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 금오신화 정의와 특징, 김시습 금오신화 연원과 사상, 김시습 금오신화 의의,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시습 금오신화 정의와 특징, 김시습 금오신화 연원과 사상, 김시습 금오신화 의의,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시습 금오신화의 정의

Ⅲ.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

Ⅳ. 김시습 금오신화의 연원
1. 내재적 연원
1) 염정류
2) 신괴류
3) 용궁류
2. 외재적 연원

Ⅴ. 김시습 금오신화의 사상
1. 유교사상
2. 불교사상
3. 도교사상

Ⅵ.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의
1. 인물 창조
2. 배경 묘사
3. 서사적 갈등의 전개
4. 문답체 형식의 소설
5. 서사공간 확대
6. 서사기법

Ⅶ.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1. 평양에 소개
2. 기씨녀를 만남
3. 홍생 그 말을 모두 기록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Ⅺ.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의 낙원회기를 갈망하는 지상인의 실락원 이미지를 보여주었다는 것이라고 한 인간본연의 신선사상에 동의하게 된다.
양인이 현실에서 잊지 못한 사랑의 사연을 천상에서 지속해 보려는 초월적 현실주의 사상과 도가적 신선사상이 이 작품에 혼합되어 <금오신화> 가운데서도 한 차원 높은 작품으로 평가되어야 마땅하리라고 생각된다.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開城에 사는 선비 李生과 사대부집 처녀 최랑은 당시 봉건사회의 문벌의식과 가부장적 가족제도 하에서 이루어진 사랑이 부모들에 의하여 파경에 이르게 되었으나, 최랑의 적극적인 애정의식으로 끝내는 혼인을 하게 된다. 그러나 뜻하지 않은 亂을 만나 최랑은 그 정조를 지켜 죽음을 당하고, 李生은 실의에 잠겨 최랑과의 다하지 못한 사랑에 戀戀한다. 이때 최랑이 다시 李生의 앞에 幻生하여 서로 雲雨를 즐기나, 이미 幽明이 다른 최랑은 冥府로 돌아가고 李生 또한 따라 죽게 된다.
이처럼 이 작품은 개성에 사는 유학자 선비인 李生과 사대부집 처녀 최랑과의 사이에 맺어진 애정물이다. 남녀 애정의 이면에는 역시 「萬福寺樗蒲記」와 같이 佛敎思想이 있어 허무적인 상황을 통한 무상관, 인과사상을 보이며, 삼세지연을 탈피할 수 없다는 운명관도 보이는 작품이다. 좀더 그 양상을 크게 나눠 보자면, 주인공 李生은 작품 전반부에서는 儒敎的 思想이, 후반부에서는 佛敎的 인연사상과 윤회환생사상 등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품 초기에서 李生이 담장 너머로 들려오는 최랑의 戀戀한 내용의 詩를 듣고 연모의 정을 누를 길이 없었으나,
\"然其門戶高俊 庭閨深家 但怏怏而去\"
이라고 한 것은 자신의 애정을 전할 도리가 없음에 체념한다는 것으로 여기에 사회적인 제도 즉 儒敎的 도덕률 속에 갇혀 있는 주인공의 인간 본능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후반부에서는, 李生이 최랑의 죽은 육신과 더불어 현실 세계에서 다하지 못한 사랑을 비현실적인 세계에서나마 이룩하고자,
“願娘子 淹留人世 百年之後 同作塵土\"
“아무쪼록 당신은 인간 세상에 오래 남아 백년 낙을 누린 후에 함께 진토가 되어 묻힘이 어떠하오”
라 하여, 끝내 李生이 최랑의 뒤를 따라 죽는 것은, 佛敎的 因緣, 幻生 思想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최랑은 儒敎的 思想을 바탕으로 儒佛混合思想을 지닌 인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李生窺牆傳」은 自由戀愛思想이 배어 있는 것이 특기할 만 하다.
