여 작자의 사회 정치적 견해를 제시한 - 남염주부지, 용궁부연록 - 의 두 편을 쪼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북한문학에서는 <금오신화>의 미숙성과 제한성으로 중세의 계급적 모순을 현실 그대로의 구체성을 가지고 정당하게 그리지 못하고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이 되살아난 환신과 교제하는 점과 남염부주와 같은 용궁과 같은 비현실적인 환상세계의 묘사를 통하여 주제사상적 과제를 실현하려고 하는 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전화선(1990) : 금오신화의 분석과 해석 : 문학 교육 내용과 자료의 선정과 관련, 부산대학교
장윤환(2011) : 금오신화의 환상성 연구, 경희대학교
정미현(2006) : 김시습의 작가의식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최현옥(1984) : 금오신화 연구 : 작가의식을 통한 작품해석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한릉(2003) :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작가의식 비교연구, 한신대학교
황동욱(1984) : 금오신화의 근원사상연구, 서울대학교
추천자료
- 금오신화-김시습(독후감)
- [김시습][금오신화][김시습의 금오신화][김시습 사상]김시습과 금오신화 분석(작가적 배경, ...
- 김시습의 금오신화
- 김시습 금오신화의 개념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배경과 특징, 김시습 금오신화 분류, 김...
-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배경과 창작배경,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여성상, 김시습 금오신화...
- [김시습][금오신화][이생규장전][작품분석]김시습 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 서사단위, 김시습 ...
-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와 분류,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 [이생규장전][김시습 금오신화]김시습 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 줄거리, 김시습 금오신화의 이...
- 김시습 금오신화 정의와 특징, 김시습 금오신화 연원과 사상, 김시습 금오신화 의의, 김시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