이처럼 「李生窺牆傳」에 나타난 思想을 살펴보았는데, 이제 그 意味를 좀더 분석해 보자. 「李生窺牆傳」은 李生의 소극적인 자세가 최랑의 적극적인 사랑의 행동으로 同和되어 결국은 李生 스스로의 손에 의해 적극적인 節義를 추구한 作品인 것이다. 죽음을 넘어선 傳奇的 사랑을 이룬 청춘 남녀의 애정 실현은 비록 비극적 결말임에도 불구하고 金時習의 현실 욕망을 대리 실현한 결과물인 것이다.
결국 「李生窺牆傳」은 金時習 자신의 소극적인 성격 및 節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쓴 작품이다.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남연부유지>는 김시습의 사상적 견해를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박서생이라는 인물이 어느 날 꿈에 염부주에서 염라대왕을 만나 세상을 미혹시키는 사물에 대해 평소에 느꼈던 의문에 관해 이야기를 하고 염부주의 통치자로 뽑히고 꿈에서 깨어난 뒤 오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가장 주목할 것은 염라대왕의 말인즉 자신은 세상에 있을 때에 충성을 다하여 나라를 구원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자라고 하면서 “나라를 다스리는 자는 폭력으로써 백성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 백성들이 겉으로 따르는 것 같더라도 속으로는 불평을 품기 때문에 시일이 지나면 큰 일이 될 것이다”, “대개 나라는 백성의 나라이고, 명은 하늘의 명입니다” 라고 말하면서 세조의 왕권 찬탈에 직접적인 비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인연설에 바탕으로 한 환상적 사랑의 실험. 주인공 양생과 여주인공의 만남은 시적 감흥에 의한 만남이라 할 수 있다. 금오신화에 나오는 특징이기도 하지만 여주인공이 외침 등의 사건에 의해 희생되는 것으로 묘사되는 것이 이채로운데 「만복사저포기」에서는 왜구의 침범에 의해 죽음을 당하는데 이 죽음이 뜻하는 것은 외부적 작용에 의해 희생될 수밖에 없는 모순 된 현상에 대한 비판이며 여성의 정조관념을 강조함이며, 내세에 대한 관심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만복사저포기」의 결말에 대한 견해와 그에 따른 작가의 세계관과 종교관에 대한 의견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금오신화」 작품 중 「만복사저포기」는 특히 불교적인 색채를 많이 띠며 애정소설적인 요소가 매우 강하고 전기적인 모티브도 매우 강한 작품이다.
「만복사저포기」의 특징은 화답시를 서로 주고받음으로써 그 시에 담겨진 뜻을 이해함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어느 정도 알게 된다는 것이다.
. 김시습 금오신화와 용궁부연록
고려 말 韓生이란 선비가 살고 있었는데, 젊어서부터 글에 능하여 조정에 이름이 알려져서 문사로 평판이 났다. 어느 날 그는 박연에 살고 있는 용왕의 초대를 받고 사자를 따라 용궁으로 갔다. 그는 용왕의 청에 의하여 신설하는 佳會閣의 상량문을 지어 주었다. 용왕은 그 글에 탄복하면서 酒筆宴을 베풀어 한생을 대접하였다. 그 연희는 풍악과 무용으로 성대하였고, 서로 시를 주고받음으로써 흥을 더하였다. 연회가 끝난 다음 한생은 용왕의 허락을 받아 용궁내의 문물을 구경하고, 주옥 2개와 빙초 2필을 선물로 받고 돌아오던 중 꿈을 깬다. 그 후 한생은 명리를 구하지 않고 名山에 들어갔는데, 뒷 소식을 아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김창현 /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박성진 / 금오신화의 방외적 특성 연구, 강원대학교, 2008
박희병 / 금오신화 창작의 연원과 배경, 한샘출판주식회사, 1995
이용호 / 금오신화의 근원적 사상 연구, 목포대학교, 1993
안민정 / 한국 전기소설의 환상성 연구 : 금오신화의 경우, 선문대학교, 2011
최현옥 / 금오신화 연구 : 작가의식을 통한 작품해석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1984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